-
-
점선의 영역
최민우 지음 / 창비 / 2018년 10월
평점 :
우선 이 책은 크기와 두께가 맘에 든다. 5~600여 페이지를 즐기는 작가를 사랑한 덕에 가방끈이 항상 수명이 짧았는데, 이 책은 그런점에서 맘에 쏙 든다.
나(이름이 나왔던가? 리뷰를 쓰려고 보니 화자의 이름을 모르네..)의 할아버지는 앞날을 예언하는 분이다. 하지만 좋은 예언은 안해주시고 불길한 것에서만 예언을 해주신다. 미래를 알게되면 과연 그 일들이 예방할수 있을까 싶다. 결국 일어날 어떻게든 일어난다 싶다. 그리스 신화의 오이디프스처럼 테바이 왕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하게 되리라'라는 신탁 때문에 태어나자마자 버림을 받았지만 결국 그대로 되지 않았던가. 고종사촌 형에게 "달려드는 차를 피할 수는 없다"라는 예언을 하신 할아버지. 그래서 차를 사주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결국엔 사고는 났다. 과연 예언이라는 것은 결국엔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아닐까. 결코 어떤 방법으로라도 찾아오게되는 미래의 일이니 말이다. 할아버지는 내게도 예언을 해주셨다. "만나서는 안 될 사람을 만날 거다. 소중한 걸 잃게 된다. 힘들거다. 용기를 잃지 마라. 도망치면 안돼."라고. 그냥 의연하게 할아버지의 예언을 흘려들었지만, 훗날 뒤돌아보니 할아버지의 예언은 틀림이 없었다. 예언은 그런 것이었다.
글세 예언이라는 것이 말이다. 현실 세계에서는 아님 말고, 거봐, 내가 그랬잖아.. 이런 수준이 아닐까 싶다. 어렸을 적에는 1999년 지구가 종말할꺼라는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이 두려웠던 적이 있었다. 2017년에는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것이라는 예언도 있었는데, 지금은 2018년 막바지에 이르렀지만 종말도, 3차 세계대전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고 보면 지나고나서 예쩐에 이런 예언이 있었다라고 끼워 맞추는식의 이야기만 있지 않았을까. 책을 읽으면서 어디까지나 결국은 받아들일수 없는 이야기라며 과연 결론이 어떻게 날것인가를 궁금해가면서 읽었는데, 책을 읽는 가운데 나름의 결론을 찾은것 같다. 작가님의 의중이 깃든것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말이다. 아님 말고지 뭐..
정보기관은 자신들의 업무를 점을 잇는 작업에 비유한다. 점과 점을 이으면 선이 생겨나고, 그 선이 자신들을 스파이와 테러리스트에게 인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가능한 한 모든 점을 체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감시할수 있는 모두를 감시하여 신호와 잡음을 가려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일이 터지기 전에는 그 점이 진짜 점인지 알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데 있다.(본문中 p.114)
할아버지의 예언은 점과 같지 않았을까. 바닥에 흩뿌려진 점들을 찬찬히 연결해 보면 선이 되고, 선들이 모이면 면이 되는 것처럼, 어떻게 연결되느냐가 나를 행운으로 인도할수도 있고, 혹은 불행으로 연결될수 있지 않을까. 그것이 진짜 점인지 아니면 함정이든지 그것은 일이 터지기 전에는 알 방법도 아는 사람도 없는 것이라고 본다. 그래서 뒤돌아 보면 '그게 이런 말이었구나'라고 탄성을 내지를수도 있는 것이고, '거봐, 헛소리였어'라고 할수도 있을것만 같다. 어떤 예언을 듣든 혹은 어떤 점괘가 나오든간에 점과 선의 영역은 내 몫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