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전 읽기 독서법 - 기적을 부르는 완벽한 고전 독서 교육
임성훈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0년 10월
평점 :
이 책은 아이들을 위한 고전 독서 교육에 대한 지침서라고나 할까. 하지만 나처럼 다 큰 아이가 있는 사람에겐 그냥 본인을 위해서 읽어도 아주 좋을 듯 싶다. 고전은 읽지는 않았지만 내용은 다 아는 그런 이야기가 많다. 또한 옛문체이기 때문에 선뜻 읽기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종종 아주 오래전에 살았던 사람들이 기술적인 면에서 현대보다 뒤지기는 하지만 우리보다 지혜로움이 결코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도 자녀들에게 고전을 읽는 교육과 더불어 부모들도 함께 읽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고전독서가 "당당한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초 체력을 쌓는것'이라고 생각한다(p.7)고 밝히고 있다. 고전 독서를 통해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면서 사람다운 사람으로 성장해 나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라고 한다.
저자가 말하는 고전 독서의 장점은 첫째, 자기를 성찰하는 힘을 키울수 있으며, 둘째, 사람을 이해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셋째로는 나만의 중심을 잡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교양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한다.하지만 이런 좋은 독서를 아이에게만 숙제처럼 하고자 강요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부모가 책을 읽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절대로 아이들은 책을 가깝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나도 어렸을때, 엄마가 도서관에 데리고 다니셨고, 무슨책인가 참 재미나게 읽으시는걸 기억한다. 대학생이 되어서 그때, 엄마가 참 재밌게 보셨던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서 읽으며 엄마와 이야기 했더랬다. 그렇다고 어렸을때부터 지금처럼 책을 많이 좋아한것 같지는 않다. 지금은 책이 재밌어서 읽지만 아마도 그때는 지금처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세계가 아니었기에 가능했을지도 모르겠다. 딸아이도 어찌어찌 책을 읽기는 했지만,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는것 같다. 그래도 스스로 그 재미를 알아가지 않겠는가.
올해부터 고전 읽는 비율을 좀 높이긴 했지만, 아직 필사를 하면서 읽은적은 없다. 단순히 좋은 글귀만 적어놓는 형태였다. 이 책에서도 필사도 아주 좋은 방법이라 권한다.
눈으로만 본 사실은 뇌가 아는 것으로 '착각'하기 쉽습니다. 그렇게 얻은 지식은 대게 고개를 끄덕이면서 보고 난 이후에는 바로 망각의 늪으로 빠져 사라져 버립니다. 하지만 손으로 어딘가에 기록을 해두면 때때로 그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진짜 지식이 됩니다.(p.66)
이 말은 고전 읽기뿐 아니라 학습에 있어서 나도 적극 권유하고 싶다. 요즘 아이들은 손으로 쓰면서 외우기 보다 눈으로만 외우는데, 참 탐탁지 않다. 나도 얇은 책을 한번 필사하면서 읽는 기회를 가져봐야겠다.
저자는 또 아이와 함께 읽는 핵심 고전으로 <소크라테스의 변론>, <논어>, <어린 왕자>, <갈매기의 꿈>, <오디세이아>, <변신이야기>, <이솝우화>, <격몽요결>의 8편을 소개한다. 아무래도 나부터 이 고전을 읽어나가야겠다. 딸아이를 교육시킴에 이 방법을 쓰지 못했지만, 지금이라도 함께 읽으면 아주 할말이 많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