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하게 헤어지는 방법
이은정 지음 / 마음서재 / 2020년 11월
평점 :
표지의 저 여인은 참 낯익다. 유화로 그린것인지.. 그림에 대해 1도 모르니, 하지만 왠지 낯설지 않다. 아마도 이 책의 내용을 읽으면서 낯선 느낌을 받지 않아서 일까. 그래서 표지를 표현한것이 아닌가 그냥 나만의 생각을 해본다.
이 책은 『잘못한 사람들』, 『완벽하게 헤어지는 방법』, 『그믐밤 세 남자』, 『피자를 시키지 않았더라면』, 『친절한 솔』, 『숨어 살기 좋은 집』, 『엄 대리』, 『개들이 짖는 동안』의 8편의 단편들로 구성되어 있는 소설집이다. 단편에 약하지만 그래도 5편 정도는 이해하면서 읽을것을 보면, 내 입장에선 아주 선전한 편이다. 가끔 단편들을 읽을 때면 비로서 이야기에 녹아들때쯤 뚝 끊기는 감이 있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단편을 그리 선호하지는 않는 편이다. 하지만 이 책은 재미나게 보게 되었다. 아무래도, 내가 장르 소설을 선호하다 보니, 비슷하게 흘러가는 경향이 있어서 그랬을까. 안그래도, 작가의 말에 보면 이 소설들을 쓰면서 끊임없이 떠올린 단어는 '가해자'와 '피해자'였다(p.258)라고 나온다. 정말로 올곧은 나의 독서 취향을 저격한 것이 아니겠는가. 게다가 아름다운 소설이 아니라서 미안하다(p.259)는 말을 저자는 덧붙힌다. 뭐, 소설이라고 꼭 아름다울 필요가 있겠는가. 세상의 이면도 볼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 싶다.
첫 시작을 여는 『잘못한 사람들』은 몇년전 폐지 줍던이를 폭행해 살해했던 사건이 떠올랐다. '나'는 세호한테 불려나왔다. 나오는게 아니였는데 말이다. 죽은 세호 아버지는 세호가 어린날 밖에서 화난 일이 생기면 집으로 돌아와 어린 세호에게 화풀이를 하곤 했다. 어떻게든 꼬투리를 잡아 때리고 때렸다고 한다. 그러면 세호는 무조건 잘못했다고 빌어야만 했다. 가장 못난 사람들.. 자신에게 화가 나면 어떻게든 혼자서 풀어야지, 그것을 내 가족 혹은 약자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며 화풀이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자신의 화가 풀릴때까지 꼬투리에 꼬투리를 물고 시비를 건다. 세호는 생활정보지를 제시간에 배포함에도 불구하고 정보지가 없다는 클레임이 들어왔던 것이다. 세호는 자신이 잘못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잘못했다고 빌었고, 바로 그때 죽은 아버지가 생각이 났고, 자신도 모르게 욕이 나왔고, 해고를 당했다. 그런 기분에 일찍 도착한 집 근처에서 폐지를 줍는 할머니를 발견했다. 폐지 사이에 생활정보지가 보였고, 할머니를 쫓아가다가 시비가 붙었고, 결국엔 할머니를 폭해하기에 이른다. 이 이야기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잘못했다고 비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과연 그들은 무엇을 잘못했나. 잘못한 것도 모르고 비는 사람들. 각박한 이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소설이 아닐까 싶다.
『완벽하게 헤어지는 방법』은 안타까운 가족의 모습을 보게된다. 가족이라 함은 서로의 소유물이 아닌데, 소유물로 생각하고 폭행을 일삼고, 당연히 가족이라는 미명아래 희생을 강요한다. 하지만 우리는 가족이라는 울타리에서 벌어지고 있는 범죄들을 단죄하지 못한다. 아동학대, 폭행, 가족살인등의 씁쓸한 사건들이 계속해서 들리는 까닭이 바로 그런 이유가 아닐까 싶다. 이별을 하더라도 좀 더 쿨하게 할수는 없을까. 정말로 완벽하게 헤어지는 방법은 이것뿐인지 참 마음 아플뿐이다.
연이어 나오는 작품들도 그리 낯설지가 않다. 낯설지 않게 우리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흔한 일들이어서 그러지 않을까. 저자의 아름다운 소설이 아니라 미안하다라는 말을 이해할수 있는것은 그다지 아름답지만은 않은 현실탓인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