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알수집가
제바스티안 피체크 지음, 장수미 옮김 / 단숨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몽실북클럽 4월 스토킹 도서
새로운 작가의 스토킹이 시작되었다. 제바스티안 피체크는 리뷰를 썼으나, 결말이 기억나지 않는 <마지막 카드는 그녀에게>로 10여년전에 처음 만난 작가이다. 하지만 기억에 남지 않았던건 재미가 없었나? 아니면, 당시는 유럽쪽 소설에 적응을 못할 시기라 그럴수도 있었고, 너무 오래전에 읽어서 그럴수도 있겠고 말이다. 이럴때, 다시 읽는 방법이 최고가 아닐런지 싶다. 그리고 <소포>로 만났고, 이번이 개인적으로 두번째 같은 세번째 작품이긴 하다.^^;;
이 <눈알 수집가>는 제목부터 섬뜩하긴 하지만 꽤 여러번 이웃들에게 들었던 작품이다. 특히나 작가의 정신의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인간 심리와 무의식 속에 깔린 극적 요소를 예리하게 포착해 독일 사이코스릴러 장르에서 입지를 굳힌 피체크의 작품(인터넷 교보문고)이라고 평가받는다. 과연, 읽어보니 생각지도 못했던 반전이... 바로 뒤이어지는 <눈알 사냥꾼>에 대한 궁금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문득, 이 소설이 출간되었을 때, 속편이 있다는 것을 독자들은 알았을까. 아마도 몰랐다면 꽤나 원성을 들었을 것 같다. '이렇게 끝내는 법이 어딨냐구' 하면서 말이다. 문득, "반지의 제왕" 영화를 보고, 연속되는 것이라는 것을 모르고 한참을 투덜댔던 내가 떠올랐다.
이 책을 처음 읽을때 '맺음말'부터 시작을 해서, 순간 당황했다. 아~ 편집이 잘못된 것인가? 그래서 책을 이리저리 뒤적였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마치 로켓을 발사하듯 카운트를 거꾸로 세어나가고 있다. 사건이 마무리 되면서 또 다시 사건이 시작되게 된다. 작가의 의도였을까? 다분히 처음부터 이 이야기는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
사람을 죽인 트라우마를 갖고 살아가는 범죄 전문기자 초르바흐. 경찰무전을 엿들어서 눈알 수집가의 네번째 사건이 일어난 것을 알게된다. 어머니를 죽이고, 아이들을 숨긴다. 그리고 아버지들에겐 45시간 7분이라는 시간을 준다. 시간이 지나면 아이들을 은닉한 장소에서 질식해 죽게 만들고, 왼쪽 눈을을 제거해버리는, 상상을 초월한 사이코패스인 눈알수집가. 도대체 왜 이런 패턴의 살인을 자행하는 것일까. 그런데 뜻밖에도 초르바흐의 지갑이 범죄현장에 떨어져 있고, 이상하게도 경찰은 그를 추격하기 시작한다. 또한 아무도 모르는 은닉처에서 자신이 이곳에서 기다리다고 했다던 시각장애인 물리치료사 알리나를 만나게 된다. 자신이 이곳으로 인도했다고 하나 전혀 기억이 없는 초르바흐는 난감하기만 하다. 더군다나 알리나는 접촉한 사람의 과거를 본다고 말한다. 그녀가 눈알수집가의 범행현장을 보았다고, 자신이 눈알수집가를 만났다고 주장한다.
정말로 희대의 살인마이다. 그런데 현실이나 소설속이나 범죄자들은 왜 이렇게 뻔뻔한지 모르겠다. 공감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바로 이러한 것일까. 왜 자신이 모든 것을 판단을 내리고, 모든 것이 자신의 의지대로 이루어져야 하고, 남이 겪을 공포등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일까. 꼭 범죄가 아니더라도 이기심에 찌들어 있어서 남따위는 상관 없는 이들이 정말로 싫은 일들만 너무나도 많은 세상이라 참 짜증이 나긴한다. 현실은 그래도 이 책의 결말이 이렇게 났으니. .필연코 다음 책인 <눈알사냥꾼>을 또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