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단 현상 -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ㅣ 이금이 고학년동화
이금이 지음, 오승민 그림 / 밤티 / 2021년 7월
평점 :
자신의 결핍을 스스로 채워 가는 아이들의 내밀하고 진솔한 다섯가지 분투기.
아이들은 참 나약한 존재이기도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환경에 적응하는 면이 꽤 뛰어난것 같다. 그래서 더 "자신의 결핍을 스스로 채워 나간다"라는 말이 금방 와 닿는지도 모르겠다. 이금이 작가님은 < 너도 하늘말나리야 >라는 동화책으로 만났드랬다. 동화는 어린이, 청소년 소설은 청소년이 하면서 구분지어 읽다가 점차 영역을 넓히며 읽어나갈때 만난 책이었다. 처음엔 무슨 말인가 했다가 나리꽃 중에 하늘을 보고 있다는 것이 인상 깊었는지 책내용은 잊어도 제목은 절대로 잊혀지지 않는다.
이번 < 금단 현상 >은 「꽃이 진 자리」, 「한판, 붙어 볼래?」, 「금단현상」, 「십자수」, 「임시 보호」의 다섯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이야기인 「꽃이 진 자리」는 좀 먹먹한 이야기였다. 그리움으로 스웨터를 짜고 풀고 짜던 할머니, 맞벌이 하는 부모님 때문에 늘 혼자였던 '나'는 벚꽃나무 아래 벤치에서 만났다. 캐나다에 사는 손녀에게 선물하려고 만드는 스웨터가 마냥 부럽기도 했었다. 그리고 한편으론 배가 아프기도 했었다. 그래서 괜히 심통을 부리고 나가지 않았었다. 하지만 얼마후에 들려온 소식이 참 마음이 아프다. 아마도 벛꽃잎이 날리는 날이면 할머니가 그리워질런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또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십자수」이다. 한때 열심히 십자수를 놓았는데, 이것저것 벌여놓은 일이 많아서 요즘엔 손을 좀 덜대고 있는편인데 말이다. 한때 유행했던 십자수가 친구 아들도 학교에서 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무슨일인가 했었다. 의외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십자수는 여성만의 전유물이 아닌데 말이다. 어째서 남자일 여자일이 따로 있을수가 있을까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 생각에 딱 맞는 이야기인것 같다. 할머니의 예고없는 방문에 집안일을 종종하는 아빠는 오늘따라 엄마의 시중을 받고 있다. 남자 일하고 여자 일하고 따로 있다고 생각하시는 할머니, 결혼하기 전에는 물 한잔 제 손으로 떠다 먹은 적이 없다고 치를 떠시는데.. 아이구 할머니.. 그러게 자식을 그렇게 키우시면 안되는 거지요. 그건 자랑이 아니라구요. 엄마도 일을 하는 여성인데 왜 우리는 아직까지 집안일은 엄마몫이라고만 하는지. 아직도 세상은 많이 변해야 한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선재가 좋아하는 친구에게 선물하는 십자수의 의미는 매우 크다. 십자수가 여성들의 전유물이 아닌것처럼 집안일도 여성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제대로 교육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