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에 손바닥을 대본다 예서의시 18
박천순 지음 / 예서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시를 시작할 때면 난감하다. 늘상 '나는 뼛속까지 공대생이니까'라는 말로 그 이유를 설명하곤 했는데, 자꾸 읽다보면 익숙해 지는 것일까. 그렇다고 이 책을 아주 시의 느낌을 살려가면서 읽었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그냥 내 느낌대로 읽는데, 당황스럽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아직 맨 뒤에 있는 해설을 읽지 않았다. 그 어떠한 자료도 없이 그냥 이 책을 펼쳐들고 읽기 시작했다. 다른 해설들을 읽게 되면 그냥 거기에 끼워 맞추어 들까봐 저어되었기 때문이다.(자꾸 안쓰던 말이 생각난다. 역시 시를 읽어서일까? ^^;;)

이 시집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아무도 없는 숲에서 나무 그늘아래 자리를 잡고, 물론 의자를 놓아도 되겠지만, 나뭇잎을 스쳐 불어오는 바람 냄새를 맡으면 한장한장 넘기면 어떨까라고.. 아무래도 제목도 "나무에 손바닥을 대본다"라고 했으니 꽤 어울리지 않을까. 그냥 바람도 아닌 꼭 나뭇잎을 스쳐 불어와야한다. 그래야 초록이 그득한 풀내음이 묻어있을게 아닌가.

늦은 오후 비가 쏟아지면 숲 끝에서 걸어오는 안개

더없이 섬세한 촉감

가장 작은 나무라도 다정을 알고 혼자를 한다.

풀잎이 속삭임을 멈추면

나무들은 서로 기대 잠이 든다.

- 나무에 손바닥을 대본다 中 -

정말 시처럼 숲 끝에서 걸어오는 안개를 맞기라도 한다면, 어쩜 더 포근해질지 모르겠다.

특히나, 이 시집이 마음에 들었던 이유 중 하나가 시인과 접점이 좀 있었다는 것이다. 도봉산역에 창포원도 그렇지만 늦은밤..광장시장의 고소한 녹두전이 생각이 나버렸으니 이를 어쩐다. 시집이든 소설이든 잡지든... 어디서든 실제로 경험했던 것을 만나게 되면 조건반사를 하는게 인지상정인가보다. 광장시장의 두툼한 녹두전을 아무래도 주말엔 먹으러 가야할것 같다.

광장시장 녹두전 어묵탕에

하루가 따스하게 스며드네

어묵 국물처럼 감칠맛으로 살아볼까나

행복은 수수껍질처럼 수수하고

안으로 달콤 쌉싸름한 그런거

- 수수한 날 中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괴한 레스토랑 3 - 결전의 날
김민정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우리에게는 남들이 모르는 저마다의 이야기가 있다. 이 기괴한 레스토랑에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저마다의 이야기가 있다. 요괴의 세상에 잡혀온(?) 시아에게만 지상의 가족들에게 돌아가야만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저마다의 사연이 있고 이유가 있었드랬다.

2편에서도 나왔었던 말이었는데, 그때는 유념해서 보지 않았었던 말인것 같다. "자신을 위해 다른 사람을 버리는 거, 그게 잔인한 일이라면 너는 다른 사람 대신 너 스스로를 포기할 수 있겠어?(p.90) 또 다시 시아를 도와주려는 쥬드. 하츠가 다시 남의 도움을 받아 일을 해결한다면 도와준 이를 가만두지 않겠다고 경고 했는데, 여지없이 쥬드는 시아를 도우려고 했고, 하츠에게 발각된 시아는 궁지에 몰리게 된다. 만약에 나라면 어땠을까. 이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나는 과연 나를 위해 다른 이를 버릴수 있을까. 아니면 다른 사람 대신 나 스스로를 포기할 수 있을까. 매우 이기적인 생각이겠지만 지금 딱 드는 생각은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은 버릴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가족을 위해서라면 나 스스로를 포기할 수 있을 것도 같다. 하지만 그건 아무때나가 아니라 정말로 죽음과 연관되어 있을 경우만 그럴것 같다. 가급적 내가 상처를 받더라도 내가 아는 이들에게 잔인하게 굴고 싶지는 않다. 그래서 내가 조금 더 하면 되지라는 생각으로 이용을 많이 당하는 편인것 같은데도 말이다....음.. 갑자기 내 자랑중??

단지 레스토랑 주인인 해돈의 병을 고치기 위해서 시아가 필요했다고 생각했는데, 마지막 3권에서는 근본적인 이유가 등장한다. 결전의 날, 과연 시아는 자신의 심장을 지키고 가족에게 돌아갈 수 있을까.

혹시 이 책도 연재가 되는 것은 아닌가 했는데 판다플립에서 무료 연재를 시작으로 많은 독자들로 하여금 출간 요청이 있었던 이야기라고 한다. 한국형 판타지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레스토랑의 요리라든가, 일부 요괴들의 옛이야기는 조금 마음아프다 못해 잔인(?)할 수도 있겠지만 영상으로 만든다면 전체적으로 초록빛의 느낌을 주지 않을까 싶다. 초록색은 원래 눈에 피로도를 줄이고 안정감을 준다고 하던데... 한국형 판타지에 이 책도 안정감을 주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숙 학교 아이들 라임 청소년 문학 55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라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를 읽는 내내... 너무 성질이 나서...참을 수가 없었다.

우크라이나 태생의 스베트라나. 실업학교에 다니던 스베트라나는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독일 최고의 명문 기숙 학교 '에를렌호프 김나지움'으로 전학을 간다. 잘사는 아이들에 비해 스베트라나는 그리 형편이 넉넉치 못했다. 하지만 그래도 성실하게 노력하면 무엇이든 다 이룰수 있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처음 등교한 학교에서는 이유도 없이 따돌림을 당하고, 같은 반 아이들에게 은밀한 사이버 불링을 당하게 된다. 사이버불링은 사이버 공간에서 이메일이나 휴대폰, SNS 등을 활용해 특정 대상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다. 피해자의 정서를 황폐화 시키고, 심하면 극단적인 선택인 자살로 이어지는 등 심각한 역기능을 초래한다고 한다. 익히 이런 행동의 문제는 들어봤지만 그 용어에 대해서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동조하고 싶지 않은 아이들도 어쩔 수 없이 함께 그 행위에 참여하게 되는 이유는 어쩌면 자신도 그런 행위의 대상이 될지도 모르는 두려움이 아닐까. 그저 자신들의 기분이 상한다고 일방적으로 행해지는 폭력이 얼마나 위험한 일을 초래할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이야기라 청소년들 뿐 아니라 어른들도 읽었으면 좋겠다.

첫 시작은 스베트라나가 자살을 하려 기찻길에 누워있는 것을 한 남자가 발견하여 극적으로 구해낸 신문기사이다. 스베트라나는 구조된후 소아 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해있다. 이 곳은 의사의 허락을 받지 않고는 방문할 수 없고, 손잡이가 없으면 문을 열수조차 없다. 창밖에 있는 창살을 보면 마음이 놓인다고 했다. 이런 곳이 있는줄 알았다면 그 누구도 자신에게 못된 장난을 칠 수 없는 이곳으로 일찌감치 오는건데..하는 스베트라나의 독백이 처음에는 이해되지 않았지만 그녀가 겪은 일을 읽다보면 참으로 마음이 아프기만 하다. 왜 그녀가 병원을 더 안전하다 느끼며 사람을 두려워 해야 하는 것일까.

비데만 선생님이 인생이란 '앞으로'만 살 수 있다고 했다. 처음에는 그게 무쓴 뜻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 나더러 뒤로 살라고 요구하지 않구하지 않았던가? 지난 몇 달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두 꺼내어 적어보라고 했으니까. 하지만 내가 글을 건넨 다음부터는 앞으로의 일에 대해 자주 이야기한다.(p.269)

정말 명의이신 비데만 선생님. 인생을 '앞으로'만 살 수 있다는 말이 너무 공감된다. 과거의 힘든일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앞으로 열심히 살아갈 수 있으면 참 좋을것 같다. 가끔 과거의 아픈 기억을 꺼내어 나를 괴롭히는 나를보고 하는 말 같다. 인생이란 '앞으로'만 살수 있다. 앞만 봐라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 마치 비트코인
염기원 지음 / 은행나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졸업 후 그는 서울로 올라왔다. 가리지 않고 일을 했고, 성공한 "서울 사람"이 되고 싶었다. 건물 관리인으로 살아가는 어느날, 두달째 월세와 관리비를 내지 않은 403호를 발견했다. 그와 같은 해, 같은 달에 태어난 여자. 얼굴은 잘 기억나지는 않지만..석 달이 연체되면 계약이 해지된다는 독촉장을 출력해서 4층으로 올라간 후 무언가 일이 생긴 것을 짐작했다. 그녀는 자살을 했다. 403호를 특수청소를 한 후 가지고 나온 상자안에는 그녀의 일기장과 자그마한 아기 신발이 들어 있었다. 그녀의 이야기를 읽으며 '그'의 과거 이야기와 현재 이야기가 교차되며 진행된다.

서울에 아무런 연고가 없어서 고립에 가까운 삶을 살고는 있었지만 나름의 방식대로 잘 풀릴때도 아니면 나락으로 수도없이 떨어지게 된다. 비트코인이 어찌되는지 잘은 모르지만 그 가치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과 같아서 제목이 < 인생 마치 비트코인 >이 아닐까. 이런.. 비트코인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1인이라니..

처음 느낌으로는 자신이 관리하던 곳에 자살한 세입자, 그리고 그 죽음을 파헤치는 관리인쯤으로 생각했었는데, 읽으면서 내 짐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이 되어서 조금은 당황했지만 유독 작가의 말 중에 눈이 가는 것이 있다. "타자를 이해하려면 먼저 나를 이해하고 자신과 화해해야 한다. 그래야 마음에 공간이 생긴다. 좁고 누추하면 귀한 손님이 찾아와도 들일 수가 없다"(p.259) 어쩌면 그는 403호의 일기장을 읽으면서 그녀가 왜 이런 선택을 해야만 했는지 알아가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예전에는 스스로 목숨을 포기하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보니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도 같다. "한 줄기 빛도 없이 어둡고 깜깜하나 터널을 혼자 걷다가 앞에 비친 희미한 불빛을 본 사람은, 그리고 점점 빠르게 다가오는 그 불빛이 출구를 알리는 희망의 빛이 아니라 절망을 가득 싣고 나를 향해 달려오는 급행열차라는 걸 알게 된 사람은, 살기 위해 되돌아 뛰는게 아니라 그대로 무릎을 꿇고 만다는 것을."(p.255, 256) 함부로 타인을 속단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 같다. 누구나 인생에 있어서 굴곡은 있다. 그리고 혼자라고 생각할 때 나도 모르는 내게만 불빛을 비춰주는 존재가 있다는 것을..

처음에 결말부분을 보고서 살짝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다시 리뷰를 쓰고, 작가의 말을 읽어보고 하니까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인의 땅에서, 우리 이금이 청소년문학
이금이 지음 / 밤티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다섯 다인이, 난생 첫 해외여행이 엄마친구들 틈 사이에서라니..더군다나 몽골 사막으로 여행이라니... 하지만 몽골에 도착해서 만난 가이드 바타르는 다인이가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의 지노오빠를 너무나도 닮아있었다. 이번 여행에서 어떤 바타르와 운명이 되고 싶었지만 적극적인 아줌마들 때문에 뭐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하늘 저 위에 고비보다 더 넓은 땅 있어요. 그곳에 양치는 거인 사는데 밤마다, 밤마다 불 피워요. 불똥이 튀어서 거인 옷에 구멍이 아주 많이 나는데 그 구멍으로 불 보여요. 그게 저 별들이예요"(p.78)

바타르가 할머니에게서 들었다는 이야기가 참으로 동심을 자극한다. 아주 오래전 강화도에서 바라본 하늘의 별들이 그랬던 것 같기도 하다. 지금은 그러헤 많은 별들을 볼 수는 없지만, 그래도 가끔 하늘에 떠 있는 별들을 하염없이 바라보면 참 좋다. 너른 벌판에서 바라보는 하늘은 어떨까 너무나도 궁금하다.

다인이가 풀어놓는 이야기 다음으로 엄마 숙희가 이야기를 들려준다. 처음에는 다인이를 데려가지 않으려 했지만 갑자기 마음을 바꿔먹었다. 다인이 말대로 숙희는 아들바보인줄만 알았는데, 엄마의 속 깊은 이야기들을 마주하고 있으면, 엄마의 모습이 그리고 딸아이의 모습이 머리속에 그득 자리잡게 된다. 어떤 이야기를 읽든 이금이 작가의 이야기는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특히나 이 < 거인의 땅에서, 우리 >는 낯선땅에서 거대한 자연이 보여주는 광활함이 자신에게 한층 더 다가설 수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정말로 그 자연을 대면한다면 누구든 자신의 손내를 털어낼 수 있을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