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동네 길고양이
우재욱 지음 / 지성사 / 2022년 2월
평점 :
예전에는 길을 잃고 헤메는(?) 혹은 버려진 개들이 종종 보이곤 했는데, 요즘에는 개보다는 고양이들이 더 많이 눈에 띈다. 어쩌면 이건 나의 생각일지도 모른다. 항상 그곳에는 고양이들이 있었는데, 내가 관심을 가지게 되니 고양이가 이제서야 눈에 띄었을지도 모를일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공감했던 내용 중의 한가지가 바로 그것이다. 잘 몰랐었는데, 혹은 무심결에 지나쳤는데, 우연찮게 눈에 띈 고양이가 그리고 읽었던 책 한 권때문에 동네에 고양이 급식소가 눈에 띄게 되었고, 생각보다 많은 고양이들을 볼 수가 있게 되었다. 이제는 어딜 가나 고양이를 먼저 알아차리게 된다. 어쩌면 고양이가 많아져서가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나는 고양이를 찾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동네 한 급식소에 밥이 오랫동안 비어있었다. 아마 그것이 계기였으리라. 간식정도만 준비해서 급식소 사료위에 얹어주곤 했었는데, 며칠동안 비어있는 사료통을 보고 혹시나 길고양이가 굻을까봐 안쓰러운 마음에 아이들의 밥배달을 시작했다. 저자는 그것을 측은지심으로 시작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인정! 그때는 큰일 나는줄 알았었다. 그리고 한번 시작된 일은 쉽사리 마칠수가 없어서 반려동물 하나 없는 우리집에는 늘상 고양이 사료가 한포대씩 자리잡고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안은 길고양이가 야생동물이기 때문이다. 인간과 야생동물은 서로 거리를 두고 개입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공존 방식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최선이라니, 나로서도 마음이 썩 좋지 않다. 혹독한 상황에서 살아가는 길고양이를 모른 체하는 것이 맞다고 하려니까 심정이 불편하다. 그러나 그런 혹독한 상황이 모든 야생동물이 사는 조건이다.(p.287)
저자의 말이 맞기는 맞다. 하지만 동시에 그 말들이 불편하긴 하다. 하지만 이미 인간은 그런 야생동물들의 영역을 많이 침범하고 산다. 개발을 빙자해서 고양이들을 비롯한 야생동물들의 서식지를 강탈하거나 위험으로 내몰고 있다. 가을이 되면 내가 살고 있는 이곳 저곳에서 도토리를 말리는 사람들이 좀 있다. 도토리가루를 내서 사람을 별미로 먹는것이겠지만 산 속의 누군가는 먹을 것을 강탈당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우리는 야생동물의 삶에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본다. 세상을 함께 공유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연의 법칙만을 따를 수만은 없는 법이다. 저자도 차선책으로 TNR(중성화 수술후 방사)과 고양이 급식소에서 제한 급식을 제안한다. 고양이는 인간과 가장 가까이 살고 있는 야생동물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사람동네가 꼭 사람들을 위한 공간일수만은 없다. 그것은 사람들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이기적인 생각이다. 조금씩 한발 물러나면 그들과 공존하면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사람 대 고양이가 아니라,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 고양이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서로서로 양보라는 것을 조금만 하면 모두가 행복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