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생물이 된다는 것은 잊혀진다는 것이다. 무생물이 무생물인 이유는 살아 있지 않아서가 아니라, 자신의 가슴속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다. - P271

사람은 모두 얼마쯤은 무생물이다. 텅 빈 가슴을 안고살아간다. 하지만 살아가는 동안은 그 안을 진실로 채워야만 한다. 내 집 안의 무생물들을 보며 깨달았고 마찬가지로 내가 무생물이라고 착각하는 동안에도 깨달은 사실이다. 나는 살아간다. - P2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늘 거기 있지만 보이지 않는 것들. 그들 덕분에 네가살아간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해."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악한 늑대 스토리콜렉터 16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번 스토킹으로 타우누스 시리즈의 < 바람을 뿌리는 자 >까지 읽었는데, 나머지 시리즈도 읽겠다 해놓고 잊었었다. 그동안 읽겠다고 도서관서 빌려오기도 했으나 이 책, 저 책에 치여서 이제사 읽게 되었다. 그래도 워낙에 이 < 사악한 늑대 >가 타우누스 시리즈 중 가장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기도 해서, 금새 이 시리즈의 감을 잡을 수 있었다. 등장인물들간의 관계까지 가미되면 시리즈의 재미는 배가 된다. 사실상 이번 < 사악한 늑대 >부터는 재독이 되는 셈인데, 큰 줄기는 기억이 나는데, 다른 일들과의 관계성은 생각이 나지 않았다. 다시 읽고 보니 큰 한줄기로 엮을수 있었다. 다음편도 얼른 소화를 해내야 겠다.

강가에서 한 소녀가 시신으로 발견된다. 학대를 의심할 흔적을 몸에 새긴채 발견된 소녀에 대해선 아무것도 알수가 없었다. 다만 그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강으로 버려졌었던 것 같았다. 소녀의 신원도 밝혀내지 못한재 난항을 겪는 사이 유명 방송인 한나 헤르츠만이 처참하게 폭행당한채 발견된다. 다행히 목숨은 구했지만 당시 기억도 그리고 몸도 만신창이가 되었다. 어느 누군가 사욕에 눈이 먼 방송인이라고 한나를 비방하는 글을 인터넷에 올렸지만, 한나는 또 다른 사건을 파헤치기로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에 관련되어 있던 사람들은 폭행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사건이 계속 벌어지고, 결국 이 모든 일들이 수년간 지속되어 오던 조직적인 범죄와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지게 된다.

간혹, 어떤 이야기들을 꽤 흥미있게 진행되다가 약간 마지막이 미진해서 다소 실망스러울때가 있다.(그래서 포기한 것들이 좀.....) 하지만 넬레 노이하우스의 이야기는 아직까지 절대 그런법이 없는 것 같다. 다만 후속작품으로 이어지는 간격때문에 뒷작품이 살짝 난해해진적은 있었다. 사실 앞선 다섯작품들은 순서대로 읽지 않아서 포기할뻔 했으나, 출간순서대로 읽고나서 접한 < 사악한 늑대 >, < 산 자와 죽은 자 >는 엄청 재미있었다. 하지만 또 그 후에 나온 < 여우가 잠든 숲 >, < 잔혹한 어머니의 날 >의 재미는 반감되었었다. 하지만 지금 다시 읽은 이 책에서는 타우누스 시리즈의 재미를 알게된 그 느낌을 받았다. 이 여세를 몰아서 < 잔혹한 어머니의 날 >까지 읽어봐야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지 못한 자들의 세상에서
전건우 지음 / 북오션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매우 힘든 시간을 보냈었다. 하지만 이번엔 더 강한 좀비 바이러스가 찾아왔다. 물론 소설 속 이야기이지만 실제로 좀비바이러스에 의해 사람들이 좀비로 변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까. 으으으으... 생각만 해도.. 좀비에 비하면 그냥 코로나가 조금 더 나을듯 싶다.

전건우 작가님의 이야기는 꽤 매력적이다. 어느 작품이건 지루할 틈이 없다. 사실 좀비이야기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전건우 작가님이라면 또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 책은 잡는 순간 끝이 나버렸다. 이 소설집에는 「콜드블러드」, 「Be the Reds!」, 「유통기한」, 「숨결」, 「낙오자들」을 제목으로 하는 다섯편의 이야기가 있다.

다섯 이야기 중에서 「Be the Reds!」는 읽으면서 2002년의 연평해전이 생각났다. 월드컵 경기도 정신이 없던 그때, 우리 젊은 해병들은 서해해서 북한군과 치열한 전투를 하고 있었다. 이 이야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축구경기가 진행되는 중이었고, 좀비로 변한 사람들과 무한 사투를 벌이는 전경들이 있었다. 또한 「유통기한」에서는 좀비들을 피해 편의점으로 들어간 사람들이 있다. 여기로 대피한 사람들의 태도는 음.. 좀 짜증이 났다. 편의점에서 일하는 연지에게 왜 막대하는 거지. 계산도 안하고 음식들을 먹는 주제에 말이다. "그러게 시간이 얼마 없다고 했잖아요"(p.183)라고 라고 말하는 연지의 말이 소름이 끼치면서도 통쾌하기까지도 했다. 「낙오자들」에서는 참 어이없는 커플을 봤다. 모두 힘든 상황에서 아무리 도망이 급해도 그렇지 자신들을 도와주려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다니, 참 민폐도 그런 민폐가 없다. 사실 코로나 시대를 보내면서 열심히 방역수칙을 지키는 이들도 있지만 이기적으로 남들에게 오히려 민폐를 끼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을 보면 어디서나 그런 사람들은 있나보다.

이제 우리들은 코로나라는 긴 터널을 지나 이제 차츰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다. 또 무언가가 우리를 위협할지 모르겠지만, 이런 좀비바이러스는 아니길 바래본다. 그냥 좀비는 소설속에서만 존재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란 종결자 5
이우혁 / 들녘 / 1998년 10월
평점 :
절판


이순신 장군의 < 난중일기 >는 6월 11일부터 8월 23일 까지는 빠지고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 그래서 저자는 이 사이 장군의 병이 위중했던 것이라 상상하고 이야기를 썼다고 밝히고 있다. 허준은 몸의 병이 아닌 마음에 병이 있다고 진단한다. 물론 허준과 이순신은 만나지 않는다고(실제로도 만났는지는 모르지만) 언급되어 있고, 더 이상의 천기를 바꿀수 없기에 하일지달이 허준과 이순신 사이를 오가며 장군의 병증의 정보를 허준에게 전한다. 허준과 이순신. 이들이 동시대의 인물이라고는 생각을 못했다. 그래서 두 인물이 등장하는게 매우 흥미롭다.

당시의 장군의 중압감이 있었으리라고 본다. 그래서 마음의 병증이 생겼을 터이다. "공은 얻지 못하더라도 인명을 해칠 수 없다"(p.116)라는 소신을 가진 장군의 고뇌가 느껴진다. 사람들의 영혼을 가지고 음모를 꾸미는 마수들의 서서히 발각되며 더딘전쟁으로 진척이 없자 역병을 통해 보다 치밀하게 사람들의 영혼을 훔치려 한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태을사자가 역귀들을 쫓게된다. 태을사자나 흑호는 생계에 관여해서는 안된다는 명령에 따라 은동이 장군곁을 지키게 되지만 전쟁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혹은 죽어가면서도 적군을 죽이려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어린 은동이 안쓰럽기만 하다.

이 5권에서는 왜란종결자인 이순신을 지키기 위해 우리 어벤져스가 장군곁에 머물다 보니, 장군의 상황이 많이 언급된다. 왜란중에 나라를 그리고 백성을 지키기 위해 힘쓰시던 모습, 인질로 잡혀 있는 백성들 보았지만 그 속으로 공격을 가하라고 할때 얼마나 어려운 결정이었을까..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판타지적 요소를 뺀 그런 이야기를 또 읽어봐야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