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악에는 두 개의 약이 있다. 시간과 침묵이 그것이다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틸 라이프 아르망 가마슈 경감 시리즈
루이즈 페니 지음, 박웅희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실북클럽 몽블랑 도서

'그림처럼 완벽한 살인 사건, 누군가 마지막 붓질을 하고 있다'라는 이야기에 주목을 했어야 했다. 제목 밑에 떡하니 써 있는 이야기를 책을 다 읽고 리뷰를 작성할려니 이제서야 보인다. 이렇게 허술해서야 평생 독자나 해야할 것 같다. 가마슈 경감이 등장하는 첫번째 이야기이다. 이 시리즈는 꽤 되는데 중간 이야기를 읽으려 했었는데, 다음편의 스포가 된다고 처음부터 읽어보라는 블로거들의 조언에 따라 독서모임에서도 첫시작인 < 스틸라이프 >를 선택했다. 사실 독서모임날까지 다 읽지 못해서 조용히 자리만 지켜야 했다. 그리고 조금 시간이 흘러서 중반부터 읽기 시작하니 이야기가 겉돌긴 했다. 하지만 해리홀레 이야기도 첫편을 3번째 읽었지만 아직도 이야기가 겉돌고 있고, 12편까지 나온 지금은 완전 팬이 되었기 때문에 지금 이 책의 이야기가 현재는 겉돌고 있지만 가마슈 경감의 이야기도 계속해서 읽어보려고 한다.

아마추어 화가 제인 닐은 자신의 그림 전시를 일주일 앞 둔 어느날 숲 속에서 사망한채 발견된다. 사슴 사냥철 사냥꾼의 오발에 의한 사고였을까. 화살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이를 초월했던 그녀의 친구 클라라도 이 사건에 의문을 품고 진상을 밝히려고 한다. 초반에는 좀 더디게 진행이 되어 가고 있지만 중반을 넘어서서는 빠르게 읽어나갈 수 있다고 하던데, 초반을 읽고 한참 지나서 읽다보니 중반을 넘어서도 조금 지체되는 감이 있었다. 하지만 그림에 의문을 품는 순간부터 이야기에 속도를 붙힐 수 있었다.

루이즈 페니는 이 < 스틸 라이프 >에서 상실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동시에 상실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끊이없는 질문을 던진다(p.466)고 한다. 그런데 나는 왜 질문을 받지 못했을까.. 아마도 집중하지 못해서일까 싶다. 우선은 가마슈 경감의 다음 이야기를 읽어보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읽게 되면 혹시 그 질문을 만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일랜드 - 섬, 그곳에서 캠핑
소재성 지음 / 이지퍼블리싱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는 섬이 엄청나게 많다. 어떤 프로그램에선가 우리나라 섬에서 하루씩 촬영을 한다면 꽤 오래 걸린다고 한 걸 들은 기억이 나는데 말이다. 게다가 섬에서 캠핑을 한다면.. 이 책은 우리나라 곳곳의 섬의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그곳에서의 캠핑을 소개하고 있다. 가끔 캠핑장을 찾아서 캠핑을 한 적도 있지만, 어쩐지 나와는 어울리지 않다. 저자도 15년차 캠퍼이지만, 지금도 사람들은 가끔 "뭐 하러 사서 고생을 해?"하면서 팬션이나 호텔에 머무며 편하게 즐기면 될텐데 왜 굳이 캠핑을 하느냐고 묻는다고 한다. 나는 바로 그렇게 팬션이나 호텔을 권유하는 사람에 속한다. 몇번 가본 캠핑에서도 텐트를 치고 걷는 번거로움, 캠핑장에서의 화장실이라든지 목욕실 등등등.. 불편함이 너무나도 싫다. 그렇다고 캠핑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내 생각을 말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 각자의 취향이 있는 것이니 말이다.

사진에서 소개되는 섬은 참 멋있다. 섬으로는 잘 다녀보지 않아서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섬에 유혹당하고 있었다. 다만, 나는 정적이라 그런지.. 아마도 섬을 찾아간다면 멋드러진 풍경을 배경으로 책을 펼쳐들 것만 같다. 책을 보다가 눈을 들어 낙조를 본다든지, 또 책을 보다가 잠시 휴식을 취할때 자연이 만들어놓은 두무진을 바라본다든가 하는 식으로 즐길것 같다.

특히 재밌었던 부분은 저자가 백령도에 갔을 적에, 어둠이 짙게 내렸을때, 칠흑같은 숲에서 알 수 없는 움직임이 눈에 띄었다고 한다. 분단국가인 대한민국 서쪽끝인 백령도인지라 혹시 간첩이 아닐까 긴장했었는데, 백령도의 가을밤은 생각보다 추우니 조심하고 바다로 나가는 것을 피해달라고 당부하고 사라져간 백령도 해병대였다고 한다. 지리적 특성상 군인들이 불시에 찾아올 수 있다나 뭐라나..

그리고 인상 깊은 점은 "마치 아니 온 듯 다녀가시옵소서"라는 섬마을의 어귀에 걸려 있는 글귀였다. 여행을 다니고 캠핑을 다니게 되면, 돌아가는 길에 마치 머물렀던 흔적이 없이 돌아가달라는 것이다. 국물 하나 밥알 하나 남기지 않고 아니 온 듯 다녀가는 것, 이런것들을 사소하다고 간과한다면 우리는 좋은 야영지를 잃어버릴 것이다.(p.106) 오래토록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하기 위해서는 꼭 지켜져야 할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령도는 지리적 특성상 군인들이 불시에 찾아올 수 있으니 놀라지 않았으면 한다.  - P63

국물 하나 밥알 하나남기지 않고 아니 온 듯 다녀가는 것, 이런것들을 사소하다고 간과한다면 우리는 좋은 야영지를 잃어버릴 것이다. - P1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의 괴담회 - 전건우 공포 괴담집
전건우 지음 / 북오션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건우 작가의 기묘하고 서늘한 이야기이다. 모두 17편의 이야기들이 실려 있다. 지금처럼 더움 여름날 등골이 오싹해지게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과연 작가는 이런 이야기를 쓰면서 공포스럽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봤었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이야기는 「그 여름의 흉가」였다. 공포스러고, 기묘하기도 한 이야기였지만 모성애가 느껴지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사는게 재미없어서 자살하고 싶다는 주인공. 어릴적 엄마는 돌아가셔서 얼굴도 기억이 나지 않고, 아빠는 재혼을 해서 미국에 계시다고 한다. 아마도 외로웠으리라. 들은바로는 엄마도 사는게 심심해서 자살을 했다고 하니, 엄마의 영혼이 들어붙어서 속삭이는 것 같다. 의사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치료를 권유했다. 매번 의사는 똑같은 소리였고, 하나도 나아지는 것은 없어서 치료를 포기하고 친구와 이벤트 회사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흉가체험을 하는 이들의 도우미였고, 그곳에서 만난 한 여자.. 별로 재밌어 하지 않은 사람이었는데, 아무도 그녀를 보았다는 사람이 없었다. 다만 사진에는 명확히 있던 그녀. 그리고 왼손 손목에 붉게 그인 칼자국이 보였다. 그래서 짐작했다. 그녀가 누구였는지... 뒤를 조금 더 읽어보면 뭔가 애틋함이 느껴지는 이야기였다.

공포 괴담집이라하고 이런 이야기를 넣었으니.. 하.. 갑자기 뭉클함이 밀려온다.. 이러면 반칙이지...

그 외에 많은 이야기들이 짧은 이야기로 읽는 독자에게 기묘함을 안겨준다. 원래 단편적인 이야기 안 맞았는데, 꽤 재밌게 읽은것 같아 다행이다. 날씨도 꾸물꾸물하게 흐린 요즘에 읽어보면 꽤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