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그니처 ㅣ 나비사냥 2
박영광 지음 / 매드픽션 / 2017년 9월
평점 :
온라인 독서 모임에서 < 나비사냥 >을 읽고, 시리즈인 것도 좋고, 실제 있었던 일을 모티브로 씌여진 소설이기도 해서 읽게 되었다. < 나비사냥 > season 2라고는 하지만 주인공인 하태석 형사의 주변 인물이 등장하지만 사건은 새로운 사건이다. 그냥 하태석 시리즈라고 해도 무난했을 것 같기는 한데 말이다. 작가는 현직 형사이기도 하고, 실제 있었던 사건으로 모티브를 잡기도 해서인지 이야기가 더욱더 소름 돋기는 한다. 한번쯤은 이름을 들어봤을 법한 유영철과 정남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으니 말이다. 실제 유영철이 정남규가 저지른 사건을 자신의 소행이라고 자백을 했기에 정남규가 늦게 검거하는데 기여(?)를 했다고 한다. 실제 유영철은 현장검증까지 태연히 재연했기에 그가 범인이라고 너무나도 당연하게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그 둘이 어느 시점에서 마주하지 않았을가라는 의문으로부터 이 소설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전작 < 나비사냥 >으로 태석은 부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했다. 다행스레 미숙은 의식을 찾고 치료를 받고 있지만 정신적인 트라우마가 꽤 심하다. 이 사건으로 징계차 고향으로 내려온 태석은 어차피 서울로 돌아갈 사람이라는 탐탁지 않은 시선이 호의적으로 바뀌면서 승진까지 하게 되었다. 어느날 태석은 동생의 친구이기도 했고, 그의 첫사랑이었던 지선이 범죄의 피해자가 되어 사경을 헤맨다는 이야기를 전해듣게 된다. 사건에 진척이 없자, 관할지역의 팀장은 이 사건을 뒤로 미뤄놓은 상태이고, 태석은 이 사건을 수사하고자 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가운데 범인이 잡히게 된다. 하지만 다른 사건에서는 증거가 뚜렷한 반면, 지선의 사건에서만 자백뿐 아무런 근거가 없고, 도무지 범인의 패턴과는 전혀 다른 점을 태석은 간파하고 다른 범인이 있음을 알렸지만 구팀장은 그 사실은 인정하지 않는다.
얼마전에 웹드라마 "어느 날"을 봤었다. 영국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작품인데, 평범한 대학생이 단 하루의 일탈로 억울하게 살인자의 누명을 쓰게 되었다. 정황상 범인이 확실하다면서 다른 경우는 고려하지 않고, 표적수사가 계속되는 그런 이야기였다. 사법시스템의 잘못에 대해 비판하는 그런 이야기였는데, 여기서도 구팀장이라는 인물은 태석의 이야기에 귀기울이지 않고, 자신이 검거한 범인이 모든 사건을 저질렀다고 밀어붙히는 점이 꽤 불편했다. 실제 사건에서는 워낙 유영철이 태연히 현장검증을 재연해서 모두가 속았다 했지만, 여기서는 현장검증마저 형사들이 말해주는대로 하는데도 전혀 의심없었고, 사건이 일어날때마다 치정, 혹은 면식범일 거라면서 태석의 말을 무시하는게 조금은 화가 날 지경이었다. 물론 현장에 계시는 형사분들을 절대로 그러지 않으시겠지만서도 정말로 끔직한 일이다.
사실 장르소설을 읽다보면 실제사건을 모티브로 했다고 해도 끔찍하다 정도로만 생각할 뿐인데, 우리나라에서 실제 있었던 일이고 내가 알고 있는 사건이라 그런지 이 소설은 읽으면서도 참 형언할 수 없는 무언가가 많은 것 같다. 작가의 말처럼 허무하게 목숨을 잃은 수많은 피해자들의 명복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