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녀가 사라지던 밤 2 ㅣ 나비사냥 3
박영광 지음 / 매드픽션 / 2022년 6월
평점 :
온라인 독서모임 몽블랑으로 < 나비 사냥 >을 처음 만나고, 하태석 형사가 주인공인 < 시그니처 >,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저자는 현직에서 형사로 재직하고 있기도 하고, 이 "나비사냥 시리즈"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어서 더 현실감 있고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더군다나 그 실제 사건도 당시 충격적인 상황을 기억하고 있어서 그런지 한 번 잡은 책은 놓을수가 없었다. 그런데, 세가지 이야기 모두 몰입해서 읽었지만 이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은 너무나도 마음이 아리기까지 했다.
7년전 태석을 고향으로 전출시켰던 사건.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이었다. 분명 태석은 김동수를 범인으로 확신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었고, 교묘하게 법망을 뚫고 김동수는 당당히 걸어나갔고, 태석은 징계를 받았다.그런데, 그 김동수가 살해당했다. 범인으로 체포된 사람은 미순의 아버지 임춘석과 선미의 언니 정유미였다. 서로 다른 곳에서 붙잡힌 이들은 서로 자신이 죽였다고 주장했지만 칼에서는 임춘석의 지문이 발견되었고, 유미는 풀려났다. 아직 미순과 선미의 시체가 발견된 것도 아니고, 단순히 실종상태였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두가족은 철철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어떤 범죄가 발생하면 피해 당사자만이 피해자가 아니고 그 가족 모두가 피해자가 되기 마련이다. 법제도가 제대로 범인을 잡지 않았기에 또 다른 살인사건을 만들게 되었다는 비난이 일자, 우선 미제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팀을 만들고, 태석이 팀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을 파헤치게 된다.
범죄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범죄자에게 어떠한 형벌이 과연 적절한 것일까? 가족 모두가 고통속에서 살아가야 하고, 무너지게 되는 것을 과연 그들이 징혁형을 받는다고 위로가 되고 범죄피해가 옅어지게 되는 것일까. 죗값을 치뤘다고 나와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를 수 있지만,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평생을 지우지 못한 상처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에 등장해서 직접 단죄하는 가족들을 비난할 수가 없다.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언젠가 범죄로 아내를 잃은 남편이 판사에게 아이들을 성인이 될때까지 키우고나서 자신이 범인을 죽일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아마도 피해자의 가족들은 다 같은 맘이 아니었을까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