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그냥 조선이야기가 좋다. 한때 고조선 이야기도 좀 찾아봤었는데.. 가능하다면 조선 외 다른 나라의 이야기들도 알고 싶다. 요즘에 신봉승님의 < 조선왕조 500년 >을 읽다 보니, 낯설지 않은 이야기들이어서 꽤 빠르게 읽은 것 같다. 얼마전 세종대왕님 이야기편을 읽었는데, 그 때 느낀 점이 참으로 왕은 극한직업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왕보다는 왕비가 더 극한 직업인 것만 같다. 그야말로 그녀들은 가문과 왕실의권력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애 했던 운명의 여인들이었다.

학창시절 배웠던 역사 속 인물들과 지금 여러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의 생각도 바뀜을 알 수 있다. 아마도 학창시절 배웠던 역사속 그들은, 표면적인 행적들로만 받아들여졌던 것 같다. 하지만 지금 읽어보는 그들은 어째 다른 생각을 갖게 한다. 특히나, 태종의 비였던 원경왕후는 조선의 건국부터 태종이 왕위에 오를때까지 그야말로 정치적인 동반자였다. 하지만 여기 소제목답게, 토사구팽을 당했음이 틀림없다고 생각된다. 태종은 후궁문제도 원경왕후와 대립각을 세웠으며 외척의 정치적 개입에 선을 그었다. 너무 여성들에게만 제약을 가한다는 생각을 이번에 <조선왕조 500년 >을 읽으면서 생각했다.

또한 문종이 세자시절 맞이했던 세자빈들의 폐출 사건들이다. 세자빈으로 간택된 사람들이면 꽤 신중했지 않았을까. 그런데 그녀들이 압승술을 썼다, 동성애에 빠졌다라는 그래서 골칫덩어리였다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 그렇게 성의없이 세자빈을 간택했다고? 학문에 눈을 떴다는 이유로 그녀들을 방치(?)했기에 극한 상황으로 치닫지 않았을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 때문에, 100% 믿고 싶지는 않다.

이제 < 조선왕조 실록 >을 문종편을 읽고 있기에, 다른 왕비들의 이야기는 그저 남들이 견해로만 볼것 같아서 왕비님들이 이야기는 여기서 그만.. 그 책들을 읽어나가면서 여기서 읽은 왕비들의 치열했던 삶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녀가 사라지던 밤 2 나비사냥 3
박영광 지음 / 매드픽션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 독서모임 몽블랑으로 < 나비 사냥 >을 처음 만나고, 하태석 형사가 주인공인 < 시그니처 >,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저자는 현직에서 형사로 재직하고 있기도 하고, 이 "나비사냥 시리즈"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어서 더 현실감 있고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더군다나 그 실제 사건도 당시 충격적인 상황을 기억하고 있어서 그런지 한 번 잡은 책은 놓을수가 없었다. 그런데, 세가지 이야기 모두 몰입해서 읽었지만 이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은 너무나도 마음이 아리기까지 했다.

7년전 태석을 고향으로 전출시켰던 사건.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이었다. 분명 태석은 김동수를 범인으로 확신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었고, 교묘하게 법망을 뚫고 김동수는 당당히 걸어나갔고, 태석은 징계를 받았다.그런데, 그 김동수가 살해당했다. 범인으로 체포된 사람은 미순의 아버지 임춘석과 선미의 언니 정유미였다. 서로 다른 곳에서 붙잡힌 이들은 서로 자신이 죽였다고 주장했지만 칼에서는 임춘석의 지문이 발견되었고, 유미는 풀려났다. 아직 미순과 선미의 시체가 발견된 것도 아니고, 단순히 실종상태였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두가족은 철철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어떤 범죄가 발생하면 피해 당사자만이 피해자가 아니고 그 가족 모두가 피해자가 되기 마련이다. 법제도가 제대로 범인을 잡지 않았기에 또 다른 살인사건을 만들게 되었다는 비난이 일자, 우선 미제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팀을 만들고, 태석이 팀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을 파헤치게 된다.

범죄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범죄자에게 어떠한 형벌이 과연 적절한 것일까? 가족 모두가 고통속에서 살아가야 하고, 무너지게 되는 것을 과연 그들이 징혁형을 받는다고 위로가 되고 범죄피해가 옅어지게 되는 것일까. 죗값을 치뤘다고 나와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를 수 있지만,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평생을 지우지 못한 상처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에 등장해서 직접 단죄하는 가족들을 비난할 수가 없다.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언젠가 범죄로 아내를 잃은 남편이 판사에게 아이들을 성인이 될때까지 키우고나서 자신이 범인을 죽일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아마도 피해자의 가족들은 다 같은 맘이 아니었을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녀가 사라지던 밤 1 나비사냥 3
박영광 지음 / 매드픽션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 독서모임 몽블랑으로 < 나비 사냥 >을 처음 만나고, 하태석 형사가 주인공인 < 시그니처 >,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저자는 현직에서 형사로 재직하고 있기도 하고, 이 "나비사냥 시리즈"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어서 더 현실감 있고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더군다나 그 실제 사건도 당시 충격적인 상황을 기억하고 있어서 그런지 한 번 잡은 책은 놓을수가 없었다. 그런데, 세가지 이야기 모두 몰입해서 읽었지만 이 < 소녀가 사라지던 밤 >은 너무나도 마음이 아리기까지 했다.

7년전 태석을 고향으로 전출시켰던 사건.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이었다. 분명 태석은 김동수를 범인으로 확신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었고, 교묘하게 법망을 뚫고 김동수는 당당히 걸어나갔고, 태석은 징계를 받았다.그런데, 그 김동수가 살해당했다. 범인으로 체포된 사람은 미순의 아버지 임춘석과 선미의 언니 정유미였다. 서로 다른 곳에서 붙잡힌 이들은 서로 자신이 죽였다고 주장했지만 칼에서는 임춘석의 지문이 발견되었고, 유미는 풀려났다. 아직 미순과 선미의 시체가 발견된 것도 아니고, 단순히 실종상태였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두가족은 철철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어떤 범죄가 발생하면 피해 당사자만이 피해자가 아니고 그 가족 모두가 피해자가 되기 마련이다. 법제도가 제대로 범인을 잡지 않았기에 또 다른 살인사건을 만들게 되었다는 비난이 일자, 우선 미제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팀을 만들고, 태석이 팀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미순과 선미의 실종사건을 파헤치게 된다.

범죄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범죄자에게 어떠한 형벌이 과연 적절한 것일까? 가족 모두가 고통속에서 살아가야 하고, 무너지게 되는 것을 과연 그들이 징혁형을 받는다고 위로가 되고 범죄피해가 옅어지게 되는 것일까. 죗값을 치뤘다고 나와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를 수 있지만,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평생을 지우지 못한 상처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에 등장해서 직접 단죄하는 가족들을 비난할 수가 없다.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언젠가 범죄로 아내를 잃은 남편이 판사에게 아이들을 성인이 될때까지 키우고나서 자신이 범인을 죽일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아마도 피해자의 가족들은 다 같은 맘이 아니었을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전함 강감찬 몽실북스 청소년 문학
박지선 외 지음 / 몽실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아~ 드디어 강감찬 장군님이 등장하시는군요^^ 매우 용맹스러울 내용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자리를 내어 줍니다
최현주 지음 / 라떼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아~ 매우 따듯한 이야기를 담은것 같아됴^^ 표지도 따뜻해 보이네요, 어서 읽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