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옷장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2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니 에르노를 시작하기에 적합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삶이 들어있으니까 말이다. 그녀는 말했다. 이 책은 빈 옷장의 폭력성으로 시작해야했다고 말이다.

첫 장면부터 불법 낙태 시술의 충격적인 현장으로 저자는 우리를 데려간다. 시뻘건 피...그리고 더러운 헝겁조각, 조잡한 도구들.... 왜 그녀가 20대에 거기에 그렇게 누워있어야했는지 우리는 알지 못한다.

그녀는 작은 괴물, 더러운 여자애, 구석에서 헤메는 아이..... 하지만 공부를 잘해서, 선생님의 물음에 모두 답함으로 그들의 빰에 따귀를 때려주는 아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삶 속에서 식료품점의 구석에서 탈출하고자한 아이였다.

아니 에르노가 자라난 환경은 다소 폭력적이다. 그들의 언어가 그러했으며 그들의 사고 방식이 그러했다. 그리고 여자에게 낙태를 종용하고 같이 그런 행위를 남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책임을 묻지도 않는 사회였다. 그래서 그녀들은 불법으로라도 수술을 받는 곳을 찾아내야했고 그곳에서 수치심 가득 앉고 다리를 벌려야했다.

후에 아니 에르노의 이런 경험은 그녀가 여성의 성 결정권에 관한 사회운동을 하게 만들고, 원치 않은 임신을 한 여성들을 돕는 계기가 되었던 것같다. 그녀의 고된 경험이 많은 여성들을 구원으로 인도한 셈이다. 자신의 몸으로부터의 구원말이다. 더 이상 몸이 속박이 되지 않는 구원...

글쓰기 역시 구원의 행위라는 그녀의 말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그녀는 글을 써서 과연 누구를 구원할 것인가? 글을 쓴다는 행위 자체는 자신을 구원하고 그 글이 출판되어 나왔을 때는 거기에 공감하고 느끼는 모든 이를 구원하겠지...

아니 에르노가 하나의 장르라고 불리운 까닭은 자신의 이야기를 소설의 형식을 통해 거침없이 고발하고 있는 글쓰기를 추구해서가 아닐까? 그녀의 글을 읽다보며 그 시대의 파리가 보이고 사람들의 생각이 읽힌다.

아니 에르노의 글들을 다시 한 번 더 읽어 보고 싶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트로폴리스 -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도시의 역사로 보는 인류문명사
벤 윌슨 지음, 박수철 옮김, 박진빈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트로폴리스 궁금한 도시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0일 밤의 미술관 - 하루 1작품 내 방에서 즐기는 유럽 미술관 투어 Collect 5
이용규 외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한 작품씩 조용한 시간에 즐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0일 밤의 클래식 - 하루의 끝에 차분히 듣는 아름다운 고전음악 한 곡 Collect 2
김태용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의 클래식 여행..너무 하고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정한 장소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미셸 포르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니 에르노의 진정한 장소를 읽고 나만의 진정한 장소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녀에게 진정한 장소란 어떠한 특정 장소가 아니라 바로 글쓰기 그 상태인 것같다. 자신의 글쓰기에 대해 덤덤히 인터뷰를 이어간 아니 에르노의 이 책은 지금 막 글쓰기에 입문한 예비 작가 지망생이나 간간히 습작을 해 오고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책일 것같다.

특별히 글쓰기의 지침을 가르치는 것은 아니지만 그녀의 글을 읽고 있으면 쓰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나도 그녀처럼 진정한 장소에서 어떤 몰입을 경험하고 싶다....하고 느끼는 것이다.

그녀는 글을 쓰는 것을 강바닥에서 돌을 주워담는 것이라고 묘사했다. 무엇이든지 구체적인 상태에서 글쓰기가 출발하며 돌처럼 구체성을 띄고 만져져야 글을 쓴다는 것이다. 추상적인 상태에서는 그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사진에도 그녀의 의미부여는 특별하다. 사진은 글쓰기의 마중물이며 시동장치이다. 그녀는 사진을 통해 보다 풍부한 글쓰기를 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인 과거로의 지향에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글을 쓴다는 행위 외에 다른 것은 일체 생각한 적이 없는 아니 에르노... 그래서인지 그녀 자체는 바로 장르로 읽히는 듯하다. 자기 속의 이야기를 소설의 방식을 삼아 기억을 담담히 서술했다. 그녀는 그것을 구원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글쓰기 역시 기부라는 형식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물론 받아들일지 아닐지는 읽는 독자에 달렸지만 말이다.

그녀처럼 나도 구원의 글쓰기를 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나 스스로를 구하기 위해서 말이다. 나만의 진정한 장소도 그녀와 같은 몰입의 시간이기를 바란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