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명작가지만 글쓰기로 먹고삽니다 - 나는 이렇게 전업 작가가 되었다!
이지니 지음 / 세나북스 / 2021년 4월
평점 :

글쓰기로 먹고 사는 일은 언제나 궁금하다. 작가라는 직업이 주는 선망 때문일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지니 작가의 열정이 느껴진다. 바로 글쓰기에 대한 열정이다. 그것은 꼭 재능이 있다거나 무슨 말을 전해야겠다는 사명감을 벗어나서 그냥 그 자체, 글을 쓰면서 살고 싶다는 그 자체의 열정이었다.
꾸준히 무언가로 글을 써 오고, 수백만원의 글쓰기 강의료를 내면서까지 그녀는 글쓰기에 목이 말랐다. 누구보다 작가가 되고 싶어함이 느껴졌다. 그래서 아마 무명작가지만 글쓰기로 먹고 살 수 있을 지금이 이른 것이리라....
책은 소소히 출판사부터 등단에 이르기까지, 또 후에 출판 후 어떤 길이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현재 쓰고자하고, 그 뜻이 있는 사람에게는 작은 위로와 동시에 길이 될 것같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역시 쓰는 행위이다.
자신의 글이 누군가에게 긍정의 마인드를 심어주고, 영감을 줄 수 있다면 그 한명을 위해서라도 계속 해나가는 것... 바로 그것이 지속성이다. 지속적인 글쓰기 없이는 작가라는 타이틀은 그냥 빚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끊임없이 써오고 단련한 사람을 유명작가라도 따라올 수는 없다. 책 한권만 내고 사라진 사람들, 그리고 곡 한곡을 띄우고 소식 없는 사람들... 많지 않은가?
유명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무명의 길이 필요하다. 혜성처럼 나타나는 신인도 물론 있지만 대다수는 무명의 시절이 있고, 그 시절을 견디었기에 지금이 있다고 말을 하니 그 시기는 꼭 필요하다 생각한다.
난 너도 나도 유명작가가 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유명작가를 향해서 갈 필요도 없고 목표를 거기에 두어서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글이란 유명세에 기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글이란 내면의 소리이다. 글을 보고 그 사람이 궁금해지고 누구인지 더 알고 싶은 것이지, 유명세를 업고 서 쓴 글이 궁금해지는 것은 아니다. 다른 사람은 몰라도 난 그렇다.
아직도 궁금한 사람들이 많다. 내면에 속삭임을 무시하는 이들... 그 이웃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 그러고 보면 누구나 작가이다. 이야기 하나쯤 모두 가슴 속에 품고 있으니 말이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