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에도 거리두기가 필요합니다 - 상처를 주지도 받지도 않는 적정 거리 심리학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6
권수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계 맺기를 하지 않고 살아갈 수는 없겠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이 꼭 알아야 할 거리 두기를 책은 말하고 있다. "관계에도 거리 두기가 필요합니다"라는 도서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는 꼭 필요한 요즘의 핵심 키워드이다. 사람과의 사이에도 적절한 마음의 거리가 필요하다. 신체적 거리와 마음의 거리가 적절할 때 서로 간의 정확한 경계 속에서 범위를 침범하지 않고 안전한 관계를 이룰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항상 판단하는 것을 좋아하는 우리 뇌는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보려고 하지 않는다. 작은 단서를 통해 먼저 판단하게 되는데 새로운 관계 맺기에서 그 시작은 즉각적인 판단을 멈추라고 한다.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것은 쉽지만 쉽지 않다. 자신의 색을 입혀 자신이 보고 싶은 모습만 보는 것은 결코 그가 아니다.

엄마와 자녀 간의 대화를 보면서 문제가 무엇인지 보였다. 자녀에게 실망하는 것은 자신의 욕구가 큰 탓이라고 한다. 어떤가? 가만히 곱씹으니 그 말이 맞다. 책임을 상대에게 미루는 것이 아니고 나에게서 찾고 있었다. 내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 것을 상대방에게 원인이 있는 듯 말해왔다. 왜라고 따지기 보다 어떻게를 통해 대화와 소통을 하라고 하는데 현실에서는 항상 왜가 먼저 나온다.ㅠㅠ 수련이 필요하다. 수련이. 현실과 이론 사이에는 너무나 극복하기 힘든 층이 있다. 그 층을 아주 얇게 만들어가야 무언가 눈에 보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지금 여기에서 그 사람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에포케를 제대로 보고 있는가? 에포케는 판단 중지라는 철학 용어이다. 그 용어를 빼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어느 날 갑자기는 더구나 안될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시간이 필요하다. 관계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알면서도 실천하지 않는 바보 멍청이가 되지 말고 한발이라도 내딛는 삶을 살아보기를 기원해 본다.

세상에 그냥 주어지는 관계는 없다. 공들여서 잘 키워야 성장할 수 있다. 내가 맺었던 관계들을 한 발 뒤에서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증 때려잡는 스트레칭
최재석 지음 / 센시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꼭 해야할 스트레칭으로 우리 몸을 통증을 뿌리 뽑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을 따라하며 실천하다보면 어느사이 기능의 회복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증 때려잡는 스트레칭
최재석 지음 / 센시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동을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좋아하지 않는다고 내버려 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나에게 일어난 일로 인해 더 이상 운동을 멀리 둘 수 없었다. 마침 꼭 필요한 책 "통증 때려잡는 스트레칭"을 그래서 더욱 열심히 읽었다.

작년에 어깨가 너무 아팠는데 그러다가 말겠지 하면서 시간을 보내다가 결국 병원으로 갔다. 병원에서 검사 결과 어깨에 결석과 더불어 오십견이 생겼다고 했다. 아픈 것에는 항상 이유가 있다. 그러다가 통증이 없어지지 않는데... 어리석음의 결과였다. 실손 보험을 열심히 내면서 혜택받는 법도 몰랐다가 처음으로 병원비 환급도 받아보았다. 몇 번 안 갔는데 완전히 좋아졌다. 주사를 맞고 체외 충격파를 받고 도수치료도 처음 받았고... 금방 좋아졌는데 한 달 만에 재발했다. 병원을 가니 수술을 해야 한단다. 수술은 간단한데 회복 시간이 꽤 필요했다. 그래서 바로 병원을 끊었다. 운동을 해 보고 도저히 안되면 병원을 가리라라고 결정을 하고선 지금은 운동 중이다. 그러다가 찾게 된 물리치료사 재석 님의 유튜브 스트레칭은 나에게 효과 만점이었다. 꾸준히 따라 하고 있었는데 제목만 보고 서평을 신청했었는데 내가 즐겨찾기 한 재석님이라 더욱 반가웠다.

통증의 원인은 역시 잘못된 자세였다. 인정한다. 웅크리며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한 날은 역시 더욱더 아팠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짧아진 근육 혹은 늘어난 근육을 스트레칭을 통해 원래로 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그냥 막 내 맘대로 따라 했는데 책을 보니 순서가 있었다. 마사지와 정적 스트레칭 그리고 동적 스트레칭 파워 프로그램 순서로 진행된다고 한다. 항상 마무리에 덧붙이는 내용은 아프지 않은 범위 내에서 저 강도로 운동하세요라는 말이다. 하루 10분, 20분 스트레칭을 2~3회 자신의 몸 상태에 맞게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통증도 감소되고 원래 정상의 가동 범위까지 가지 않을까? 오늘도 기대를 하며 열심히 따라 해본다. 유튜브로 보다가 책으로 보니 조금 더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문화 쇼크 - 한국의 다문화주의는 왜 실패하는가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70
김무인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제결혼을 소재로 한 드라마가 텔레비전에 나오면서 그 심각성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던 시기가 있었다. 한창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며 우리 사회의 민낯을 과감히 보여주는 시간이었는데. 다양한 폭력에 노출된 국제결혼과 그 자녀들의 문제는 당시 책과 방송에서 끊임없이 나왔다. 너무 오래되어서 스토리만 기억이 나지 제목은 기억이 안 난다. ㅠㅠ아무 책임성 없는 그들 개인도 문제였지만 우리 사회 또한 다문화에 대한 시각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문화 쇼크"를 통해 다문화를 다시 생각했다.

어느 사회나 다양한 민족 간의 이동은 있었다. 그리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주민과 원주민의 모습을 우리 사회를 통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국력이 강한 나라와 국력이 약한 나라에 대한 우리의 차별의식 그리고 똑같은 모습을 과거 우리나라에서 찾을 수 있었다. 뉴질랜드로 이민해 지금까지 살고 있는 김무인 저자는 이중적 입장에서 무엇보다 다문화를 잘 말하고 있었다.

동남아에서 온 신부를 바라보는 시선들을 우리는 원주민으로 너무나 당당하게 보내지 않았던가? 빈곤 탈출을 위해 결혼을 선택한 여성, 저임금으로 어려운 산업현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모습들 이 모두가 우리가 의식 없이 방관해 온 문제들이다. 더 이상 대안이 없다면서...에스니시티라는 단어가 나온다. 처음 들은 용어인데 인종과 문화의 혼종으로 인종과 문화가 양 끝점에 있다면 에스니시티는 중간 어디쯤에 위치한다고 한다. 그런데 예시를 통해 나온 "누가 한국인인가?"를 묻는 질문에 대답하면서 다문화주의를 다시 생각했다.

다문화주의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이다. 어떻게 하면 다문화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그들을 받아들이며 사회적인 융합을 꾀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함께 가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더 이상 다문화라는 말로 차별하고 구획 짓지 않았으면 좋겠다. 아직은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지라도 우리 스스로가 열린 시각으로 그들도 대한민국의 일부임을 부인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치입맛 경제밥상
김상민 지음 / 패러다임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와 경제를 같이 말하고 있는 정치 입맛 경제 밥상을 읽었다. “미래를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 감내할 것인가? 아니면, 현재를 위해 미래를 희생시킬 것인가?”란 작은 소제목이 사람을 붙든다.

정치는 개인의 자유를 소중히 여길 때 안정을 이루고, 경제는 개인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할 때 비약적으로 발전한다고 말하며 정치와 경제의 밀접성을 말하고 있다. 두 분야가 전부 어렵지만 현재 우리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말하고 있다. 3월 선거를 생각하면 우리는 정치와 경제를 우리 방식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어떤 후보를 선택할 것인가? 정치를 잘 하면서 경제를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는 역동적인 대한민국을 제시할 수 있는 정치인은 누구인가?

먹고사는 것을 해결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한 일이다. 우리의 근대사 속에 아픔은 우리의 정치와 경제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켰지만 온전하게 탄탄한 바탕을 만들어온 것은 아니다. 탄탄한 길을 만들기 위해 지금도 한 발씩 내딛고 있는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만들어 온 모습과 다양한 국가들의 모습을 경제사 학자 데이비드 란데스는 잘 말하고 있다. “ 세계는 체중을 줄이기 위해 많은 돈을 쓰는 나라, 살기 위해서 먹는 나라, 다음 끼니가 어디에서 올지 모르는 나라 등 3가지로 나뉜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시장경제의 발달은 대립과 갈등을 조장한다. 소수의 엘리트 집단에 의해 정권이 유지된다고 해도 전체 국민의 발전한 의식 수준이 없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우리 사회는 화합과 통합의 목소리보다 불신과 불통 그리고 반목과 갈등이 먼저인 사회인가? 인터넷 속에 떠도는 거짓 정보에 의해 무분별한 정보는 이러한 점을 더욱 조장하는 것은 아닌가? 개인과 사회 그 속에서도 신뢰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신뢰를 이끌어낼 수 있는 사회인가?

국가는 살아있는 유기적 생물체인듯하다. 끊임없는 변화를 이끌며 정치와 경제 속에서 순환을 계속하고 있다. 어떤 모습으로 진화를 계속할지 어려웠지만 책을 통해 조금씩 상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정치와 경제라는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라 어려웠지만 꼭 필요한 주제가 담긴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