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좋아했던 책 중의 하나다.

이 책의 미덕은
읽다가 덮어 놓아도
잠시 던져 놓았다, 아무 곳이나 펼쳐도
그리 어색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읽히는 것이다.
주인공의 삶이랄게 하루 하루 죽음과의 싸움인데도
뭐랄까 수용소에서의 음식과 노동 추위, 살아남기와 그 속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들이 너무나 자세히 적혀 있어
마치 아무 일도 없는 듯 수용소의 하루들이 지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어디부터 읽어도, 덮어 놓았다 펼쳐도 여전히 주인공은 수용소에서 고분분투중이다.


그래도 그리 암울하거나 우울하거나 슬프지 않은건 주인공이 가진 인간적인 따스함이 아닐까
이념도 그 무엇도 알지 못하고, 소박한 삶을 살아가던 이반은
도무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수용소에 갇혀 서도
열심히 살아간다.
십년이 다시 십년이 되어도 묵묵히 소박하게
살아간다.
죄없으나 억울해 하기보다는 묵묵히 살아가고 이겨내고
거기서도 가장 밑바닥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그 무언가를 간직한체
살아가는,
한 끼의 배부름이 없어도,지옥같은 그 곳에서도, 측은함과 선량함을 잃지 않는 이반을 보며
이반처럼 하루를 무사히 보냄에 감사기도를 하게 된다.

고등학생 시절 읽을 때는 그저 수용소 삶에 대한 호기심, 이빨 몽땅 빠진 선량한 이반을 생각하며 읽었다면
지금은
수용소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자는
남의 밥그릇을 핥는 자와 밀고자다라는 글귀에 눈이 간다.
수용소에서조차 권력에 기생하고, 돈에 아부하는 이들을 보며
새삼 이반의 순수함이 고맙게 느껴진다.
결국 나쁜건은 이반이 아니라 이반을 거두는 그 사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적엔 눈이 가득한 이 아름다운 곳에
가득한 불륜과 더러움?
그리고 폐병쟁이들이 왜 이리 많아..라며 몇 번이나 덮고 싶었으나.
야스나리의설국 읽어봤어?란
문학반 아이의 말에 얼떨결에 응 이라 대답하고 숙제처럼 읽었던 책이다.
나중에 그 아이도 읽지 않은게 밝혀졌으니..두둥~ ㅎㅎ

가장 처음 접한 일본책이 ˝빙점˝
눈 가득한 고장, 여주인공이 무릎 꿇어가며 무용실을 닦던 기억만 어렴풋이 난다.....

그러고 보면 둘다 눈이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얀눈
세상을 덮듯 자신조차 덮힐 것 같으나
시간이 지날 수록 더 지저분하고 적나라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게 눈 온 뒤의 거리가 아닐까.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설국의 첫 줄이자, 가장 유명한 구절이 아닐까.
이 구절에 속아 온갖 낭만을 생각하며 책을 펼쳤던 여고생에게
게이샤와 약혼자와 또 다른 여자니 하는 것은 정말 ...


지금은...
모든 것이 헛수고라는 시마무라도
뻔히 헛수고임을 알면서도 어쩌지 못하는 고마코와 요코도 조금은 이해가 되기도 한다.
삶이란건 그리 마음먹은대로 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어떨땐 바보같은 집착이나 헛수고도 삶의 이유가 됨을
눈 가득한 설국에서 타오르는 불꽃 하나가 가르쳐 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재미있게 읽히고, 페이지 수 줄어드는게 아까운 책은 정말 오랜만이다.
예전 연애소설 읽는 노인 읽을때 그런 기분을 느끼곤 했는데...

네루다란 시인의 시도 찾아 봤다.
그리고 닭살스럽게도 한번 소리내 읽어 보기도 했다.

책 한구절, 바다를 이야기하는 시를 소리내 읽어 보고
메타포의 향연을 보며
참 시란......아름답구나란 생각을 했다.
세상 모든 것이 메타포임을 알게 되었을때 마리오는 시인이 되어
또 다른 눈으로 세상을 보게 된다.

이슬라 네그라란 작은 섬
바닷소리, 새소리, 갈매기....
그리고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마리오
칠레의 태양만큼이나 불타는? 마리오와 베아트리스의 사랑
그 사이에 중매쟁이가 되어 버린 네루다.
남미의 탱고와차차차처럼 네루다가 친숙해져 버렸다.

최초로 선거를 통해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칠레
그러나 친미정권의 군사쿠데타로 모든 것은 다시 되돌려지고
네루다는 떠나지만

세상 모든이의 것이 된 네루다의 시는 남아 있다.
나직하게 읊조려도
주먹을 쥐고 가슴이 터져라 외쳐도
눈물을 훔치며 웅얼거려도
네루다의 시는
마리오의 이야기는 변하지 않는다.
변하지 않음의 메타포
순수와 우정의 메타포를 네루다와 마리오가 만들어 놓은 것 같다.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것이에요.˝라 외치던 마리오
마리오는 어디로 갔을까. 다시 돌아와 한적한 이슬라의 파도를 보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선과 절망
네명과 한명,
아니 모두에다 나의 좋은 것은 죄다 빼 모은 것과 하나
아니 죄다 빼 모은 것에 영혼까지 걸어 두어 결국 그 하나를 버려도 남는 건 텅 빈 눈.

돌아 볼 수 없다
상처받은 자신, 그리고 주변의 상처도 모두 죄다 돌아 볼 수 없다.
덩쿨가득 다락방 있던 햇살 가득하던 완벽한 집이 이제는
네 명의 아이들이 저마다의 상처를 가지고 벗어나려고만 하는 집이 되었고
팔아야만 하는 집, 떠나야 하는 집, 그래야 사는 집이 되었다.

아무리 팔아도, 아무리 도망다녀도 버릴 수 없다.
내게 상처를 줬어,
그 괴물때문에 나를 버렸어.
그 괴물을 그래도....... 죽게 할 순 없었어.
그런데 그게 왜 ? 모든게 왜 내 책임인거지?

괴물이 태어나고 길러진다.
뱃속에서부터 저주받던 괴물.
엄마는 마치 자신의 죄인냥, 주변도 엄만을 탓해,
엄마는 얼른 젊음따윈 버려버리고 싶어, 폭삭 늙어 버리고 싶어지지.

모두들 괴물따윈 ............아프지 않을거라 생각하지만,
슬프지 않을거라 생각하지만
감정이 없을거라 생각하지만
그건 모르지 아무도 괴물이 되어보지 못했으니.

섬뜩하고 무서웠다.
가장 이상적이었던 가정이.
두 부부의 오만이나 이기심탓이었을까
그렇다기엔 너무 가혹한 결말이다.
그들이 그렇게 원했던 가족은
살기 위해 모두 흩어져 버리고, 자신만의 은신처를 찾아내 꼭꼭 숨어 버린다.
그래도 그 아이들에겐 그림자가 깊다.

아픈 한 손가락을 차마 버리지 못했던
엄마는 수많은 비난속에
버려짐 속에
아무에게도 이해받지 못한다.
나조차 감정이입이 되어버려, 엄마를 비난한다.
괴물이 사라지길
다섯째 아이가 태어나기 전으로 돌아가길...
하지만, 다섯째 아이가 태어나지 않았더라도 왠지 불안하게 느껴지는 너무나 완벽해 보이는 전원 속 다락방 있던 큰 집.
그러다 이 모든 일의 또 다른 주모자인 남편을 비난하다, 그 또한 돈만 벌며 외롭게 늙어가는 모습이 너무 큰 벌은 아닐까 안쓰럽게도 느껴진다.

감정이입이 되어서 너무 힘들었다, 읽기가..
행복한 가정, 아이들이 가득한 이상적 가족이란 이 시대에서는 그저 망상에 불가한걸까.
집착일뿐인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사 퀘스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2
도리스 레싱 지음, 나영균 옮김 / 민음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섯째 아이를 참 재미있게 봐서일까.
도리스 레싱의 소설에 또 손이 갔다.
모딜리아니의 그림도 한 몫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읽는 내내 그녀, 마사가 불편하다.
그 찬란한 젊음이 아까워서 화가 났다.
왜 그런거니.
왜...

그러다 아..
20살 그 빛나는 아이를
나는 40의 눈으로 보고 있구나.

예전 어린 시절,
호밀밭의 호올든의 그 끊어질 듯 섬세한 신경질적인 느낌들이
느낄 순 없어도 이해할 수 있었는데.
마사의 그 묘한 거미줄처럼 질기고도 가녀린 변덕과 알 수 없는 마음들을
이제는 불편하게 느낀다.
너무 아까운 하루인데, 그냥 서 있기만 해도 아름다운 청춘을
그저 버리는 듯한 마사를 이젠 40살...20살의 하루를 그리워하는 40살의 눈으로 보고 있으니
답답만 하다.
그러다.
아 불쌍하고 슬픈 젊음.
그 시절 일기장을 채웠던 사춘기같은 삶의 이야기와
젊지 못한 사람과 사람들에 대한 혐오,
그리고 배격들을 기억해 냈다.

그렇다.
전쟁과 정신없이 변하는 세상 속에 그냥 무방비로 던져진
젊지만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이들에겐
그저 변덕같아 보이는 순수만이 무기임을 알게 되었다.

자신의 삶을 어쩌지 못해 잠들지 못하는 마사.
마사가 찾는 것은 무엇일까
쫙 빠진 멋진 옷을 입는다고
밤새 떠들고 논다고
치기어린 젊은이들의 우상이 된다고
그 무엇도 마사를 채울 순 없어 뜬 눈으로 밤을 새우지만.
떠들석한 남자녀석들도 그저 아이인것을.
어떤 식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른체


40의 내겐 그들은 아직도 아이이다.
치기어린고 순수하지만.
아직 이 세상의 그 무엇에도 책임질 준비 되어 있지 않은,
우린 모두 그렇다. 위장을 하고 아닌 척 하지만 모두들에겐 불면의 밤이 기다리고 있다.
불면의 기억이 있다.

식민지나라에서 지배국가의 국민으로, 노예와 평등 사이에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에서
그리고 또 다시 터질 전쟁의 위험들 속에서.
어느 쪽을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마사.
좀 돌아서 오겠지만, 몇 번은 헤어지고 만나겠지만. 자신이 원하는 모습을 찾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