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전의 날씨
볼프 하스 지음, 안성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15년의 전의 날씨> 추리와 로맨스의 만남...

이 하나의 문구로 흥미를 불러일으킨 소설이었다.

날씨라는 독특한 소재도 독특했으며 추리소설로 독일에서 이름을 얻고 있는 볼프하스

라는 작가에 대해서도 기대를 많이 했었다. 그리고 인터뷰 라는 형식으로 글을 풀어나

간다는...왠지 모든게 새로울것 같은 <15년전의 날씨>...

하지만,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첫장을 넘기고 그 다음장을 넘기고 또 그 다음장이 넘어

갈수록 이건 아닌데..라는 마음 뿐이었다.

내가 너무 많은 기대를 가지고 책을 읽으려고 한걸까?

인터뷰라고는 했지만 이렇게 처음부터 끝까지 작가와 기자와의 인터뷰만으로 구성되

어 있으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물론 처음 접하는 형식이라 이해하기 힘든 나의

독서편식에도 문제가 있을수 있겠지만, 두번째 읽어봐도 역시 힘들었다.

코발스키라는 사람에게서 영감을 얻어 소설을 쓰고 유명해진 작가와 냉소적인 여기자

와의 5일간의 인터뷰. 

여기자의 날선 하지만 뭘 밝혀내고 싶어하는지 모를 질문들과 능구렁이 같은 작가의

알수 없는 답변들로 집중되지 않는 이야기였다.

독일..철학의 나라라고 했던가? 그래서 이 책이 독일에서는 그렇게 유명한건가?

나름 많은 소설을 읽는다고 생각했는데 15년전의 날씨를 읽으면서 나의 이해력과 집중

력에 문제가 있는건가 하는 생각도 들었었다.

재미있어서 두번 읽은 책이 아닌 꼭 제대로 이해하고 싶어서 두번 읽은 소설.

역시 나에겐 소설은 소설 다워야 제 맛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정 - 나를 위한 변화 에너지
존 고든 지음, 전제아 옮김 / 바이탈북스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 내게 필요한 건 오직 열.정.- 

블로그, 휴대폰, 수첩 할 것 없이 눈에 보이는 모든곳에 적어놓은 글귀.
언제부터인지 한없이 우울하고 나 자신이 한심해 보였다.

나이가 너무 많고
시작하기엔 너무 늦은것 같고
친구들과 같이 평범한 수순을 밟아서 살지 못하는 것 같으며
예전과 같은 무모한 열정조차 없어져 버린 요즘에 나는 너무 한심했다.

평소에 열정과 같은 '힘내세요~' 류의 도서는 거의 읽지 않는 편이다. 뭐라고 잔뜩
말은 하고 있지만 정작 결론은 꿈을 쫒아 노력하면 모든게 이루어진다 라던지,
성공한 사람들을 본받아 생활하면 당신도 그렇게 될수 있네요 등의 뻔한 결말들.
그런건 아주 어렸을때 부터 알던 거잖아...

열정을 읽기 시작한 첫번째 이유는 바로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였다. 
열.정. 얼마나 두근거리는 단어인가.
하지만 다른 도서와 비슷하겠지 라면서 읽기 시작한 이 책을 순식간에
- 지하철 종점에 내려 구내에 앉아서 다 읽고 버스를 갈아탔다-
읽었고, 다시 한 번 꼼꼼히 내게 필요한 부분을 줄쳐가며 읽었다.

누군가는 이렇게도 말하겠지. 다른 책과 내용이 비슷해요~~
물론, 나도 그렇게는 생각한다. 
하지만 <왜? 어떻게? >를 간단명료하게 말해주면서 실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
지를 구체적으로 적어놓은 열정은 분명 다른 책과 다르다고 말하고 싶다.
아마 요즘 우울모드인 내게는 200% 작용했을수도 있다.

지금 나의 블로그에는 장거리 선수가 되자 라고 적어놓았고
수첩에는 꿈을 이어주는 다리를 만들자 를 적어놓았고
휴대폰에는 늦은것은 없다라고 적어놓았다. 
그리고 사무실 책상에는 건과류를 사다 놓았고, 커피를 한 잔 줄이고 녹차를 한 잔
더 마시기 시작했으며 저녁식사 후 동네 산책도 시작했다.
분명 예전에도 했던 일이지만 왠지 조금 더 나를 위해서 이 모든 것을 한다는 느낌이
든다. 이게 바로 책의 도움이 아닐까 싶다.

너무 큰 조언이나 인생설계를 원하면서 읽으면 아무것도 얻지 못할수도 있다.
바로 생활에 적용시키면서 분명 책을 읽기 전보다 조금 더 나아진 모습은 얻을수 
있을 것이다.
아직 내겐 예전의 무시무시한 열정은 없다. 하지만 다시 열정을 피우기 위해 노력하는
한심하지 않은, 오늘같이 비가 와도 우울해 하지 않는 소중한 내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쉬 스토리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름 일본소설에 대해서는 꽤 매니아인 편에 속한다고, 누구보다 빨리 새로운 작가의
 
글들을 찾아본다고 자부했었던 내가 이번에 이사카 코타로의 소설을 읽으면서
 
그동안 가졌던 매니아라는 자부심이 한순간에 무너지고 말았다.
 
어느 순간부터 새로운 글을 찾아 읽기보다는 기존의 나왔던 안정된 작가들의 후속작에
 
더 관심을 가졌던, 그래서 요즘 시들해져가는 일본소설에 대한 나의 애정이 이번 피쉬
 
스토리를 통해서 다시 한번 불붙게 되었다.
 
우선 짧고 강렬한 단편을 좋아하는 나의 취향에 맞았고,
 
추리소설인듯 싶다가도  아닌것 같고, 따뜻한 감성을 자극하는 이야기 인가 싶다가도
 
전혀 엉뚱한 결말을 내어버리는 고정되지 않은 이사카 코타로의 글을 풀어나가는 솜
 
씨에 완전히 반해버렸다.
 
<정말 재미있는 이야기다.>
 
다음 날이 휴일 인 밤 늦게 별 생각없이 첫장을 넘긴 후
 
한 순간도 덮지않고 끝까지 읽어버리면서 - 가끔씩은 이렇게 빨리 읽어나가는 습관은
 
전혀 좋지 않은것 같다. 왠지 뭔가 아깝다는 느낌- 계속 가졌던 생각이었다.
 
짧은 4개의 단편에서 늘 전혀 생각치도 못했던 결말을 선사해주는 멋진 소설.
 
 
동물원의 엔진 :  얼토당토 않은 추리에 처음에는 이게 뭐야 싶다가도 어느새 정말
 
그런게 아닐까라고 동조해 버린 내게 전혀 생각하지 않은 결말을 보여주었지만
 
왠지 그의 추리가 맞는게 아닐까라고 계속 생각하게 만들어 버린 이야기.
 
새크리파이스 : 일본만화 바사라의 한 에피소드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그래서 다른
 
단편보다 더 재미있게 읽었던 단편.
 
피쉬스토리 :  읽는 중에는 곰곰히 생각하게 하지만 다 읽고 난 후에 완전히 반해버린
 
이야기. 매력적인 한 구절에 엮여져 있는 촘촘한 인연들을 깔끔하고 치밀하게 보여주
 
는 솜씨.
 
포테이토칩 : 다른 단편들보다 인물에 더 중심을 둔 듯한 느낌. 한명 한명의 캐릭터들
 
이 너무 생생해서 그래서 조금 더 슬펐던 단편.
 
 
각 단편들의 개성이 확실해서 전혀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읽어나갈수 있었던 책이었
 
다. 재미있는 글을 만난다는 즐거움. 멋진 작가를 알게 되었다는 즐거움.
 
오랜만에 이 두가지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 피쉬스토리. 아마 한동안은 이사카 코타
 
로에게서 빠져나오지 못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두가 네스터를 죽이고 싶어한다
카르멘 포사다스 지음, 권도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친철한 추리소설.

굳이 이 책을 추리소설로 구분짓는 다면 나는 '친철한'이라는 수식어를 붙어주고 싶다.

친절하게 시작 부분부터 죽음을 자세히 말해주고

각 용의자들이 왜 네스터를 죽이고 싶어하는 지를 친절하게 설명해 주며

마지막에는 친절하게 단지 한사람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인지,

극 중 인물의 상상에 의해서 소설 안의 또 다른 허구의 소설인가...

라는 의문을 살짝 가지게 해주는 소설.

누구나 감추고 싶어하는 비밀을 알고 있는 네스터. 자신의 비밀을 위해 그가 죽었으면

하고 바라는 사람들. 이야기는 네스터가 죽은 후 그 살해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서 범인

을 찾아내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추리소설과는 다른 방식으로 왜 그들이 네스터를 죽

이고 싶어하는지 각각의 인생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흘러간다.

하지만 단지 모두가 네스터를 죽이고 싶어하는 이유를 설명했을뿐 어떻게 네스터를 죽

이고 싶어하는지에 대해서는 조용한 추리소설.

이야기의 구성은 소개말에 나왔던 것 처럼 완벽한 구성인것 같다. 각각의 등장인물의

특징이 뚜렷하고 깔끔하게 연결되는 끈들은 아, 글을 잘 쓰는 작가구나 라는 생각을

들게한다. 하지만 흔히 추리소설을 읽기 위해 첫장을 넘기고 두번째 장을 넘기며

단어 하나 문장 하나에 단서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긴장감을 너무 빨리 식어 버리는게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책의 3분의 2정도에서 왠지 이 사람이 범인이 아닐까라고

짐작케 해주는 친절한 용의자 설명도 한 몫을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절대 이 책이 지루하다든가 이런게 추리소설이냐는 등의 이런 말을 않겠다.

애거서 크리스티처럼 마지막까지 누구지..하면서 읽어내려가는 류의 추리소설도

전혀 생뚱맞는 곳에서 범인을 등장시키곤 하는 몇몇의 유명한 일본의 추리소설과는

또 다른 형식의 소설인것 같다.

사건 자체보다 사람 자체에 중점을 두고 옆에서 조곤 조곤 이야기 하는 듯한 느낌의

소설. 그리고 마지막에 다시 한번 앞장을 펼쳐보게 하는 결말...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이 이야기 자체가 소설인지..아니면 이야기 속에 또 하나의 허구

의 이야기를 말하려고 하는 것인지에 대해 '어~' 한마디 나오게 만드는 마지막..

흥미진진한 추리소설을 생각하고 읽는 다면 다소 조용한 진행에 흥미를 잃어버릴수도

있지만 다 읽은 후에 왠지 짧은 단막극을 본듯한 나의 느낌에 흥미를 가지고 읽는다면

또 다른 매력을 가진 책을 접할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소설은 같은 주제로도 여러가지 느낌을 줄수 있는데 나는 너무 획일화되고 굳어진

책에 대한 가치관을 가지고 읽어나가고 있지 않은가 라고 네스터를 읽은 후

서평을 쓰면서 생각해 봤다. 늘 유연하고 특별한 잣대없이 사물을 판단한다고 생각했

지만 정작 이렇게 소설 하나 읽으면서도 왜 꼭 추리소설은 이래야 하고 저래야 한다는 

기준에 맞춰서 읽어나가는 모습은 다시 한번 반성해야 할 것 같다.

<모두가 네스터를 죽이고 싶어한다>

읽기 전에 책 표지에 있는 애거서와 세익스피어를,

각자가 생각하는 추리소설의 기준을 잊어버리고 읽는다면 또 다른 읽음의 즐거움을 충

분히 줄수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굽이치는 강가에서
온다 리쿠 지음, 오근영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일본소설은 꽤 독특한 매력이 있다.

그래서 선뜻 누구에게나 권해주기 힘들기도 하지만, 별것 아닌 것 같은 그 맛을 알아버리면 또 다시

내게 다른 책이 없냐고 꼭 묻게 만드는 것이 또 일본소설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내가 생각하는 일본소설의 매력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는 온다리쿠의 책은 한번쯤..

이런게 일본소설이구나 라고 느끼고 싶은 누구에게나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좋은 글을 읽는다는 즐거움을 주는 글...

처음으로 접했던 온다리쿠의 책의 서평에 나와있던 글귀인데 딱 그의 글을 간략하면서도 100%

표현하는 말인것 같다.

이 책은 참 좋다라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내가 참 좋다..즐거운 책이구나 라고 생각하는 기준

은 이번 장을 읽어내려가면서도 다음 장이 궁금하고.. 약간 서운한 맛이 있겠지만 마지막 결과를 먼저

알고 다시 읽을까 하는 마음이 문득 문득 생겨서 마지막 페이지를 열었다가 덮었다가 하는 책이다.

물론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서습관도 큰 작용을 했겠지만, 꼭 온다리쿠의 책을 추리소설에 분류할수

없는 점을 생각한다면 내겐 그의 책이 좋은 책이며 온다리쿠라는 작가의 발견이 한동안 내게 독서의

즐거움을 한껏 누릴수 있게 할것 같다.

장편소설이지만, 각 장마다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글을 풀어나가기 때문에 단편인가? 라는 느낌도 주

는 이야기는 하나의 과거의 사건으로 엮인 유년기의 소년, 소녀들의 이야기이다.

더운 여름날, 더위를 잊을수 있게 단박에 읽어내려갈수 있는 좋은 글을 찾는다면 권해주고 싶다.

좋은 글을 읽는 즐거움, 좋은 작가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