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는 걸까? 이 문장으로 시작하는 문단에서, 90 년대 중반 스웨덴의 복지 이상이 허물어지고 있음을 알겠다. 복지의 가림막 뒤에서 개인의 나약함이 가려지고 방치되다가 복지가 줄면서 드러나는 상황이 쉽게 연상된다. 소설 속 인물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말로 소설이 시작되지만, 그런 사회 분위기가 작가한테 기성세대의 책임 같은 창작열을 자극하였으리라 짐작해본다.

작가는 범죄소설을 썼고, 나는 독자가 되었다. 범죄 소설을 읽어서 얻는 바가 무얼까. 지금까지 나는 이 장르의 독서 효과를 몰랐다. 착하게 살자 식으로 뻔한 교훈일 것이라 여겼기 때문에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이 한 문장을 읽고서 나한테 다시 물어보게 된다.

나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는 걸까?

그는 어떤 세상에 살고 있는 걸까? 젊은이들이 분신자살을 하고 또 이런저런 방법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는 세상이었다. 그들은 소위 실패의 시대를 살고 있었다. 스웨덴 국민들이 믿었던, 그리고 그 믿음에 따라 세웠던 무언가가 생각보다 견고하지 못했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들이 한 일이라곤 이미 잊혀버린 이상을 기념하는 기념비뿐이었다. 이제 그를 둘러싼 사회가 무너지고 있었다. 정치체계가 전복되는 중이었고, 이제 어떤 건축가가 나타나 새로운 건축물을 세울지, 그건 또 어떤 체계가 될지 아무도 몰랐다. 그렇게 아름다운 여름날이었지만, 그런 생각을 하면 끔찍했다. 젊은이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다니. 살아남은 사람들은 기억하기보다는, 잊어버렸다. 이제 집은 안락한 가정이 아니라 도피처였다. 경찰은 도움이 되지 않았고, 교도소도 다른 제복을 입은 사람들, 민간보안회사에서 나온 사람들이 관리할 예정이었다.
더 이상은 곤란하다고, 발란데르는 이마의 땀을 닦으며 생각했다. 더는 인정할 수 없었다. (292-293)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6-10-21 21:1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거서님께서는 요즘 알라딘 추천 도서에 완전히 빠지신 것 같습니다.^^:

오거서 2016-10-21 22:04   좋아요 2 | URL
네 ^^; 평소 범죄소설에 눈길조차 주지 않았는데 슈베르트풍에 꽂히면서 읽게 되었고요, 책을 읽으면서 저의 선택이 편향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이러니 빠진 것 맞죠?! ^^

2016-10-21 22: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21 22: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madhi(眞我) 2016-10-21 22: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추리소설 밝힘증이어서 심심하면 읽습니다. 기리노 나쓰오, 「아웃」추천합니다.

오거서 2016-10-21 23:16   좋아요 1 | URL
저도 추리소설은 좋아합니다. <아웃> 추천 감사합니다. ^^

망고 2016-10-21 2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범죄고설은 즐기진 않지만 가끔은 읽는데요 슈베르트풍이란건 어떤걸까요? 몹시 궁금하고 호기심이 생겨요^^

오거서 2016-10-22 09:09   좋아요 1 | URL
저도 끔찍한 내용을 다루는 소설을 굳이 읽어야 하는지 반감 같은 무관심으로 이제껏 범죄소설을 대했어요. 추천 신간에서 ˝슈베르트풍의 범죄 스릴러˝로 보였는데 슈베르트풍이 궁금해서 참지 못하고 읽고 있어요. ^^;

망고 2016-10-21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오타가....ㅠㅠ 고설아니고 소설이요^^;;

오거서 2016-10-22 09:10   좋아요 1 | URL
네~ ^^
참고로, 댓글 수정 기능이 있습니다.

2016-10-22 12: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22 1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22 12: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22 1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22 1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22 12: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점심을 먹고나서 걸어서 5분 정도 거리에 있는 공원에 들렀다. 잠시 상념에 잠기기 좋았다. 손에 책 한 권 들었더라면 어땠을까…

수백 년 수령을 자랑하는 듯 하늘을 덮고 뻗어있는 가지에서 나뭇잎이 바래서 떨어지는 광경을 보았다. 지난 여름이 짙은 녹음과 함께 거기에 머물렀음을 기억하기에 땅 위에서 나뒹구는 나뭇잎이 저문 여름의 흔적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풍경 속 벤치가 놓여 있는 자리에서 하늘에서 내려온 검은 빛 나는 나뭇가지 곁에 나의 그림자도 잠시 드리웠다가 파란 하늘이 그리워 다시 나의 길을 떠난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0-20 14:5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가을 오후에 제일 잘 어울리는 것...여유로움이라더군요.^^.

오거서 2016-10-20 15:06   좋아요 2 | URL
가을 오후 볕을 쬐면서 하늘 바라기 좀 했습니다. ^^;

서니데이 2016-10-20 16: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진만 보아도 하늘이 파랗고 반짝반짝 기분 좋은 시간 보내셨을 것 같은데요. 오거서님 좋은 오후시간 보내세요.^^

오거서 2016-10-20 18:16   좋아요 2 | URL
가을볕이 참 좋대요. 볕을 쬐며 여름을 생각했더랍니다. 올해 여름은 엄청 더웠잖아요. 서니데이 님은 공주하느라 더 힘들었겠군요. 그엏게 힘들었어도 다 지나가는군요. ^^

매너나린 2016-10-20 18:0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거서님께서 느끼신 조금은 쓸쓸하기도 하고 우수에 찬듯한 가을 한낮의 여유를 제 눈에도 담을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거서 2016-10-20 18:31   좋아요 2 | URL
밥을 먹고나서 배부르고 등이 따시니까 여유로움이 생겼고요, 가을이라서 낙엽이 뒹굴어 조금 쓸쓸함을 더하기는 하였지만 그래도 가을볕과 하늘이 좋더라구요. 이런 느낌을 나눌 수 있어서 좋군요. 북플이라서 가능하다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컨디션 2016-10-20 21: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 완연한 가을이네요. 낮에는 여름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구요. 사진을 보고 있노라니 저도 오늘 그 벤치에 앉아 하늘을 쳐다보았다는 착각이 드네요^^

오거서 2016-10-20 23:23   좋아요 1 | URL
잠시 벤치에 앉아서 땅 위에서 나뒹구는 나뭇잎을 보면서 여름이 횅하니 가버린 것처럼 느낌이 들었고 여름을 멀찌감치 밀어낸 하늘은 기세등등하더군요. 착각이라해도 기분은 좋더군요… ^^

꿈꾸는섬 2016-10-20 21: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가을볕도 좋고 나무빛깔도 좋고
바람도 좋고 하늘도 예쁘고 그래서 정말 좋더라구요.

오거서 2016-10-20 23:24   좋아요 0 | URL
꿈꾸는섬 님도 가을볕을 쬐었나 봅니다. 정말 좋지요?! ^^

책읽는나무 2016-10-20 22: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사진을 보는데 제 마음이 다 파랗고,푸르러지는 것 같습니다
단풍들면 더 이쁘겠어요^^

오거서 2016-10-20 23:27   좋아요 0 | URL
사진을 더 잘 찍고 싶었는데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도 벤치에 앉아 하늘을 쳐다보는 느낌이 전해져서 다행입니다. 완연한 가을을 기대합니다. ^^

줄리엣지 2016-10-20 23: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진에서 가을냄새와 더불어 싱그러움이 물씬 묻어나옵니다~~ 햇살아래서 책을 읽는다면 너무나 행복할것같습니다^^

오거서 2016-10-20 23:32   좋아요 0 | URL
제 말이 바로 그거예요. 가을볕 아래서 하늘바라기를 하니까 행복감으로 심신이 따뜻해지고요. 그런 충만한 느낌으로 책을 읽고 싶어지더군요. ^^
 

발란데르 형사는 첫 사건을 수사하기 전에 모차르트의 아리아에서 행복감을 느끼고, 좀처럼 풀리지 않는 연쇄 사건을 수사하는 도중에 짬을 내서 푸치니 음악을 듣는다. 그리고, 앞서 행복감을 되새김질한다. 작가는 발란데르 형사가 사건 수사로 지쳐가는 현실과 대비되도록 휴가, 아버지와 여행 계획 등 동경을 그리고, 망중한 속에서 행복감을 고조시키는 장치로 음악을 이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백여 쪽을 읽는 동안 음악이 두 번 언급되었다. 모차르트에 이어 푸치니 음악. 그러나 푸치니 음악으로 퉁칠 뿐 곡명이 없다. 아마도 푸치니 오페라 중 아리아일 것이다. 게다가 유명한 곡일 가능성이 크다. 음악이 속한 문장을 다시 읽으면서, 밤에 편안한 느낌으로 들을 수 있는 곡들을 추리고 추려도 서너 곡은 된다. ˝그대의 찬손˝, ˝내 이름은 미미˝, ˝별은 빛나건만˝, ˝공주는 잠 못 이루고˝, ˝오,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등을 들었다. 책을 읽다가 말고 푸치니 음악을 찾아 듣느라 분주했던 밤을 보냈다.

그날 밤 발란데르는 늦게까지 잠들지 못했다. 창문을 열고 따뜻한 여름 밤공기를 맞았다. 전축에는 푸치니의 음악을 틀어놓았다. 위스키를 마지막 한 방울까지 따랐다. 살로몬손의 농장을 찾아갔던 날 오후의 행복, 끔찍한 참사가 벌어지기 전에 느꼈던 그 행복을 조금은 다시 느낄 수 있었다. (중략) 그는 손이 닿는 곳에 위스키 잔을 놓은 채, 음악 소리와 여름밤의 공기에 맞춰 살짝 잠이 들었다. (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고양이라디오 > 밥딜런 Blowing In The Wind (가사, 해석 포함)

이번 주에 밥 딜런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해서 화제다. 책에 일가견이 있고 전문지식과 문학적 소양을 두루 갖춘 북플 이웃들한테도 낯선 소식인 것 같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그가 팝 가수인데도 문학상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가 수상자로 선정되었음을 전하는 TV 뉴스를 통해 그의 근황을 볼 수 있었다. 올해 나이 75 세. 그 정도 된다 싶다. 내가 그의 노래를 처음 들어본 것이 대학에 진학하고난 직후였다. 그럭저럭 30 년 전의 일이 돼버렸다. 이참에 내 나이가 얼마더라. 간만에 내 나이를 맞춰보고, 내 나이에서 역산도 한 번 시도해본다. 그러나 숫자는 무의미할 뿐이다.

1960 년대 미국에서 반전운동에 앞장 섰다는 이력을 전해 듣고, 밥 딜런, 그한테 관심을 가졌던 기억이 나지만, 당시 정보가 부족하였던 때라서 자세히 알 수 없었다. 그리고, 그 때부터 한참 동안 그의 노래 ˝바람만이 아는 대답˝을 거의 매일 들었던 같다. 반전평화를 주제로 삼은 노랫말이지만, 시를 노래로 만든 곡이라고 느꼈었다. (고양이라디오 님이 쓰신 ˝밥딜런 Blowing In The Wind˝ 제목의 글에 영어 가사와 함께 노랫말이 번역되어 있다.) 그 후 그가 부른 노래를 잊고 지냈다. 감쪽같이 머리 속에서 없어져버렸다. 이제는 알겠다. 오래 전부터 그의 노래가 있었고, 또 그가 부른 노래의 노랫말이 정말 문학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한편, 문학과 음악을 생각해본다. 고대 그리스에서 연극의 요소 중 시와 선율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한다. 밥 딜런은 가수로, 물론 그의 노래 때문에 문학상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그가 문학상을 수상한 소식을 들으면서, 그럼에도 문학과 음악이 같은 맥락 속에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 인간의 감성을 묶는 실타래가 풀려 한 가락은 문학이 되고, 다른 한 가락은 음악이 되었다는 상상을 곁들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10-15 10: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15 12: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고양이라디오 2016-10-15 11: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문장 너무 문학적이네요^^

오거서 2016-10-15 12:05   좋아요 0 | URL
어, 그런가요. 밥 딜런 덕분인 것 같습니다. ^^
 
 전출처 : 오거서 > 나를 위한 추천에 의아함

퇴근해서 집에 오니 점심 먹고나서 주문한 책이 배송되어 있다. 역시 알라딘 당일배송!
자, <사이드트랙>부터 읽어야 할 테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