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독식비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독식 비판 - 지식 경제 시대의 부와 분배
가 알페로비츠 & 루 데일리 지음, 원용찬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가끔 kbs 다큐멘터리 동행" 을 본다. 하층민의 삶을 보여주면서 그들의 노력과 현실을 통해 우리가 주려는 메세지는 무엇일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서로 도우며 살아야 하는것, 아님 열심히 살지 않으면 내가 곧 저런삶이 될수 있다는 경각심, 어째든 " 동행을 보면 내가 저삶이 아니라 다행이다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드는 것은 가장 근본적인 이기심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지식이 곧 돈이 되는 세상에서 그들의 현실은 지식과 너무나 멀리 있다는 것이다. 하루 살기에 벅찬 그들에게 지식은 밥한공기 , 하루일당보다 덜 시급한 문제인 것이다. 

갈수록 사회가 부의 편중화가 심해지면서 또한 지식의 편중화도 심해지고 있다. 내가 자랄때만 해도 지식을 접하는 것은 모든 대중들에게 평등했다. 교육도 그러했고 심지어 평준화 교육이라는 시스템과 있었으니 말이다.  

그러므로 지금의 부자들의 원천은 이책이 말하는 개인적인 노력이나 성공에 따라 결정된 부가 아니라 역사적 시스템으로 인한 부의 획득이라는 논리는 정당성이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많은 부를 쌓은 재벌가들이 더욱 더 부의 재분배에 노력을 해야 한다는 말에 나도 공감이 간다. 

그들은 많은 사람들이 만든 시스템의 결과, 그동안 그시스템의 시행착오로 인해 부를 획득하지 못한 소소한 개인들을 위해서 어느정도의 부의 재분배는 꼭 필요하다고 여긴다. 

우리가 편안히 마시고 있는 커피한잔도 저 먼 어느나라 어린 노동자들의 피와 땀 , 눈물의 결실인것처럼, 부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시스템과 역사를 만들기 위해 희생되었던 수많은 개인들의 결과임을 잊지 말아야 겠다. 

그러므로 이책의 가치는 대단하고 시기 적절 하다는 생각이 든다  

표지에서 처럼 하나의 파이밖에 없는자와 , 파이전체를 다 가진자의 부의 차이는 그들의 독식으로 인해 가능해졌다는 이야기이다. 그들이 부를 만들 수 밖에 없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와 근본적인 원인은 다른 누군가가 그들의 파이에 손을 댈 수없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이제 그들이 잘알고 행해왔던 독식론적인 방법들을 부의 재분배라는 방법으로 부의 집중화를 해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얼마전 신문에서 보았던 것이 생각난다. 외국의 빌게이츠나 워렌버핏은 자신의 자산으로 자선사업이나 기부를 많이 하지만 우리나라는 자신의 자산이 아닌 회사 돈으로 기부를 많이 한다고 한다. 

그차이안에는 미국과 한국의 기업적 문화 차이도 있지만 웬지 우리 한국기업의 오너들이 더 인색해 보이는 것은 무엇일까?  

6.25 전쟁과 민주화라른 역사적 시스템과 경제발전이라는 시스템속에서 개인이 없었던 한국사회의 오랜 경제 발전문화속에서 개인의 희생이 강요되었던 시대를 살아왔던 우리에게, 오늘날 우리 한국사회는 그들에게 어떤 부의 분배를 주었는가?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넘버스, 숫자가 당신을 지배한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넘버스, 숫자가 당신을 지배한다 - 모르면 당하는 확률과 통계의 놀라운 실체
카이저 펑 지음, 황덕창 옮김 / 타임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어릴적 수학이라는 과목에 쩔쩔 매던 시절을 생각하다면 숫자에 지배 당하는 것보다는 두려워했던 시절이 더 깊었음을 인정하게 된다. 

학교과목에서의 통계의 나열등, 숫자의 계산법, 수열등등 이런것들이 왜 필요한가? 누군가 그랬다 콩나물 깍는 계산법만 알면 살아가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고 (ㅎㅎㅎ 콩나물을 안사먹는 지금은 콩나물 깍는 법도 필요없게 되었지만)  지금 현시대에서는 수학이 더필요한 시대라는 사실에 공감을 한다 . 

금리인상에 따른 내저축, 적금, 예금의 이자율, 적립식 펀드를 했을때 다른 펀드와의 차이점 등등 숫자를 모른다면 통계를 모른다면 그냥 통장에 돈들어오고 나가는 정도를 체크하는 방법밖에 모르는 사람이 될지도 모른다 . 그렇게 된다면 풍요로운 노후는 고사하고 대를 이어 가난을 자식에게 물려주는 부모가 될것이라는 슬픈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 

이책을 맨처음 대할때는 우리가 주위 생활에서 겪는 시스템들이 사람들의 숫자에 현혹되어 그오류에 빠지는 부분들이 많다는 것에 놀랍고 재미있었다. 

디즈니랜드의 줄서기 예를 보더라도 우리나라 에버랜드를 생각하면서 끄덕끄덕 하게 되었다. 

더많은 놀이시설의 증축과 사람들의 줄서기의 상관관계는 일시적 해결 방법이지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결국은 사람의 심리를 꿰뚫어 보는 통계적 관찰이라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 . 디즈니 랜드의 패스트 패스라는 통계적 사고로 인해 같은 시간을 기다리지만 이통행권을 사게되면 어쩜 저줄보다 내줄이 더빠를 것이라는 자기 암시에 빠지는 사람들의 심리, 숫자에 넘어가는 사람들의 심리를 꿰뚫어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해결의 원리라는 것에 인간의 심리를 공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우면서 쉬운 것인줄 알게 된다. 

이책은 전반적으로 사람들이 착각하고 잘 빠지는 숫자의 오류, 숫자의 감성등에 잘 적용해 이야기 하고 있다.  요즘 우리나라가 선진국형 3색 신호등으로 바꿀것인지, 4색 신호등 체계로 바꿀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야기 되고 있다. 

이것또한 숫자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로 인해 갑을 논박이 생기는 것 같다. 내개인적인 견해는 3색과 4색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의 심리가 어디까지 와있는냐에 따라 결정되어 져야 한다고 본다. 

선진국형이라는 논리에 무조건 적합하다고 주장하는것도 문제가 있고 3색 신호등으로 바뀌면 교통대란이 올것이라는 주장도 있는것 같은데, 이두논리 모두 사람들의 심리를 자세히 알지 못하는 통계학자들의 논리인것 같다 . 사람들은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동물인 반면 어떤 하나에는 무섭울 정도로 바뀌지 않는 면도 있다는 것을 아는 정책진행자들이 진행했으면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고 본다. 

숫자에 배신당하고 숫자에 감동받는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한번쯤 숫자놀음에 빠져볼수 있는 좋은 시간을 가지게 될것 같다 ...... 이책을 만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