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 대하여 톨스토이 사상 선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강은 옮김 / 바다출판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기 러시아를 대표하는 위대한 사상가 톨스토이의 사상을 배우는 책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 지나온 집들에 관한 기록
하재영 지음 / 라이프앤페이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은 나에게 무엇인가?

북성로집은 누구에게는 아늑한 ‘쉽터’이고, 서른살 엄마에게는 ‘일터’였다. 거동을 못하는 할아버지, 어린 두딸, 일주일에 한두번씩 집에 오는 큰삼촌과 둘째삼촌 가족의 구성원은 다섯이거나 일곱이거나 명절, 경조사때 세명의 고모네 가족까지 찾아오면 오롯이 모든 일은 엄마의 몫이었다.

글을 읽는 순간 여든의 연로하신 어머니(8남매의 장녀)가 생각이 났다. 우리집은 빠듯한 공무원 아버지(6남매의장남)의 월급으로 우리 오남매와 서울에 산다는 이유로 이모, 삼촌, 작은아버지, 그들의 조카들까지 직장에 취직이 됐다고, 또 서울 학교에 입학했다고 좁디좁은 방 두칸을 우리식구 일곱명과 나누어 살았던 기억이 많다. 삼촌이 부르는 조용필의 단발머리, 창밖의 여자를 듣고 나의 유년시절도 시작했다.

올해만큼 부동산 대책이 연일 쏟아져 나오던 해가 있었던가? 자고나면 오르는게 집값이다. 발표에 발표를 거듭해도 일반 서민이 내집 한 채 갖는게 그렇게 많은 규제와 검증을 통과해야만 얻어지는 것이라면 팬데믹 시대에 집을 갖고자 하는 꿈은 현실과 점점 멀어져간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하재영작가의 인생사에서 ‘집’이 곧 역사이다. 그것은 작가뿐만이 아니라 이 책을 읽는 독자 모두가 공감하는 점이다. 독자는 한 장 한 장 읽으면서 지나온 자신의 집들을 머릿속에 아니 가슴속에 기록할 것입니다.

책속에서- ‘대구의 강남’, 그 동네에서도 가장 비싼 집’에 사는 5년 동안, 나는 집이 가진 계급과 자본의 속성을 알아차렸다. 단지와 단지로 이루어진 아파트와 고급 빌라는 비슷한 계급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신분제 공간이었다. 신분제 안에는 이 아파트보다 저 아파트가 비싸고 이 단지보다 저 단지의 집이 넓다는 차이가 있었다. 어떤 어른들이 그렇듯 어떤 아이들은 그 차이를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로 여겼다.

 

 

책속에서- 무엇이 가난일까? 한강다리 위에서 아파트촌의 불빛을 바라보며, 나도 언젠가는 이 도시에 집 한 채 가질 수 있을까 생각하다 마음이 저려왔던 순간을 가난이라 이름 붙일 수 있을까? 어떤 방에 살아보고 나서야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스스로의 어눌함을 자책하던 순간을 가난이라 명명할 수 있을까? 전 세입자가 그랬듯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해 침묵한 채 폭탄 돌리기를 하는 심정으로 그 방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던 순간과, 죄책감에 휩싸여 도망치듯 떠나던 순간을 가난이라 말해도 괜찮을까?

난곡의 안쪽을 바라볼 때마다 ‘여기’가 최악은 아니라는 안도감과 ‘저기’로 굴러떨어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교차했다.

“누가 ‘집주인’이야? 내가 ‘집주인’이야! 거긴 아직 ‘내 집’이라고!”나와 같은 세입자이면서 ‘집주인’이라는 단어를 힘주어 발음하는 그녀의 말을 듣고 있으니 혼란스러웠다. 두 세입자가 다투는 이런 상황이 아니라도 누가 이곳의 주인인가? 소유자인가, 거주자인가? 흔히 말하듯이 소유자만이 집주인이라면 언제나 세입자였던 나는 한 번도 주인이 아니었던 사람, 집 없는 사람이었던 것일까?

라이프앤페이지에서 협찬받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에 대하여 톨스토이 사상 선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강은 옮김 / 바다출판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톨스토이 사상가에게 현대인이 배우는 삶의 지혜 기대가 되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론 고전의 세계 리커버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서병훈 옮김 / 책세상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민주주의를 말할 때 빼놓지 않고 쓰는 자유와 평등의 기본원칙.

영국의 철학자이자 사상가인 경제학자 존 스튜어트 밀 (J. S. Mill, 1806~1873) 의 대표작 <자유론> 책세상에서 협찬해 주신 책 입니다. 50평생 살면서 물론 <자유론>을 여러번 읽었지만 항상 읽으면서 어디까지 사회가 ‘자유’를 허용하고 보장해 주어야 하는지가 숙제로 남았습니다.

 

자유론을 읽기 전 시대상황을 좀 더 알아야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영국사회가 정치 경제적으로 급속한 발달을 이루었고 대영제국의 건설을 완성한 ‘빅토리아 시대’에 자유론을 저술했습니다. 산업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의회 정치의 놀라운 발전이 있었고 이것은 다수의 횡포라는 새로운 문제도 낳았습니다. 권력이 아닌 여론과 같은 거대한 공동체가 개인의 지유를 억압하기 시작한 시대였습니다.

 

 

밀은 경제학자 제임스밀 아버지의 영향으로 혹독한 ‘영재교육’을 받았고 논리학이 인생에서 가장 쓸모가 있다고 했지만, 개인주의와 자유무역 영향으로 1950년대까지 그의 정치사상은 자유주의자들로부터 홀대를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철학서 중 밀의 자유론을 읽지 않고는 서양철학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유론> 의 첫 문장에서 밀은 흔히 말하는 ‘의지의 자유’를 다루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은 아니다. 유감스럽게도 사람들은 ‘철학적 필연성’을 숙명론과 같은 것으로 오해하면서 그것이 ‘의지의 자유’와 상반되는 것처럼 생각한다.라고 말합니다. ‘시민적 자유’(civil liberty)를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제도적 원칙, 즉 “개인에게 사회가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의 본질과 한계”로 규정한다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자유론을 읽는 저의 고민은‘집단 여론이 개인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없도록’그리고 그 개인의 자율성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 만 그 명확한 한계를 두어야 한다는 점을 중요하게 한번 더 상기시켜 줍니다. 표현의 자유가 무제한 허용되어야 사회는 진보할 수 있고 다만 표현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필요하다. 어떠한 의견이나 이론도 표현이 가로막히면 안 된다는 원리입니다.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이상 개인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된다.

어떤 사람의 행동이 타인의 자유를 부당하게 침해하는 지점에서는 개입이 정당하다. 오랜시간이 지나도 그의 철학사상이 현시대와 맞으니 인간존엄성과. 인권의 귀한 가치를 다시금 되새기게 하는 좋은 고전입니다.

 

 

 

사람의 경우가 그렇듯이, 정치나 철학 이론도 변변찮을 때는 눈에 띄지 않다가 성공을 거두면서 그 결점이나 허점이 발견되고 한다. 민주 정부를 세우는 것이 꿈속에서나 가능하거나 까마득한 옛날에나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질 때는, 인민이 자기 자신에게 행사하는 권력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자명했을 것이다.---P25

이 책은 책세상에서 협찬해 주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족 종료
사카이 준코 지음, 남혜림 옮김 / 사계절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전 방송인 후지타 사유리씨가 정자 기증을 받아 아이를 비혼출산했다는 보도에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그런 이유는 무엇보다 아이가 간절했다고 합니다. ‘자발적 비혼모많은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고 사회가 바라보는 가족형태를 이젠 크게 바꾸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가볍게 읽기에는 사회문제가 반영된 깊이있는 에세이입니다.

 

    

 

 

2019년 통계청 인구총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 비율이 30.2%라고 합니다. 세명중 한명은 혼자 살고 있는 겁니다. 졸혼에 이어 이제 가족 종료사카이 준코작가는 남자친구와 동거하며 50대를 맞이한 싱글들의 왕언니라고 합니다. 50대가 되어 부모와 오빠를 여의고, 결혼을 해서 새로운 가족을 만들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어떤 가족도 곁에 남아 있지 않게 된 상황. 가족 종료에 이르게 됐습니다. 결혼은 해도 후회 안해도 후회라고 하죠. ‘가족종료를 통해 여러가지 가족의 형태와 가족의 진정한 의미와 소중함을 한번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된 거 같습니다.

 

 

 

제가 이십대였을 때, 여자가 즐겁게 살고자 마음먹으면 못할 것이 없었습니다. 결혼은 모두가 하는 당연한 일이 아니었고, 본인이 혼자 사는 삶이 좋다면 부모라고 해서 말릴 수는 없는 시대였지요. 가정을 꾸린다는 것은 신나는 일들을 포기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하면서 덩실덩실 흥에 취해 있는 사이에 세월은 가고 정신을 차려보니 나이는 어느덧 오십 줄, 옛날 같았으면 인생 거의 다 살았다 해도 이상 할 게 없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본문에서)

 

    

 

 

딩크족 (DINK) 결혼해서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하는 맞벌이 부부로, 수입은 두배(Double Income)이지만 아이는 갖지 않는다(No Kids)고 주장하는 새로운 가족형태를 뜻하는 말이다. 저도 이런 신조어를 들은게 그리 오래 되지는 않았습니다. 듀크족, 즉 맞벌이 부부면서도 아이를 갖는 사람(Dual Employed With Kids :DEWK) 대비되는 말이라고 합니다. 젊은 시절에 아이를 낳아 육아문제로 신경 쓰기보다는 인생을 즐기면서 사회적 지위를 달성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또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제사정을 감안하다 보면 앞으로는 더 많이 증가할 것입니다.

 

    

 

예전에 우리 부모님 세대에서 보는 대가족은 거의 찾아 보기 힘들고 자녀들이 성인이 되면 독립하는 일이 많고 결혼 출산 또한 하지 않거나 늦어지기 때문에 부부와 자녀가 같이 옹기종기 모여 살던 시대는 찾아 보기 힘들어졋습니다. 졸혼, 비혼, 딩크족 등 다양한 가족의 형태로 이전에 갖었던 가족의 형태는 많이 변했습니다.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사회현상으로 받아들이기에는 안타까운 일입니다.

 

 

이 책은 사계절출판사에서 협찬해 주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