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알고 싶은 삶의 모든 답은 한 마리 개 안에 있다 - 젊은 철학도와 떠돌이 개 보바가 함께 한 14년
디르크 그로서 지음, 추미란 옮김 / 불광출판사 / 2021년 2월
평점 :

붓다는 ‘인생은 기본적으로 괴로움’이라고 말한 것이 아니라 “인간은 살면서 고통스러운 경험을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다”라고 했습니다. 네 번의 파양과 두 번의 동물 보호소 생활을 돌고 돌아 친구의 제안으로 보바는 이렇게 작가와 인연이 되어 14년 동안의 인생에서 모든 추억들은 남기고 무지개 다리를 건넜습니다. 철학을 전공하고 종일 허튼 생각만하며 ‘그러므로 나는 존재 한다’를 모토로 삼고 오롯이 데카르트 영향 안에서만 살고 삶에 대한 의문을 잔뜩 품고 있었던 때, 저자 디르크 앞에 여러 보호자와 동물 보호소를 전전하며 발 냄새가 지독한 떠돌이 개 보바가 나타난건 운명이었습니다.

누가 나더러 어디에 사느냐고 물으면 나는 대답한다. “은하수 동쪽 끝에 산다.”고 늘 변하는 구름처럼 무엇에도 묶이지 않는다. 집착하지 않으며 바람의 변덕에 나를 내맡긴다.
저자는 철학자 니체를 낡은 것을 타파한 ‘망치의 철학자’로, 보바는 ‘전기톱을 가진 스승’으로 빗대어 말하는데, 보바를 만나기 전 문제투성이였던 삶이 뚝 잘려 나갔기 때문이다. 인생의 스승이 필요하다면 동물 보호소로 가라고 저자는 말했지만, 개를 키우기 여의치 않다면 이 책을 먼저 권해 드린다고 했습니다. 정신적으로 안정된 개를 옆에 두는 것이 인간에게 얼마나 좋은 일인지 보는 것만으로도 크게 감동을 받습니다. 말 못하는 동물과 사람이 한가족이 되어 생활하는 요즘 그런데 우리도 사랑스러운 개에게 받은 만큼 돌려주었을까요?

개에게는 인간처럼 언짢아하고 모욕을 느끼는 에고가 없다. 또한 자신의 삶이 어때야 하는지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자신의 삶이 이 순간 구체적으로 어떻고, 어떤 느낌인지만 안다. 그 삶과 그 느낌은 그다음 순간이면 벌써 바뀌고 만다. 이런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선불교와 도가가 보여준 삶의 기술이다. 도는 곧 삶이고, 삶은 곧 끊임없이 흐르는 강물 같은 것이다, 우리는 그 강을 탄 째 힘들이지 않고 존재의 바다로 떠내려갈 수도 있다. 하지만 어차피 항복해야 할 텐데도 굳이 물결을 거스르느라 기진맥진 할 수도 있다.---p.115
안타깝게도 우리 인간들은 보바 같지 않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곧 진리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환생설에 백 퍼센트 설득당하지 못하면 곧 ‘진짜 불교도가 아닌’ 게 된다. 성경의 특정 구절을 ‘단지’ 하나의 비유로 이해한다고 하면 당장 질타를 받고 교회에서 쫓겨날지도 모른다. 혹은 요가 박람회에 가서 소시지를 한 번 팔아보시라.
--- p.159
향긋한 꽃냄새도 봄바람과 함께 여기가 어디든 명상해 보면 어떨까요? 마음이 편안해 지는 책 불광출판사에서 지원해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