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리주의 ㅣ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첫문장- 옳고 그름을 가려내는 기준에 대한 논쟁은 과거로부터 오랫동안 진행 되어왔으나 여전히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현대지성클래식 서른한번째 공리주의는 서평단으로 받은 책입니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와 함께
서양 철학의 4대 윤리사상가로 꼽히는 존 스튜어트 밀
그가 말하는 개인과 사회의 행복
공리주의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개인의 쾌락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조화시키려는 사상입니다. 이 책을 읽기전 이종인선생님의 해설을 먼저 읽고 책을 읽었습니다. 공리주의를 여러번 읽었음에도 왠지 속시원히 정리가 되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존스튜어트밀의 스승인 벤담의 공리주의와 항상 대립이 되면서 누구의 주장이 맞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기 때문 입니다. 공리(功利)를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하여,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인간의 이익과 행복을 늘리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봅니다. 공리주의는 19세기 영국의 사회사상가 제러미 벤담이 창시하여 존 스튜어트 밀로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옵니다.

존스튜어트밀은 부모님의 높은 학구열에 3세부터 그래스어를 배우고 플란톤을 원서로 읽고 8세에는 라틴오를 배워 오비디우스등 고전을 원어로 읽는 등 수준 높은 학습을 받은 천재로 한참 뛰어 놀 시기에 높은 학문을 공부했고, 청년기에는 우울증에 빠져 외로운 성장기를 보냈다고 합니다. 본인이 너무 불행해서 행복을 깊게 연구하고 사색한 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정하기는 힘드나 밀은 행복한 삶을 살지는 못했을 거라는 추측을 감히 해봅니다.
스승 벤담은 쾌락의 질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쾌락이 계량 가능하다는 ‘양적 공리주의’를 주장했다. 반면 밀은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한 ‘질적 공리주의’를 주장했다. 그는 지적이고 도덕적인 쾌락이 육체적인 쾌락보다 더 우월하다고 주장했다. 또 행복과 만족을 구분하고 전자가 후자보다 더 높은 가치를 지닌다고 하면서, 그것을 다음과 같은 말로 표현했다. “만족한 돼지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이 더 낫다. 만족하는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더 낫다.” 이렇게 밀은 행복의 질을 구별하면서 도덕적 규범과 의무를 질적으로 더 높고 고귀한 성격을 지니는 행복의 추구와 연결 시켰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가도 인간에게 있어서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라고 했습니다. 개인주의적인 행복만을 쫓기 보다는 타인의 삶도 고려한 행복이 진정한 의미가 아닐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책은 현대지성에서 제공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