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를 향한 비상 - 매와 부성애에 대한 아름답고도 잔인한 기억
벤 크레인 지음, 박여진 옮김 / arte(아르테) / 2020년 8월
평점 :

저자인 벤 크레인은 신경정신 질환인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은 자연이 주는 치유의 이야기입니다. 결국 떠나버릴 것들을 사랑하는 법에 대하여 잔인하고도 아름다운 이야기 ‘매와 부성애’에 대한 이야기 흔하지 않은 새 ‘매’에 대한 에세이입니다.

결국 떠나버릴 것들을 사랑하는 법에 대해 ‘매’가 일깨워준 아름답고 감동적인 이야기

저에게는 좀 생소한 ‘아스퍼 증후군을 앓고 있는 벤크레인은 한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상처입은 매을 돌보고 훈련시킨 뒤 자연으로 돌려보내면서 점차 아들과의 어려웠던 관계를 회복해나가는 과정 한페이지 한페이지 넘길때 마다 가슴이 뭉클해 오는 감동적인 부성애입니다.
“나 아주 진지하게 실망했어.” 아들의 말에 웃음이 터진다. 내 심정과 완전히 똑같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사랑한다고 말한 건 처음이다. 아들이 이 말을 알아들을 만큼 큰 것도 처음이다. 책속에 있는 문장입니다.

나는 자연을 향한 나의 감정을 이해했고, 맹금류를 향한 감정과 내 아들에 대한 감정이 나란히 흘러가고 있다는 걸 느꼈다. 나는 그 감정들이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하나를 향해 품은 깊은 사랑과 따스한 관찰은 또 다른 대상을 향한 깊은 사랑을 깨우쳐주고 열어주었다. 이 깨달음을 통해 나는 내 아들과 그의 어머니와의 관계를 조심스럽게 재정립하기 시작했다. 아버지가 된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을 배웠고 내 아들을 통해 그리고 아들을 위해 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어쩌면 이것이 내 이야기의 핵심인지도 모른다.
--- p.19
인간의 키보다 높은 신선한 공기층에서 만들어진 눈이 굵게 뭉쳐 내리기 시작한다. 땔감도 구하고 우물에서 물도 길을 겸 아침 숲속을 거닌다. 폐쇄공포증을 유발할 정도로 빽빽한 숲에서 맑은 소나무 향기가 스며 나온다. 발아래로 눈이 뽀드득 소리를 내며 뭉개지고 희미한 햇빛 줄기가 나뭇가지들을 가로질러 눈 위에서 분홍색, 겨자색, 파란색, 녹색으로 반사된다. 산토끼며 여우, 사슴, 밍크, 담비 등이 눈밭 위에 어지러이 남긴 흔적과 발자국이 나무들 사이로 흩어져 있다. 이곳은 독수리를 위한 최고의 사냥터이며 근사한 고독감이 오롯이 느껴지는 공간이다.
--- p.99
자유와 비행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비행은 중력으로부터의 순간적인 탈피다. 변덕스럽고 어느 방향으로나 움직이며, 자유롭게 이동하고, 이주하고, 방랑한다. 비행은 자유로운 영혼이며, 빙글빙글 돌고, 질주하고, 사냥하고, 그저 재미로 날기도 하는 행위다. 매잡이인 나는 그저 은유나 상징적 비유가 아닌 구체적 경험으로서의 비행을 잘 알고 있다.
--- p.155. p156

요즘 뉴스에서 사랑받지 못하는 아이들의 소식을 자주 듣곤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마음이 아팠을 것입니다. 아이들은 죄가 없습니다. 모두 못난 어른들의 잘못이지요. 모두가 힘든 시기에 마음 따뜻한 책으로 힐링 하시길 추천합니다.
이 책은 21세기북스에서 협찬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