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짝 없는 여자들
조지 기싱 지음, 구원 옮김 / 코호북스(cohobooks) / 2020년 8월
평점 :

조지기싱의 작품은 신분, 가난, 결혼이라는 주제를 19세기에 영국의 사회상에 맞게 가난하고 궁핍한 사람들의 생활을 파고 들어가서 소외당한 이들의 겪는 마음속을 어루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짝없는 여자들>또한 19세기 후반 빅토리아시대 영국의 사회상을 담은 소설로 콜리지와 테니슨의 시를 읽어주던 다정한 아버지매든씨는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시게 되고 경제력이 없던 독신 자매들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몸과 마음이 변화되는 과정을 심리적으로 잘 표현 했습니다. 아버지가 남겨놓은 800프랑으로 여섯딸들은 어떻게 생활할까요?

남녀차별과 결혼 후 여성이 처해진 불공평한 제도와 깊숙이 뿌리박힌 남성중심의 고정관념을 한 작품을 통해 낱낱이 알 수 있는 페미니즘 문학입니다. 독자인 제가 그 시대로 돌아간다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으니 몰입도가 상승이 되면서 전통적인 영국 숙녀답게 가정교육을 받고 자란 첫째 앨리는 가정교사로. 둘째 버지니아는 말동무로 근근이 연명하면서 생활하던 중 자매중 유일하게 외모가 출중해서 결혼한 막내 모니카의 결혼생활은 해피엔딩으로 마칠 수 있을까요? 이 작품은 조지오웰이 손꼽은 작품이라 합니다.
청혼을 받은 자매는 여태 한 명도 없었다. 앨리스가 한때 결혼을 꿈꾸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이제는 그녀가 노처녀로 살 운명을 받아들였을 것이 분명했다. 버지니아의 미모는 빛을 잃었고. 깐깐한 병자들을 돌보고 잠을 자야할 시간에 쓸데없는 공부를 하느라 건강까지 망가진 그녀를 신붓감으로 원할 남자를 찾기는 어려울 터였다.---p.30

아무런 희망도, 목적도 없는 삶을 살아가고, 언니들의 비참한 삶을 보고 자란 막내동생 모니카는 암담한 미래를 탈출할 유일한 방법은 결혼밖에 없다고 믿게 된다. 한편 자매들의 소녀 시절 친구 로더 넌은 독신 여성들이 독립적이고 자주적으로 살 수 있게 돕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과연 결혼만이 삶의 돌파구가 될까요?
'여성스럽다'와 ‘여자같다’는 매우 다른 뜻을 지녔습니다. 하지만 세상에서는 전자가 후자와 다름없게 쓰이게 되었습니다. 여성스러운 직업이란 결국 남성들이 경시하는 직업을 뜻합니다. 이것이 문제의 근원입니다.---p231
“우리의 멋진 나라에 여자가 남자보다 5십만 명이 더 많다는 걸 아니?...그렇게 짝 없는 여자들이 많아. 비관론자들은 그녀들의 인생이 쓸모없고 헛되고 낭비되었다고 여겨. 하지만 그중 한 명인 나는 당연히 관점이 달라. 나는 그들이 대단히 훌륭한 예비병이라고 생각해. 여자 한 명이 결혼하면서 사라질 때 예비병들이 세상의 일을 대신하는 거야.”
딸들에게 직업교육을 하면 좋으리라는 생각은 매든 씨의 뇌리에 스치지도 않았다. 우울할 때면 그는 자기가 죽은 후를 걱정하며 자식들을 위해 대비책을 마련해야겠다고 결심 했지만 실천은 항상 미뤘다.---p18
“세상과 싸우는 건 남자에게 맡겨야지.”내 딸들이 돈걱정을 해야 한다면 정말 가슴이 아플거야.

지금의 결혼관은 어떤가요? 주변에도 독신, 그리고 결혼을 포기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남자들과 동일하게 학업을 마치고 직업을 갖고 자기계발을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합니다. 남녀평등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짝없는 여자들>의 매든자매들 보다 사회적인 환경은 좀 낫겠죠.
아버지 매든씨는 딸들과 미래를 위해 1천 파운드의 생명보험에 가입하려고 합니다. 1872년 매든씨(49세) 는 천성이 과묵하고 유순했고 자식들에게 만큼은 금전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주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자식들에게 어떻게 자주적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지 않은게 결국 딸들을 어렵게 했습니다. 여성은 누구의 어머니, 딸, 아내로만 인식하고 있는 사회에서 독립성과 경제력이 뒷받침해 주어야 올바른 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해준 소설입니다.
소설의 결말 스포 없습니다.
코호북스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개인적인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