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담 보바리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09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진인혜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1월
평점 :

욕망을 다스릴 줄 모르고 현실에 만족하지 못한 보바리 부인에게 더 이상은 행복은 자기 것이 아니었습니다. 본인의 부도덕함으로 모두에게 불행을 안겨주고 상처만 주게 됩니다.
성실한 시골의사 샤를 보바리에게는 불행하게도 갑자기 일찍 세상을 떠난 부인 다음에 아름다운 외모에 교육도 잘 받아 교양있고 아름다운 부인 엠마가 있었습니다. 엠마의 일상은 늘지루하고 따분한 생활의 연속이었죠. 그러다가 젊은 서기관 레옹을 좋아하게 되지만 샤를의 부인이라는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레옹은 파리로 떠납니다. 그후 로돌프 블랑제라는 사람이 샤를의 병원에 환자로 찾아오고 엠마를 우연히 보게 되면서 유혹을 하겠다고 마음먹죠. 그렇게 또 다음 사랑을 하지만 엠마는 그와의 사랑도 시들해지고 도시에 있는 극장에서 우연히 레옹과 재회하게 되면서.....
사랑의 환상에 가득찬 보바리 부인은 샤를의 아내이자 베르트의 엄마임을 망각하고 본인의 허황된 욕망에 사로잡힌 사람이었습니다.
그녀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조난당한 선원처럼, 그녀는 소독한 자신의 삶 위로 절망한 눈길을 던지면서 멀리 수평선의 안개 속에서 하얀 돛단배를 찾고 있었다. 그 우연이 어떤 것일지, 어떤 바람이 그녀에게까지 우연을 몰고 올지, 어떤 해안으로 그녀를 제려갈지, 작은 배일지 아니면 3층 갑판의 대형 선박일지, 고뇌를 싣고 있을지 아니면 출입구까지 행복이 한가득일지 그녀는 알 수 없었다.
이런 비참한 생활이 영원히 계속되는 것일까?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사내아이를 낳는다는 생각을 하니 과거 자신의 모든 무력감에 대해 앙갚음을 할 수 있을 것 같은 희망을 느꼈다. 남자는 적어도 자유롭다. 여러 일정과 여러 나라를 두루 섭렵할 수 있고, 장애를 뚫고 나가 가장 멀리 있는 행복도 맛볼 수 있다. 그러나 여자는 끊임없이 금지당한다. 무기력한 동시에 유순한 여자는 법률의 구속와 함께 욱체적인 나약함이라는 불리한 점을 갖고 있다.
[보바리 부인]의 작가 플로베르는 1821년, 의사의 아들로 루앙에서 태어나 10세쯤 되어서부터 소설 및 희곡 등을 쓰기 시작했으며, 1856년 처음으로 발표한 소설 《보바리 부인》은 프랑스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으며, 프랑스 최고의 작가라는 칭송을 듣게 되었습니다.
프랑스 사실주의, 아방가르드의 효시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 을유 세게 문학 전집 시리즈 109번째 프랑스문학 작품이었습니다.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