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인의 세계사
다마키 도시아키 지음, 이인우 옮김 / 페이퍼로드 / 2024년 9월
평점 :

“이들을 빼놓고는 경제의 실상을 포착할 수 없다.” 역사와 문명을 연결한 중간상인 이 책 <상인의 세계사>는 페니키아인, 파르티아, 이슬람, 소그드인,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바이킹, 한자동맹, 포르투갈, 에스퍄냐, 대영제국, 조세 피난처의 11개 주제로 탐구하는 브로커의 변천사입니다. 상인이야말로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지구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한 주인공이자 인류 역사의 숨은 주역이라고 합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조세 피난처까지 기대되는 내용입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세계 최초로 상인이 탄생한 곳이라고 합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인더스 문명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는데 이 문명은 천연 자원이 부족해 목재, 구리, 석재, 금과 은 등을 다른 지역에서 수입해 자급자족이 불가능하다는 약점이 오히려 중간상인이 활약하는 광범위한 상업권이 성립된 배경입니다. 상인은 문명의 태동과 함께 등장해 서로 다른 지역과 인간을 연결하고 매개했다. ‘중매인’ 내지는 ‘브로커’로 불린 그들은 멀찍이 떨어진 문명을 연결하여 서서히 하나로 통일시켰습니다. 그들이 구축한 교역로를 따라 성직자는 타지에 종교를 전파했고, 문학가는 다른 세상의 문화를 배웠으며, 국가는 이국의 문물을 수입했습니다. 상인이야말로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지구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한 주인공이자 인류 역사의 숨은 주역입니다.

이 책은 상인의 변천사에서 세계 경제의 우여곡절을 알 수 있습니다. 머나먼 과거에는 상인이 직접 서로 다른 세상을 연결했으나 이제는 매개의 역할을 기계가 떠맡게 되었고 덕분에 세계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강력하게 일체화되는 중입니다. 오늘날 세상은 급속하게 좁아지고 있고 이 책은 상인이 역사에 남긴 업적,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줍니다.
유럽 문명은 원래 오리엔트 문명의 파생물이었다. 단지 유럽인이 잊고 있을 뿐이다. 많은 유럽인은,유럽이 처음부터 독자적인 문명으로 발전했다고 생각한다. 그런 착각은 “오리엔트 문명에서는 전제정치가 발전했으나 그리스 문명에서는 민주정치가 태어났다.” 라는 전제에 기반을 두었다. 현재는 이 전제 자체가 틀렸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 ---p.47
중앙유라시아와 실크로드 상인들에서는 비단, 금, 은그릇, 유리, 향료, 약품, 모피를 비롯한 다양한 상품이 복잡한 경로로 유통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실크로드는 본래 사람들이 다니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초원과 사막이 많은 건조지역입니다. 우리는 보통 실크로드가 중국과 지중해를 연결하는 경로로 알고 있었는데 장거리를 이동하는 상인이 있었고 거래된 상품도 다양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중간상인은 문명의 발생과 함께 등장한 부류로 문화와 문화, 문명과 문명을 연결하는 사람으로 중간상인이야말로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지구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한 사람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습니다.
지중해 교역료를 개척한 페니키아인, 동양과 서양을 연결한 이슬람 상인, 비단길의 진정한 지배자 소그드인, 다이아몬드 무역을 장악한 유대인, 북유럽 해상무역을 발전시킨 바이킹 등을 통해 사람과 사람은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과거와 지금의 차이점도 생각해 보게 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으로 물건을 사고 팔았던 우리는 변화된 흐름속에 또 성장하고 발전해 왔습니다. 11개의 주제로 책 한권에 만날 수 있는 상인의 세계사 전혀 몰랐었던 부분과 역사의 흐름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출판사 제공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