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형에 이르는 병
구시키 리우 지음, 현정수 옮김 / 에이치 / 2019년 11월
평점 :
무슨 사형에 이르는 병이 있는지 궁금해서 펴 들었다. 4분의 3정도 읽고 잠이 들었는데 무서워서 두 번 깼다. 역시가 역시다.
하이무라라는 연쇄살인자가 있다. 악마가 이런 모습일까. 그 사람이 체포되고 죄가 낱낱이 밝혀지는 순간 동네 사람들은 정말 그 사람이 그럴 리가 있냐, 전혀 몰랐다, 정말 좋은 사람이었다고 증언했다. 겉으로는 마음씨 좋은 동네 아저씨였다. 아이들에게도 인기만점이고, 빵도 잘 만들던 인기 좋은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의 집 곳곳에는 학대당하다가 무참히 살해된 청소년의 시신이 여러구 나왔다.
그는 어릴 때 학대당했다. 그 엄마도 어릴 때 학대당했다. 학대와 폭력과 비난은 대를 이어 계속 됐다. 하이무라는 어릴 때부터 자기보다 나이가 어린 아이를 잡아다가 가학적으로 대했다. 너무도 불우한 환경 속에서 헐벗고 내던져진 채 살았다. 안다, 안타깝다. 그러나 그는 살인마다.
그의 범죄는 어린시절부터 계속 됐다. 어쩌면 사형이 답일지 몰랐다. 오래전부터 검거됐어야 했다. 아무 죄 없는 어린 학생들이 너무도 아깝게 생을 마감했다. 너무나도 잔혹하게 고문후 죽였다. 하이무라는 사람이 아니었다. 너무나 악한이다. 정유정의 <종의 기원> 속 사이코패스 그 이상이다. “건강관리 잘해” 의 이재경(신성록)은 새발의 피다. 하이무라는 사형을 언도받고 복역 중이다. 누가 봐도 명백히 살인마인 그가 억울함을 호소한다. 8건은 인정하지만 나머지 한 건은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 누명을 벗겨내 달란다. 헐. 여덟이나 아홉이나.
마사야라는 대학생이 있다. 즐거움과 낭만으로 가득 차 있어야 하는 신입생 시절이지만 너무나 비참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어릴 때는 공부도 잘하고 활달해서 아버지에게도 칭찬받고 교우관계도 좋았다. 그런데 대학은 운이 없게도 3류 지방대로 오게 된 것. 자괴감에 빠져 살아가는 마사야는 친구관계도 그다지 좋지 않고, 아버지도 만나고 싶지가 않다. 특히 고등학교 때 동급생이었던 아카리를 교정에서 만난 이후로는 까닭없는 분노가 치민다. 아카리 같이 인기가 없고 공부도 쏘쏘이던 애가 다니는 학교를 자기가 같이 다닌다는 것이 화가난다는 게 이유다. (진짜 어이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자취방으로 편지가 하나 도착하는데 다름아닌 그 살인귀 하이무라였던 것이다.
그는 억울함을 호소하며 도와달라고 한다. 하이무라는 마사야가 어렸을 때 동네 빵집 아저씨였다. 하이무라는 마사야가 빵집에 가면 언제나 치켜세워주곤 했다. 마사야는 자기가 소위 잘나갔을 때 자기의 모습만 기억해줄 하이무라를 만나러 간다. 그를 만나면 무너진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을 것만 같다.
그리고 탐정처럼 그 사건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그사건은 가오루라는 여자가 죽은 사건인데 하이무라는 16-19세 청소년에게만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26살이 된 가오루는 대상이 아니었다. 수법도 하이무라랑 달랐다. 마사야는 가오루를 죽인 범인을 알고 싶었다. 그래서 하이무라의 변호사가 준 자료를 바탕으로 사건의 전말을 파헤치러 다닌다. 그런데 어느날 하이무라가 보내준 자료 속에서 자기 엄마의 젊은 시절을 발견하게 된다. 응? 엄마가 왜 거기서 나와?
단숨에 읽었다. 그럴 수 밖에 없었다. 뒷이야기가 궁금했다. 그리고 순간순간 마사야가 하이무라랑 동화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너무나도 선뜩했다.
분홍색 가방을 맨 어린아이를 버스정류장에서 보고 저 아이의 목을 나도 조를수 있겠다고 생각했을 때, 우동가게에서 우동먹던 여섯 살짜리가 혼자 화장실에 가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의 모습은 소름이 끼쳤다. 하이무라가 사람을 죽일 때보다 멀쩡했던 마사야가 변태적인 살인을 계획하고 상상하는 게 더 무서웠다.
인간이 숭배하는 어떤 인간을 완벽하게 닮을 수 있을까? 난 있다고 생각한다. 어릴 때 의지하던 사람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마치 전두엽 어딘가에 원래는 죽어있던 혈관하나가 빤짝 하고 켜진 것처럼 이상한 숭배와 애정이 솟아 그 사람이 어떤 악한 일을 감행해도 똑같이 할 준비가 돼 있는 것이다. 유전과는 아무 상관없이 , 그가 내 아비인 것과는 아무 관계없이.
이 책 리뷰쓰기 정말 어렵다. 한국사회에서 절대로 만나고 싶지 않은 인물이다.
생각할 거리는 많은데 정리가 안되네. 악몽만 꾸니까 더 생각하고 싶지도 않고 ㅠ
그런데 맨 마지막 장면은 뭐에 대한 치유인지 기회가 된다면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다.
스릴러 좋아하는 독자는 주저없이 픽해도 실망하지는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