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마리아에서 강주룡 김명시 이화림에 이르기까지 교과서엔 안나오지만 조선의 독립과 노동자의 권익 보호 및 여성의 권익을 위해 몸바쳐 싸운 여성들의 이야기, [싸우는 여자들, 역사가 되다]를 읽고 있다.
김마리아에서 벌써 울음이 터졌다. 신파고 아니고 담담하게 서술하는 건데 왜 슬플까! 어찌 이리도 목숨을 모두 남을 위해서 걸었는지!! 왜 이기적으로 살아도 살기 힘든 세상에서 그리 남을 위해, 민족을 위해 살았는지!! 모진 고문 왜 참아내면서 끝내 굴복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안쓰럽고 슬펐다.
박서련 작가의 [체공녀 강주룡]을 본 적 있는데 (읽은 건 아니고) 강주룡이 실존 인물인 걸 몰랐다!! 서양 여성 예술가들은 곧잘 익히면서 (그마저도 적지만) 조선의 여성영웅은 몰랐다니 부끄럽다!!
또다시 도래한 3.1절! 이 책 읽고 제대로 알아볼 것이다!
어제 설교에서 목사님이 그러셨다. 요즘 세상이 너무 힘들다고 하지만 1920년대에 비하면 그래도 살만 하다고. 맞아 방콕 생활이 늘어가면서 우리는 우리 앞에 것만 바라보고 그것만이 내 세상인 줄 아는 바보가 되었다.
앉은 자리에서 권익 운운하지말고 3월만큼은 가슴을 펴고 죽을 때까지도 민족을 위해 일하고자 했던 피묻은 여성의 손을 기억하자.
3.1절에 읽기 정말 좋은 책, 그리고 할머니들 고맙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404/18/cover150/k052738325_1.jpg)
그토록 그리던 아내와 아들이 왔으나 말 한마디 나누지못한 채 1936년 2월 21일 오후 4시, 불굴의 혁명가 신채호는 이국의 감옥에서 눈을 감았다. 그러나 일제는 죽은 신채호조차 그냥 두지 않았다. 박자혜 모자가 화장한 유골을 안고 압록강을 건너 귀국할 때 유골함까지 열어 헤치는 만행을 저지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