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묻어버린 것들
앨런 에스킨스 지음, 강동혁 옮김 / 들녘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흥미진진

그때, 라일라가 틀린 그림을 찾았다. 그녀는 식탁에 올려놓은 사진중 두 장을 짚어냈다. 하나는 케인이, 다른 하나는 리드가 찍은 것이었다. 그녀는 두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더니 말했다.
"여기. 록우드네 집 뒷문 오른쪽 창문이에요." - P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마리아에서 강주룡 김명시 이화림에 이르기까지 교과서엔 안나오지만 조선의 독립과 노동자의 권익 보호 및 여성의 권익을 위해 몸바쳐 싸운 여성들의 이야기, [싸우는 여자들, 역사가 되다]를 읽고 있다.

김마리아에서 벌써 울음이 터졌다. 신파고 아니고 담담하게 서술하는 건데 왜 슬플까! 어찌 이리도 목숨을 모두 남을 위해서 걸었는지!! 왜 이기적으로 살아도 살기 힘든 세상에서 그리 남을 위해, 민족을 위해 살았는지!! 모진 고문 왜 참아내면서 끝내 굴복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안쓰럽고 슬펐다.



박서련 작가의 [체공녀 강주룡]을 본 적 있는데 (읽은 건 아니고) 강주룡이 실존 인물인 걸 몰랐다!! 서양 여성 예술가들은 곧잘 익히면서 (그마저도 적지만) 조선의 여성영웅은 몰랐다니 부끄럽다!!

또다시 도래한 3.1절! 이 책 읽고 제대로 알아볼 것이다!



어제 설교에서 목사님이 그러셨다. 요즘 세상이 너무 힘들다고 하지만 1920년대에 비하면 그래도 살만 하다고. 맞아 방콕 생활이 늘어가면서 우리는 우리 앞에 것만 바라보고 그것만이 내 세상인 줄 아는 바보가 되었다.

앉은 자리에서 권익 운운하지말고 3월만큼은 가슴을 펴고 죽을 때까지도 민족을 위해 일하고자 했던 피묻은 여성의 손을 기억하자.



3.1절에 읽기 정말 좋은 책, 그리고 할머니들 고맙습니다!!

그토록 그리던 아내와 아들이 왔으나 말 한마디 나누지못한 채 1936년 2월 21일 오후 4시, 불굴의 혁명가 신채호는 이국의 감옥에서 눈을 감았다. 그러나 일제는 죽은 신채호조차 그냥 두지 않았다. 박자혜 모자가 화장한 유골을 안고 압록강을 건너 귀국할 때 유골함까지 열어 헤치는 만행을 저지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릭 미러 - 우리가 보기로 한 것과 보지 않기로 한 것들
지아 톨렌티노 지음, 노지양 옮김 / 생각의힘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위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이런 행동을 "미덕 과시virtue signaling"
라 부르는데, 대체로 보수 측에서 좌파를 비판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미덕 과시는 초당적이고 때로는 비정치적인 행동이다. 트위터는 수정헌법 제2조Second Amendiment 에 대한 열렬한 지지와 충성 맹세로 넘치는데 이는 우파의 미덕 과시라 할 수 있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지음 / 사계절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들과 글쓰기를 할 때, 집에 빗댄 설명을 종종 한다.
단어를 벽돌로, 문장을 벽으로, 문단을 방으로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하나의 문단에는 하나의 생각만 들어가야한다는 것을 잠자는 방, 부엌, 화장실을 구분하는 데 비유하면 설명하기가 좋다. 집의 크기나 식구 수에 따라 방의 개수가 달라지듯이, 글도 상황에 따라 단락 수가 달라진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럴 때는 어린이들이 구체적으로 떠올릴 수있게 내 경험을 덧붙인다.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호프 자런 지음, 김은령 옮김 / 김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에너지의 총량은 내가아이였던 1970년대에 비하면 세 배나 많은데, 전 세계 인구 증가폭이 두 배라는 사실에 비춰보면 의미심장하다. 에너지의 상당 부분은 전기 형태로 소비되는데, 그 사용량은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전기량은 50년 전의 네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 P1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