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을 상상해 볼래?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41
디토리 지음 / 북극곰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MG_20180304_123357.jpg



"어흥!"

오렌지 빛깔 호랑이가 울었어



 

IMG_20180304_125442.jpg


 

엄마가 읽어 주는 내용을 듣고 그림을 그리는 딸.

딸의 손에 의해 왕관 쓴 오렌지 빛깔 호랑이가 그려지고,

빙긋 웃는 핑크빛 볼의 내 모습,

흰 눈밭을 뛰어 다니는 강아지와 주황빛 해.

빨강 모닥불이 흰 여백에 하나씩 생겨납니다.



 

IMG_20180228_213236_edit.jpg


 

서울 와우 북페스티벌 2017 창작 그림책 챌린지 수상작 디토리 <색을 상상해 볼래?>를 읽어 주며,

아이가 상상하는 색으로 그림을 그려 보았어요.

우연히 색맹이 보는 세상이라는 글과 함께 본 그림이 생각이 났어요.


 

자료출처 - https://blog.naver.com/forepic/220921288566

내가 당연히 보고 느꼈던 수많은 색과 그 느낌들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 많아 놀랐어요.

남자 아이가 유난히 색 구별이 늦거나,

노란색과 녹색을 구별하기 힘들어 하거나

파란색과 보라색을 구별하기 어려워 한다면..

혹시 색맹이 아닐런지 의심해 보세요.

색약이나 색각이상일 수도 있답니다.

우리 아이는 우리가 보는 색을 조금 다르게 보고 있는 이들을 생각하지 못하고 우리 시선에서 사물을 보고 받아들이고 있더라고요.

그들이 보는 세상빛은 우리가 보는 세상빛과 다르다는 것을 잊게 되는 거 같아요.

하물며, 세상의 색을 제대로 볼 수 없는 이들도 있죠.

그들이 볼 수 있는 색은 검은색.

그나마 빛이라도 느낄 수 있는 이들은 희미하게 흑백의 명암으로 색을 본다고 들었어요.

 그런 이들에게 우리가 보고 있는 세상빛을 어떻게 이야기 해 줄 수 있을까요?

만약, 우리 아이들이 앞을 볼 수 없어서 그 아이들에게 색을 알려줘야 한다면 어떻게 알려 줄 수 있을까요?

그 아이들에게 색은 그저 단순한 색이 아닐 거에요.


 

 

 


IMG_20180228_213359_edit.jpg

IMG_20180228_213420_edit.jpg

IMG_20180228_213431_edit.jpg

ϻ

우리가 보는 빨강은 조금씩 차이가 있어요.

붉은 장미, 모닥불, 햇님, 빨간 모자...

그걸 어떻게 설명해 줘야 그들이 색을 알 수 있을까요?

그러러면, 우리의 오감을 동원해 설명해 줘야 그나마 색의 느낌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디토리 그림책 <색을 상상해 볼래?>는 이렇게 색을 모르는 이들에게

청각으로, 후각으로, 촉각으로, 미각으로 색을 느낄 수 있게 설명해 주는 책이랍니다.


작가가 맹인학교에서 봉사활동을 하던 중 한 친구가 "색은 어떤 모양이에요?"라고 물었대요. 그 물음에 대한 답으로 이 그림책을 만들었다고 해요.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것을 알려 주고 싶은 작가의 따뜻한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지지 않나요?

<색을 상상해 볼래?>는 타인을 배려하는 작가의 마음이 느껴져 더 따뜻하게 다가오는 그림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쩌저적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40
이서우 지음 / 북극곰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MG_20180208_194710.jpg


 

페이퍼 토이를 보자마자 펭귄 만든다고 자리 잡은 둘째와 셋째랍니다.

일단 가위 사용이 조금 더 능숙한 누나가 가위로 열심히 오려 줍니다.

옆에 있던 막내는 누나가 오려 두는 것을 한 곳에 잘 모아 둡니다.

가위질만으로도 지친 둘째.

만들기는 다음날로 미뤄봅니다.



IMG_20180227_155013_edit.jpg

사촌동생이 놀러왔습니다.

페이퍼 토이 한 마리로는 아무래도 어려울 것 같아..

북극곰 블로그에서 영상을 보고, 페이퍼 토이를 출력했습니다.

조금 도톰한게 좋다고 하긴 하지만,

아직 가위질이 서툰 다섯살 막내들은 얇은 종이가 더 나을 듯 합니다.

누나도 또 다시 가위질..

가위질만 하는 거 같은 우리 아이들..

가위질을 끝내고, 페이퍼 토이 만들기 시작했는데..

풀칠이 난감하네요.

풀로 붙였는데, 제대로 붙지 않고, 밀리고, 손에 묻은 풀은 끈적끈적.

결국, 펭귄 머리도 채 완성하지 못하고 포기 선언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테이프로 다시 도전..

그런데 테이프로 붙이는 것도 만만한 작업은 아니네요.

어찌하여 완성을 시키긴 했는데..

마음에 들지 않는답니다.

그리하여, 시간이 여유로운 날은 출력된 페이퍼 토이를 오리고, 만들기 놀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제대로 완성된 펭귄을 만나지 못했네요.


우리 꼬마들이 왜 이렇게 펭귄을 열심히 만들고 있을까요?

그건 바로바로...



IMG_20180228_212857_edit.jpg

북극곰 출판사에서 출간된 이서우 작가님의 <쩌저적>을 만났기 때문이랍니다.

물고기를 입에 물고, 얼음 위에 떠 있는 펭귄.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요?



IMG_20180228_212922_edit.jpg

면지에요.

많은 펭귄들이 있어요.

그리고, '쩌적'€이라는 두 글자가 생겨 있어요.

소리만 들어도 무슨 일이 생긴 것인지 상상이 가네요.



IMG_20180228_212942_edit.jpg

그 많은 펭귄들 중에서..

한 마리만

떨어져 있었네요.

입에 물고기를 문 채...

다른 펭귄들이 놀라서 쳐다 보는 것 같죠.

혼자 얼음 위에 있는 펭귄은 얼마나 놀랐을까요?



IMG_20180228_213032_edit.jpg

눈물이 글썽글썽...

이제 혼자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해요.

그 많은 무리 중에서 혼자 남겨진 펭귄의 심정은 말로 형언할 수 없을 것 같네요.

펭귄 눈에서 떨어지는 눈물이 마음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요.

그리고, 신비로운 초록빛이 얼음을 감싸고 있네요.

무엇인가 전환점이 생긴게 아닐까 싶어요.


 


IMG_20180228_213054_edit.jpg

IMG_20180228_213113_edit.jpg

펭귄의 여행이 시작됩니다.

이젠 아이들을 보고 인사도 하는 여유가 생긴 펭귄이에요.

세상은 넓다는 것을 알게 된 펭귄..

혼자 되었을 때 흘렸던 눈물은 사라진지 오래네요.

펭귄을 따라 하는 여행에서 바다 색이 바뀌어요.

펭귄은 어디까지 얼음을 타고 갈 수 있을까요?


 


IMG_20180228_213126_edit.jpg

IMG_20180228_213205_edit.jpg

펭귄이 도착한 곳은 더운 나라.

서핑 보드를 들고 있는 아이와 딱 마주친 펭귄..

펭귄이 타고 있었던 얼음이 이젠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되었네요.

그리고, 소년의 손에 들려 있던 것이 바뀌었어요.

펭귄은 여행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을까요?


얼음이 녹는 이유는 기상 이상 때문이죠.

좀 무거운 주제인데,

근본적인 이유를 떠올리면서도

가볍게 책장을 넘길 수 있었던 거 같아요.

아무래도 작가님의 위트가 그림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이서우 작가님의 <쩌저적>은 서울 와우 북페스티벌 2017 창작 그림책 챌린지 수상작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낮에도, 밤에도 안녕 베스트 세계 걸작 그림책 36
마거릿 와이즈 브라운 지음, 로렌 롱 그림, 엄혜숙 옮김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JPG


 

큰아이가 어렸을 적 많이 봤던 책 중 하나가 <잘 자요, 달님>과 <할머니 집 가는 길>이었다.

<아기 토끼의 시끄러운 하루>, <난 별이 참 좋아>, <난 자동차가 참 좋아>, <곰과 나비>...

아이들이 너무나 좋아했던 책들. 그 책의 글작가 '마거릿 와이즈 브라운'

'신작' 이라는 말에 어떤 내용일까 궁금했다.




IMG_20180228_214329_edit.jpg

한 폭의 수채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그림도 넘 마음에 든다.

해가 뜨는 새벽 홀로 아침을 맞이하는 토끼 한 마리.


 


IMG_20180228_214419_edit.jpg


 

만나는 이들에게 반가이 인사를 한다.

반가워요!

마을 전체를 보여 주기도 하고,

일부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꿀벌처럼 카메라 줌을 한 듯 자세히 보여주기도 한다.

산뜻한 색감이 절로 눈이 가는 예쁜 그림책이다.


 


 



IMG_20180228_214442_edit.jpg

IMG_20180228_214455_edit.jpg

그리고, 찾아 온 밤

잘 자요.

라고 인사를 한다.

어스름 짙어 오는 저녁 시간은 왜 회색빛이라고 생각을 했을까?

<낮에도, 밤에도 안녕> 그림을 보면서

<파란 시간을 아세요?>에서 만났던 파란 시간이 떠올랐다.

굴뚝마다 피어오르는 연기...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이는 시간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IMG_20180228_214508_edit.jpg

하나 하나 인사를 하는 토끼.

<잘자요, 달님>의 한 장면을 보는 듯 느껴지기도 한다.

마거릿 와일즈 브라운 글은 따뜻하다는 느낌을 준다.

막내를 재우기 전 이 책을 읽어 주고 난 후

"잘 자요. 멋진 왕자님."

이라고 말해줬더니, 그대로 누워 자는 척을 한다.

낮에 읽어 주어도 좋지만,

잠자리에 읽어 주면 더 좋을 책이다.

반복적인 언어를 통해 한참 말 배울 아이들에게 읽어 주면 말문이 확 트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즈의 마법 코딩 - 동화로 배우는 스크래치 4차혁명 미래아이 1
최성은 지음, 김소희 그림 / 풀빛미디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부터 초등 교과과정에 '코딩'수업이 들어간다고 한다.

아직 아이가 중학년이어서 올해 '코딩' 수업을 듣진 않지만, '코딩'에 대해 나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어, 궁금했다.

지난해 아이가 '엔트리 코딩'을 접했었다.

'코딩'관련 책들을 도서관에서 빌려 보기도 했다.



 

IMG_20180228_214730_edit.jpg


 

그런데 스크레치 코딩에 대해서는 <동화로 배우는 스크래치 오즈의 마법 코딩>을 보기 전까지 몰랐다.

<오즈의 마법사>가 떠오르게 하는 <오즈의 마법 코딩>

표지엔 허수아비, 양철로봇, 겁 많은 사자와 다른 동물들이 보인다.

동화로 되어 있어 아이들이 쉽게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책이 도착하고 큰아이는 이 책을 서너번 보았다.

재미있는 책을 반복해서 보는 아이 덕분에, 더욱 책 내용이 궁금했다.



IMG_20180228_214743_edit.jpg

차례를 살펴보니,

<오즈의 마법사> 이야기에 코딩을 알기 쉽게 알려 주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IMG_20180228_214811_edit.jpg


<동화로 배우는 스크레치 오즈의 마법 코딩>은 이야기가 진행되는 중간 중간 '스크래치' 코딩에 대한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도로시가 마법사 오즈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알고리즘과 해결하는 과정을 동화로 보고 난 후,

그 내용이 스크래치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준다고 할까?

책을 보면서 동화의 흐름은 따라가기 쉬운 반면, '스크래치 코딩'은 처음 접하는 내용이어서 흐름을 따라가기가 쉽지 않았다.

그 때 눈에 띈 것이 바로 '풀빛미디어 블로그'였다.€

'풀빛미디어 블로그'에 접속하면 스크래치 오프라인 에디터 설치 하는 방법부터 도로시가 오즈를 찾아가는 길에 수행했던 프로젝트를 직접 해 볼 수 있도록 다운로드 할 수있게 되어 있어, 아이들 스스로 스크래치를 익히기 수월할 것 같다.


익숙치 않은 코딩...

그럼에도, 아이들이 놀이처럼 코딩을 익힐 수 있어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모라면 그들처럼 - 아이를 1% 인재로 키운 평범한 부모들의 특별한 교육법
김민태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라면 그들처럼>이 도착했다. 초등 4학년 아들이 보더니,

"신사임당 이야기도 나와요?"

라고 묻는다.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했더니

"이율곡을 훌륭하게 키워냈으니까요."

라는 답이 돌아왔다.

<부모라면 유대인처럼>이 너무 낯익어서, 난 <부모라면 그들처럼>도 우리나라 작가가 쓴 책이라고 생각을 못했었는데...

텔리비전을 잘 보는 편은 아니지만,

<EBS 아이의 사생활>은 워낙 많이 알려진 프로라 한두번 봤던 것 같다.

<아이의 사생활>의 피디가 들려주는 교육법이 궁금해졌다.

우리 아이 말대로, 신사임당 교육법도 이야기를 할까?

'아이를 1% 인재로 키운 평범한 부모들의 특별한 교육법'이라는 부제도 제목만큼이나 눈에 들어왔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육아서도 제법 봤다고 생각을 한다.

어떤책은 보면서 공감도 많이 하기도 했고, 어떤책은 괜한 시간 낭비만 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아이들이 커가면서 주변에서 들려 오는 이야기들이 조금씩 달라진다.

초등학교 입학 즈음해서는 많이 놀리던 이들도, 3~4학년 정도 되면 초조해하고, 입시 학원 정보에 귀를 기울인다.

다른 아이들과 비교 하며 내가 정말 잘 하고 있는 걸까?하는 의문이 들면서 기존에 세웠던 원칙들이 흔들린다.


'자녀 교육에 정답은 없지만

 원칙은 있다!'

라는 문장이 씌여있던 뒷표지.

다른 사람들의 말에, 우리 아이가 뒤처지는 게 아닐까 불안해 하고,

지금껏 아이에게 적용했던 원칙들이 흔들리고 있던 게 아닐까 싶다.


남편과 나는 아이들이 행복하면 무엇을 하든지 응원해 주자고 했었다.

그런데, 아이들이 커가면서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들이 눈에 띄고, 자꾸 잔소리를 하게 되는 내 모습이 보인다.

친정 아빠는 늘 왜 잔소리를 하냐고, 가만히 두면 알아서 한다고 말씀을 하셨다.

내가 그렇게 커왔다.

그런데, 왜 우리 아이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걸까?

내가 우리 아이를 믿어주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부모라면 그들처럼>은

아이의 무한 잠재력을 깨우는 3가지 심리 욕구에 주목하라!

가르치지 마라! : 호기심과 경험이 잠재력을 깨운다

강요하지 마라! : 아이들은 결정한다, 고로 존재한다

초심으로 돌아가라! : 다만 믿고 사랑하고 기다린다

4부를 통해, 유능성 욕구, 자율성 욕구, 관계성 욕구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 준다.


한번쯤 들어 보고, 알고 있음에도 쉽게 잊혀지는 것들을 다시 눈으로 확인한 느낌이 든다.

지금 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부모인가?

내가 되고 싶었던 부모상은 어땠었나?

<부모라면 그들처럼>을 보면서 난 육아 원칙을 되돌아 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