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독서 - 아이들과 함께 성장하는 책 읽기
정성현.여송사회복지재단 지음 / 꿈터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해 초등 1,2학년 교과서가 바뀌었다.

올해는 3,4학년 교과서가 바뀌었다.

바뀐 내용 중 하나가 '한 학기 한 책 읽기'라고 한다.

생각해 보니, 아이들과 책을 많이 보긴 했는데 깊이 있게 보진 못했다.

한 학기 한 책 읽기.

아이도 나도 준비가 되지 않았다.



IMG_20180818_212433_edit.jpg

'서로 마주보기, 서로 공감하기, 서로 토론하기, 서로 소통하기'

책을 읽으며 아이들과 함께 하고 싶었던 것들이다.

우리 아이들은 엄마가 책 읽어 주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책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것은 어색해 하고, 어려워 한다.

그래서 난 책 읽고 난 후 아이들에게 책 읽은 느낌을 물어보고, 책을 통해 무엇인가 활동을 하려고 하는게 너무 어렵다.

<함께 독서>를 보며, 아이들과 함께 나도 성장하는 책 읽기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IMG_20180818_212511_edit.jpg

5부로 구성된 <함께 독서>는

독서 지도법을 비롯해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고, 독후활동을 하는 방법들을 이야기 한다.



IMG_20180818_212545_edit.jpg

이 책에 소개 된 책들은 처음 접하는 책들이었다.

그럼에도 저자는 책을 읽고, 활용하는 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해 준다.

활용법도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고, 예시와 다양한 독서 관련 내용들을 접할 수 있는 책이다.

저자가 아동센터에서 아이들과 함께 진행한 것 등 실례도 만날 수 있다.

무엇보다 좋았던 것은, 사례가 많고,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다는 것이다.


아이 친구들과 집에서 독서캠프를 해 보면 어떨까 생각을 했었는데,

이 책에서 독서캠프 관련 내용도 있어 신기했다.


늘 방학이 끝나 갈 때면, 아이들 독서감상문 때문에 전쟁 아닌 전쟁을 치루었다.

무엇이라도 아이들 생각을 이끌어 내 감상문을 쓰게 하려는 의도는

제대로 따라와 주지 않는 아이들로 인해 점점 감정만 상하게 되고...

결국, 큰소리가 여러반 난 후 눈물을 흘리며 꾸역꾸역 감상문을 완성하는 아이들.

이제 곧 전쟁을 치루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엔 전쟁 전에 슬그머니 아이에게 이 책을 들이밀었다.

물론, 엄마의 의도를 알아챘기에 책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아이에게 책을 읽어 주었다.

이번 방학은 조금 수월하게 감상문을 쓸 수 있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 - 유대 5천 년, ‘탈무드 자녀교육법!’
장화용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날이 더워지고, 불쾌지수가 높아진다. 어떻게 보면 별 것도 아닌 일인데 짜증을 내고, 화를 내고 있는 내 모습이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농담처럼 나 죽고 나면 사리가 엄청 나올 거라고 말하곤 했다. 말은 그렇게 하면서 정작 난 내 아이들을 기다려 주고 있었던가?

아이들을 키우면서 내 욕심에 아이들을 키우지 말자고 다짐을 했었다. 아이들 말을 들어주고, 기다려주면, 아이들은 잘 커 갈 거라고 믿고 싶었다. 그런데 난 아이들을 내 인내심의 끝까지는 기다렸을지 모르지만, 아이들이 충족할 정도로 기다려주진 못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결국 큰소리가 한번은 나고야 마는 일상을 보내고 있다.

방학이어서 매일 집에 있는 아이들이 빈둥거리는 것을 보면서, 그래 지금 아니면 또 언제 이렇게 빈둥거려 보겠어 싶으면서도 자기들이 해야 할 일도 안하고, 무작정 놀기만 하는 모습에 결국 잔소리를 하게 된다.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은 아이들과 매일 전쟁을 치루던 내 눈에 띄였다. 그래 아이들이 뭘 알겠어. 내가 문제지. 내가 조금만 참고, 기다리면 되겠지 스스로를 달래 본다.


내 아이의 자존감을 강하게 키우려면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유대인 부모처럼 해야 한다.

모르는 것을 질문했을 때 즉답보다 질문으로 답하면서, 아이의 입에서 답이 나올 때까지 귀 기울여 '들어주는 부모'여야 한다.

고난과 역경이 닥치더라도 스스로 해결할 때까지 '인내하는 부모'여야 한다.

아이가 떼를 쓴다고 해서, 무턱대고 화내거나 아이의 부탁을 즉각 허락하기보다 '기다리는 부모'여야 한다.

-p. 4 <머리말> 중에서 -

아이들이 자존감이 강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으면서도 난 아이의 자존감이 낮아지는 말과 행동을 하고 있었다.

들어주어야 할 상황, 인내해야 할 상황, 기다려야 할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도 못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내 욕심을 버려야지 하면서도 난 내 욕심껏 아이들을 키우고자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내 욕심에 충족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자꾸 잔소리를 하게 되는 게 아닐까?


유대인들은 "네 자녀를 가르치라."는 여호와의 명령에 따라 토라와 탈무드를 실천한다.

-p.. 57-

우리는 자기 자식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고 말을 한다. 자기 자식을 직접 가르치다 보면, 화를 주체하지 못하고, 결국 아이들도 부모도 상처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자기 자녀를 직접 가르친다고 한다. '대화와 토론,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실천'하는 유대인 교육법인 하브루타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 막상 아이드로가 하브루타 교육을 하려고 시도 했다가 아이들도 어색해 하고, 나도 아이들이 장난으로만 받아들이는 것 같아 시도만 해 보고 그쳤던 기억이 있다.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은 '유대 5천 년, 탈무드 가정 철학!, 유대 5천 년, 탈무드 자녀교육!, 유대 5천 년, 탈무드 공부법!'을 다루고 있다. 책을 보면서 내가 아이들에게 욕심냈던 하브루타, 토론, 등의 내용들이 보였다. 그럼에도 책은 이론서처럼 딱딱하지만은 않았다. 유머도 만날 수 있고, 읽기 수월한게 쓰여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난 유대인 부모처럼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게 쉽지 않다. 좋은 방법임을 알고 있음에도 왜 실행하기 쉽지 않을까? 물론, 큰 맘 먹고 시도해 보면 나도 유대인 부모처럼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그럼에도, '문화'라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그들에게 전해 내려온 5천 년의 역사는 이미 그들에겐 문화로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이어져 내려 온 것이기에 어설픈 흉내로 그들을 따라갈 수 없는 게 아닐까 싶다.


책을 보며 다시금 반성해 본다.

내일은 들어주고, 인내하고, 가다려 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만나는 야생화 그림책 : 봄.여름 처음 만나는 야생화 그림책
마에다 마유미 지음, 김정화 옮김, 정연옥 감수 / 길벗스쿨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IMG_20180723_153328_edit.jpg


책 표지가 너무 예쁜 <처음 만나는 야생화 그림책 봄 여름>이랍니다.

화사한 꽃들이 가득하니, 기분이 절로 좋아지네요.

직접 그림을 그려도 좋을 것 같고,

자수를 놓아도 넘 예쁠 거 같아요.

아이들 손 잡고 집근처 산책하도 보면 만나게 되는 야생화 중 대부분은 이름을 모르거든요.

책 들고 나가 아이들과 야생화 찾아 봐도 넘 좋을 거 같네요.



IMG_20180723_153338_edit.jpg

식물의 생김새, 한살이..

학교 다닐 때 들어봤던 용어들이죠.

지금 초등생인 아이는 과학시간에 배우지 않을까 싶어요.

그저 그림으로 야생화를 만나는 것만으로도 좋았는데..

이렇게 식물의 생김새와 한살이도 볼 수 있어 더 좋은 거 같아요.



IMG_20180723_153401_edit.jpg

봄, 여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야생화는 무엇이 있을까요?
익숙한 서양 민들레, 제비꽃, 뱀딸기, 봄망초, 자운영, 토끼풀 등이 보여요.

그리고, 들어 본 듯한 개구리발톱, 괭이밥, 미나리아재비 등도 보이고요.

처음 보는 자주괴불주머니, 살갈퀴, 타래난초, 등도 눈에 띄네요.



IMG_20180723_153414_edit.jpg

전 시골에서 자라서 어렸을 적에 뱀 딸기를 자주 봤었어요.

요즘은 잘 보이지 않더라고요.

뱀딸기라는 것은 알았지만, 이것으로 무엇인가를 만들어 본 적이 없거든요.

아이들과 함께 만들어 보면 넘 좋을 거 같아요.

딸기, 민뱀딸기, 뱀딸기를 비교해 볼 수도 있네요.


책장을 넘기면서, 어? 이 꽃 길에서 봤는데 이름을 몰랐던 꽃인데 하는 것들도 눈에 띄네요.

야생화와 관련된 시들도 만날 수 있고, 꽃에 대한 정보도 만날 수 있어요.

비슷한 꽃도 만날 수 있고,

꽃을 활용하는 방법도 만날 수 있어요.

약용이 되는 야생화도 있고,

식용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소개가 되어 있네요.

그저 그림이 예뻐서, 따라 그려 보면 좋을 거 같단 생각을 했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정보에, 책을 들고 밖으로 나가고 싶네요.

날이 조금 선선했음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요한 나라를 찾아서 - 개정판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9
문지나 글.그림 / 북극곰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MG_20180723_152948_edit.jpg


검은 바탕에 빛나는 별들..

환상적인 느낌이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어서 보게 된 그림책 <고요한 나라를 찾아서>는

문지나 작가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북극곰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이랍니다.

털모자를 쓰고 목도리를 두른 아이들을 보니, 배경은 겨울인 거 같아요.

꽃, 나무, 새, 배, 나팔을 부는 사람...

여기가 고요한 나라일까요?



IMG_20180723_152958_edit.jpg

표지를 넘기면 면지가 나와요.

하얀 눈이 펑펑 내리는 숲길을 두 아이가 손전등을 들고 걸어가고 있네요.

두 아이를 비추고 있는 초승달이 보이네요.

그리고, 날고 있는 종이비행기.

두 아이들의 여행길을 초승달과 종이비행기가 함께 하며 힘을 주는 거 같아요.

두 아이는 어디를 가고 있는 것일까요?

아이들이 찾아가는 고요한 나라는 어디일까요?



IMG_20180723_153011_edit.jpg

"아빠는 어디 계세요?"

"아빠는 아주 먼 나라로 가셨어.

그곳은 고요한 나라란다."

시작부터 슬퍼요.

아빠가 돌아가시고 남은 세 가족.

아이들은 아빠의 죽음을 알까요?

옷걸이에 걸려 있는 아빠 옷과 그 아래 있는 가방이 갑작스러운 아빠의 죽음을 이야기 해 주는 거 같아요.

아이들을 보니 우리 막내 정도인 거 같은데...

아이들도, 혼자 남은 엄마도 걱정이네요.

두 아이들은 엄마의 말을 듣고, 아빠를 찾아 가는 게 아닐까 싶어요.

정말 추웠던 날 제 곁을 떠난 엄마가 떠오르네요.

저희 엄마도 고요한 나라에 계시겠죠?



IMG_20180723_153045_edit.jpg

이곳이 고요한 나라일까요?

푸른하늘, 푸른바다, 금빛모래..

그리고, 두 아이들..

벼경은 여름인데, 아이들은 겨울이에요.

두 아이를 보듬는 손이 아빠겠죠?

네 가족이 그려진 그림도 보이고,

작은 텔레비전처럼 보이는 곳엔 아빠와 두 아이들 모습이 행복하게 담겨 있네요.

두 아이들은 고요한 나라에서 아빠를 만난 걸까요?


친정엄마가 돌아가시고,

꿈에서라도 엄마를 한 번 봤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하는데..

꿈에도 잘 나오시지 않더라고요.

이 책 보는 동안, 돌아가신 엄마가 생각났어요.

저희 엄마도 고요한 나라에서 잘 지내고 계시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박 수영장 수박 수영장
안녕달 글.그림 / 창비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학교 도서실에서 먼저 만났던 <수박 수영장>

아이들하고 보면 너무 재미있을 거 같단 생각에 한 번 빌려 보고,

너무 재미있어서 또 한 번 빌려 보고,

잊고 있다 여름이 다가 오니 또 생각나서 보게 되더라고요.



IMG_20180723_153436_edit.jpg

안녕달 작가의 작품 중 제가 제일 좋아하는 책이 <수박 수영장>과 <할머니의 여름 휴가>랍니다.

무더운 여름이면 더욱 생각나는 그림책..

맛있게 먹기도 하고,

신나게 놀기도 하는

수박 수영장.

어제도 덥고, 오늘도 덥고, 내일도 덥고,

날이 더우니 <수박 수영장>이 절로 생각나네요.



IMG_20180723_153452_edit.jpg

여름이면 개장하는 수박 수영장.

밀짚모자를 쓴 할아버지보다 몇 배는 큰 수박이에요.

반을 가른 수박이 어떻게 수영장이 될까요?



IMG_20180723_153518_edit.jpg

IMG_20180723_153644_edit.jpg


 

모두 모두 신나서 달려 간 곳은

'수박 수영장'이에요.

'수박 수영장'으로 달려가는 아이들을 보니,

수영장으로 달려 가던 아이들 모습이 떠올라 미소짓게 되네요.

갈아 입을 옷도 준비해가지 못했는데..

날이 너무 더워서 그런지 아이들이 입은 옷 그대로 수영장에 풍덩!

넘 신나게 놀더라고요.

해 지고 난 다음이었는데도, 날이 워낙 더워서..

아이들 물놀이 하는데 춥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안되더라고요.

젖은 채로 나와 놀다, 다시 들어가고를 몇 차례 하다

넘 더워 집에 왔거든요.


여름에만 개장하는 수박 수영장.

신나게 놀고, 수박도 먹고,

아이들 손잡고 저도 달려가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