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르면 호구 되는 경제용어상식 - 경제의 흐름을 읽고 투자의 기초를 다지는 최소한의 경제용어상식 떠먹여드림 ㅣ 모르면 호구 되는 상식 시리즈
이현우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5년 5월
평점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모르면 호구 되는 경제 용어 상식
경제의 흐름을 읽고 투자의 기초를 다지는 최소한의 경제용어상식 떠먹여드림
이현우
한스미디어
매일 쏟아지는 뉴스 중에 경제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참 많다. 대충 어떤 흐름인지 파악하고 넘기지만, 사실 정확히는 모르고 지나칠때가 많았다. 그런데, 그런 경제를 가르쳐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어디서 부터 배우고 익혀서 가르쳐야 하지?
그럴 때 만난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 제목이 강렬했다. 《모르면 호구 되는 경제용어상식》. 경제의 흐름을 읽고 투자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 최소한의 경제용어 상식을 떠먹여 주는 책이라는 소개도 마음에 와 닿았다.
프롤로그부터 남달랐다. 기존의 경제학이 거대 자본, 정치 권력, 금융 엘리트 중심의 이론이라면, 지금의 경제학은 각자가 주인공인 시대. 경제는 선택이고 행동이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라는 것. 이것이 경제에 대한 이야기인가 관계 심리학적 해석인가 싶을 정도로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파격이었다. 새롭게 바뀐 시대, 경제를 읽고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도 바뀌어야 한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래도, 기존에 사용되던 용어들과 큰 틀을 깡그리 무시할 수는 없는 법. 책은 먼저, 기본적인 용어, 경제를 이야기할 때 많이 언급되는 기관들을 이해하는 것부터 다루고 있었다.
경제(생산,분배, 소비 활동 전체,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배우는 큰 숲), 금융(돈의 흐름), 회계(올바른 기록)의 차이부터 시작해서 세계의 돈을 쥐락 펴락하는 미국의 중앙은행 Fed(연방준비제도),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보고 시장금리, 기준금리 등을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실제 기사를 살펴보니, 그동안 스쳐지나갔던 기사 속 명칭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채권이라는 것도 돈이 필요한 기관과 자금을 빌려줘서 수익을 창출하려는 투자자들이 만나는 시장이라는 것, 그래서 지인들이 국공채가 나오면 투자하라는 이야기가 왜 나왔는지도 보게되었다. 국공채는 국가가 원금과 이자 지급을 보증하기에 신용도가 높기 때문이었다. 직접적으로 투자하지 않아도 우리가 가입한 예금, 연금 등 금융상품들이 다양한 채권에 투자하기에 우리도 이미 간접적으로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되었다.
학교에서 배웠던 생산과 소비의 개념, GDP(국내총생산,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 국가단위, 국내 거주 외국인의 최종생산물도 포함, 외국 거주 한국인의 최종 생산물은 포함되지 않음) 등도 실생활에 와닿게 다시 보였다. 각 장의 작은 주제들을 다루고 나면 생각할 수 있는 질문도 던져주면서 내 삶과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듯 했다.
이 책은 경제용어를 아주 기초적인 것부터 다루지만, 그 내용까지 초급인 것은 아니었다. 적어도 내게는 그렇게 다가왔다. 기초 용어를 다루지만 지금 시사적인 것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어려운 내용도 쉽게 풀어주는 책. 경제를 떠먹여주지만 씹고 소화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만화처럼 술술읽히는 것은 아니지만, 밥을 입에 넣고 꼭꼭 씹으면 그 단맛이 느껴지듯 천천히 생각하며 이미 내 삶 속에 들어와 있는 경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