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사임당 : 그림에 담은 자연 친구들 ㅣ 예술가들이 사는 마을 11
김소연 지음, 권은정 미술놀이 / 다림 / 2016년 10월
평점 :
신사임당 _ 그림에 담은 자연 친구들
김소연 글, 권은정 미술놀이
다림
신사임당.
조선시대 사람 중, 자신의 이름을 남긴 여성으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아들 율곡 이이 때문만이 아니라,
자신의 재능으로 인해 더욱 주목받는 이.

이 책에서는
신사임당의 그림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해놓고 있다.

이미, 우리는
신사임당의 작품을 가까이에서 접하고 있다.
포도송이를 그린 그림인데.
바로 이 그림!
어디에서 봤을까...?

맞다! 화폐!
오만원권 화폐에
신사임당의 초상과 더불어 <묵포도도>와 <가지> 두 점을 만날 수 있다.
매일 - 비록 늘 가지고 있는 돈은 아니지만 - 보면서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았던 화폐!
실제 <묵포도도>는 이름처럼 먹물로 농담을 살려 그린그림이지만,
화폐에는 채색된 그림을 실려있다.
여러번 덧칠하지 않고
한번에 과감하게 그린 포도 가지!
새로운 가지에서만 포도가 열리는 것을 표현한 것인지,
더 진한 색으로 그린것도 다시 보게 되었다.
색칠을 하지 않고서도 포도를 이렇게 먹음직스럽고 탐스럽게 그려냈다니..
오랜 시간의 흔적인 좀이 먹은 흔적까지도
작품의 하나처럼 여겨졌다.

책에서는 신사임당의 작품을 보는것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나만의 작품을 만드는데 까지 연결시켜주고 있었다.
그래서, 책 저자 중에 '미술놀이'를 담당하신 분이 계신거였구나~!
검은 한지에 락스로 포도송이를 그린다든지, 병풍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료에
커피가루, 채색도구로 화첩을 만들어 보는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 보게 안내되어 있어서 좋았다.

양귀비꽃을 본 적이 있는지?
빨갛고 하늘하늘 아름다운 꽃송이를 보고, 예쁘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신사임당의 그림은 초충도라고 해서, 풀과 곤충을 그린그림이 많다.
그런데, 양귀비를 그린그림이 있다는 것은 이번에 알게되었다.
<양귀비와 도마뱀>
양귀비란 꽃 이름은
중국 역사상 가장 아름다웠던 '양귀비' 양옥환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양옥환은 당나라 황제 현종의 사랑을 받아 아내가 되어, 귀비라는 높은 지위에 올라 양귀비로 불렸다.
사람들은 이 화려한 꽃에 아름다움의 대명사, 양귀비라는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화가들이 사랑한 꽃 양귀비.
양귀비는 서양 화가들도 즐겨그린 그림의 소재였다.
고흐의 <나비와 양귀비> ,
모네의 지베르니의 들판까지..
신사임당의 그림을 보면서, 서양 화가들의 작품을 같이 보게 구성되어 있어서
더 풍성한 감상이 가능한 책이었다.
사임당의 작품 뿐 아니라
당시 조선 선비들의 그림들과, 사임당의 글,
사임당의 자녀들에 대한 이야기까지 담겨있는 책.
허난설헌에 대한 이야기와,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이야기,
사임당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곳까지 살펴볼 수 있다.
아들넷, 딸 셋의 엄마로, 아내로
이렇게 자신의 존재를 분명히 드러냈던 사임당.
그녀의 그림을 보며, 또 그 시대를 대표하는 그림을 보고
감상하고 또 아이랑 함께 활동해보기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