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주의 방 & 왕자의 성 : 벌레가 나타났어요 ㅣ 공주의 방 & 왕자의 성
이도윤 지음, 이준선 그림 / 도도원 / 2016년 12월
평점 :
공주의 방 & 왕자의 성 # 벌레가 나타났어요
이도윤 글, 이준선 그림
도도원

공주의 방 & 왕자의 성,
그리고 부제가 '벌레가 나타났어요?'
제목을 보고 쉽게 짐작이 가지 않았던 터라 더 호기심이 생긴 그림책.

거기에다
추천사를 써주신 분이 소설가 이외수 선생님.
어린이들의 건강한 꿈과 행복한 미래를 위해 이 책을 강추하신다고 써있었다.
시인 최돈선님은 글 작가님의 글이 마음이 따뜻해지고 행복해지는 글이라 쓰셨다.
아이들이 꿈꾸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은 글이라 하시는데
어떤이야기일까?
아이들과 함께 책을 펼쳐 보았다.

정갈한 먹선으로 그린 그림이
한 가족의 아침을 사랑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출근준비를 끝낸 아빠가 딸아이에게 건네는 인사.
아이는 잠자는 척하며 아빠가 머리를 쓰다듬고 이마에 뽀뽀하는 것을 행복하게 누리고 있다.

행복해하던 아이의 표정이 일그러져있다.
그건 바로 '벌레'때문!
바스락 거리며 다가오는 벌레의 기척을 느낀 아이는
'주사, 파, 콩, 시금치 같은 하루'라고 이야기하면서 달콤한 침대에서 눈을 뜬다.
자신보다 '벌레'를 더 좋아하는 엄마도 떠올리면서
공주인형과 드레스가 들어있는 '공주의 방문'을 열어
벌레가 눈치채지 못하게 다리를 묶었다.
'내'가 소중하게 여기는 '공주의 성'과 왕자님이 나오는 그림책을 지키기 위해서!
게다가 벌레가 싫은 또 하나의 이유.
내 코를 물었기 때문!!

밥을 먹다 까무룩 잠이 든 아이는
그림책 속에서 본 왕자님이 살고 있는 성을 본다.
그런데 그만 괴물이 살고있는 무서운 성에 갇히고 만다.

왕자님이 나를 구해주고
나의 이마에 뽀뽀하고 머리를 천천히 쓰다듬었다.
아빠가 아침 인사하는 것과는 순서가 바뀌었지만, 그래도 행복했는데...
글쎄 그 괴물이 다시 찾아와
내 코를 무는게 아닌가!
잠에서 깨어서
엉엉우는 '나'를 달래는 엄마..
다시 꿈속에서
엄마가 그 '벌레'를 혼내는 장면을 본다.
그 모습을 보면서 혼나는 그 '벌레'가 불쌍해보이기도 하는데..
...
그 '벌레'가 누구인지,
눈치채셨나요?
^ㅡ^
*
모든것이 내 차지였고
공주처럼 모두가 나만 바라보던 아이에게
동생이 태어나고, 자기가 받았던 사랑을 나눠야한다는것은
엄청난 충격일거다.
내가 좋아하던 장난감을 부수고 책을 가져가고
그런데 엄마는 동생보다 나만 혼내는것 같고...
책에서는
엄마나 아빠가 '네가 누나니까 동생에게 잘해줘야지!'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대신
엄마는 아이를 꼭 안아주고 '괜찮아'라고 해주고
아빠는 아이가 그리는 왕자님과 똑같지는 않지만, 왕자님처럼 머리를 쓰다듬어 주고 뽀뽀해 준다.
아이가 동생을 '내동생'이라고 자연스레 받아들이도록 말이다.

우리집 '공주'로 태어난 아이가
책 속에서나 상상속에서 만나게 된
사랑하는 아빠와 닮았지만 다른 '왕자'를 그리며
환경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 가운데 성장하는 모습을
아름답게 그려낸 그림책.
여기서 잠깐!
책을 더 재미있게 보는 법을 소개하자면~
하나>
그림작가인 이준선 작가는, 그림을 그리면서 이전에 그렸던 그림책들을 책 속에 숨겨놓았다.
[마법사가 된 토끼]와 [팥죽호랑이와 일곱녀석]
(마침 우리집에 있는 두권의 그림책이라 아이들이랑 그 책들도 꺼내서 함께 보았다~!)
이 두 책과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이 그림책에서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둘>
이 책은 1인출판사로 처음 책을 낸 작가님의 그림책이다.
그것도 내가 사는 곳 지척에 작가님이 사신다 >.<
이 책은 하나의 이야기로 끝나는 이야기가 아니라,
연작을 염두해 두고 쓰신 이야기이다.
다음 이야기는
그림책속에 들어가는 방법을 알게된 공주님과 왕자님의 성을 빼앗으려는 악당.
이번에는 공주님이 위험에 빠진 왕자님을 구하게 되는 이야기라는데~
다음에 나올 책도 기다리면서 미리 상상하며 기다린다면 더 좋겠지?!
아이가 꿈꾸고 성장하는 모습을 예쁘게 담은 그림책.
다음이야기도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