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래동 천 원 공부방 - 정의와 실천 ㅣ 인성학교 마음교과서 5
강효미 지음, 손지희 그림 / 상상의집 / 2017년 3월
평점 :
인성학교 마음교과서5 정의와 실천 :: 고래동 천원 공부방
강효미 글, 손지희 그림
상상의 집
표지 그림도, 제목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재미있는 글을 쓰시는 강효미 작가님과 지옥탕 그림책으로 만났던 손지희 작가님의 그림이라는 말에
다시금 책을 보고싶은 마음이 생긴다.
고래동? 천원으로 공부방에 갈 수 있나??
고래초 4학년 남자아이 이차노.
고래동에 산다.
지형의 모습이 고래의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동네이름이 고래동이다.
고래 머리부분에 위치한 윗마을 동네이름이 머리말, 꼬리부분에 자리잡은 아랫마을은 꼬리말이라고 부른다.
그 가운데에 고래초등학교가 있고 말이다.
윗마을 머리말에는 넓은 평수의 아파트, 부자들이 산다.
아랫마을 꼬리말은 미로처럼 얽힌 골목들이 즐비하고.
차노는 아랫마을 꼬리말에 산다.
어른들은 어떨지 모르지만, 아이들은 머리말 꼬리말 상관없이 잘 어울려놀았다.
차노와 머리말에 사는 한이랑이도 짝꿍이면서 친한 친구였다.
머리말에 사는 아이들은 보통 개인과외에 학원도 두세개씩 다닌다.
그것이 공부 잘하는 절대기준은 아니겠지만, 쪽지시험을 보면 머리말에 사는 아이들의 평균점수가 더 높게나왔다.
천원 공부방이 생기기 전 까지는!
하루에 천 원!
예습은 없고, 그날 학교에서 배운것을 이야기해야하는 독특한 공부방.
초등학교에서 40년간 근무하시고 정년퇴임한 할쌤 (=할아버지 선생님)을 만나고
아이들의 실력은 일취월장한다. 머리말 엄마들이 할쌤을 모시고가고 싶어 할 만큼!
하지만, 할쌤은 꼬리말 공부방을 고집하신다.
머리말아이들이 아닌 꼬리말 아이들만 오도록!
가진사람이 더 한다고 했던가.
누군가가 천원 공부방을 불법이라고 고발하고, 건물주인인 머리말사람은 장소를 빌려주지 않는다.
이렇게 고래동 주민의 갈등이 커갈때,
이들을 하나로 뭉치는 일이 일어난다.
바로, 고래동 '특수학교'설립 건에 대한 것이다.
집값이 떨어지는것 등을 우려한 어른들이 이것을 반대하고 일어선것.
그런데, 그것이 정말 정당한 것인가?
투표권이 없는 아이들이지만
모두가 공부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천원 공부방을 통해 경험한 아이들은
특수학교에 대해서도 같은 생각을 가진다.
그리고, 행동으로 옮긴다.
어른들이 반대시위를 하는 그곳에서
특수학교 건립 찬성팻말을 만들어 서 있는 것.
자신에게 유리할 때만 '공부할 권리'를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입장에서도 동일하게 생각하는 것.
무엇이 옳은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옳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보여주는 이야기.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두꺼운 책 한권, 계속되는 논쟁과 강의를 할 만큼 방대한 이야기이지만
아이들의 입장에서 지금 이곳에서의 '정의'와 '실천'을 생각하게 하는 이야기
[고래동 천원 공부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