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커다란 알 아기그림책 보물창고 7
몰리 칵스 글.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표지에 있는  닭은 아주 커다란, 자기 몸짓만한 알을 안고  있어요.
과연 그 알은 누구의 알일까요?
닭은 왜 알을 안고 있을까요? 

암탉이 알을 낳아 알들을 품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난히 큰 알이 있네요.

’이건 내 알이 아니야.!"
아무리 생각해도 암탉은 유난히 큰 알이 자신의 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암탉은 고양이를 찾아갑니다.
"고양이야, 네 알이니?" 
당연히 강아지의 알이 아니였습니다.

이번엔 개를 찾아갑니다.
"개야, 네 알이니?"
개는 자기가 낳은 강아지들과 함께 있으니 개의 알도 아니였습니다.

이번엔 돼지를 찾아갑니다.
"돼지야, 네 알이니?"
흙탕물 속에서 새끼 돼지들과 놀던 돼지는 아니라고 대답합니다.
소를 찾아가도 염소를 찾아가도 모두 아니라고 합니다.

그런데 드디어 알의 주인을 찾았습니다.
여우가 자신의 알이라며 큰 알을 가져갑니다.

잠시 후 알에 금이 가더니  "삐약!" 하며 병아리들이 태어납니다. 
큰 알에도 금이 가며 "꿱!" 하며 큰 병아리가 태어납니다.
병아리들 앞에 입맛을 다시며 있는 여우들을 발견한 암탉은 병아리들을 데리고 도망칩니다. 작은 병아리와 큰 병아리(?)와 함께...

우리만 아는 비밀이다. 아니 암탉만 모르는 사실..큰 병아리는 병아리가 아니다. 
하지만 암탉에게는 큰 알에서 태어난 큰 병아리인 것이다.
짧은 이야기이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 

만약 사람이라면...자신이 낳지 않은 자식을 진심으로 품어 줄 수 있을까?
이제 글자를 알고 책을 읽어가는 꼬마들이 암탉의 따뜻함을 배웠으면 좋겠다.
아마도 그 따뜻함이 전해질거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 하나뿐인 우리 집 저학년 창작 도서관
정영애 지음, 강화경 그림 / 예림당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도 난 중학교 때의 충격(?)을 잊을 수가 없다. 중학교 때 우연히 친구의 집에 놀러갔다.  친구의 집은 전직 대통령이 사셨던 동네였다. 우리 집과 가까운 곳에 있었지만 친구가 사는 곳은 일명 부촌이고 우리 동네는 평범한 곳이였다. 대문 앞에 섰을때 나도 모르게 입이 딱 벌어졌다. 그 모습을 친구에게 들킬까봐 이내 다물고 대문 안으로 들어갔다. TV에서나 볼 수 있는 잔디가 있는 마당이 넓은 집. 대문에서 현관까지 가는 거리가 왜 이렇게 멀게만 느껴지던지..집에는 엄마만 계시는 것이 아니라 도우미 아주머니가 계시고 거실이 우리 집보다 더 넓은 듯 했다. 멋진 계단을 올라 2층 친구의 방으로 가는데  그 곳은 모두 꿈속의 집이였다. 참으로 오래된 일인데도 난 그 때의 알 수 없는 충격은 아직도 기억한다.

책 속의 경모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도 내가 친구의 집에서 느꼈던 그 감정 때문이 아니였을까? 열심히 돈을 모아 처음으로 집을 장만하신 경모의 부모님. 경모도 처음엔 그 집이 아주 마음에 들었다. 작지만 마당이 있고 집 앞에는 놀이터가 있으니...하지만 동주의 집을 다녀온 뒤로는 모든게 불만이다. 방이 너무 작아 불만이고 작은 책상 때문에 숙제도 제대로 할 수 없다.

책상이 동주처럼 넓었으면 빨리 했을거예요. 책상이 좁으니까 팔을 잘 움직일 수 없잖아요. 우리도 이집 말고 동주네처럼 큰 집 샀으면 얼마나 좋아요. - 본문 83쪽

경모는 그렇게 넓은 집에 사는 동주가 부러운데 동주는 그 큰 집이 불만이란다. 동주는 큰 방과 멋진 큰 침대를 놔두고 너무도 작은 공간인 비밀창고에서 지내는 것을 좋아한다. 두 친구는 자신이 가진 행복의 소중함을 모르고 서로의 집에서 행복을 찾으려한다.

우리들은 지금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을 하고 있을까? 누구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보다는 큰 것을 새로운 것을 남의 것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크고 멋진 집을 원하는 경모. 하지만 집 안의 행복을 처음엔 알지 못했다. 작은 행복의 소중함을 모른다면 아무리 크고 좋은 집이라도 우리는 결코 행복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집은 아마 세상에 하나밖에 없을 거예요." -본문 1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도 넌 보물이야 청개구리 문고 11
김옥애 지음 / 청개구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가끔 바다에서 유물을 발견했다는 뉴스를 접할 때가 있다. 이 책은 충청남도 태안군 대섬 앞바다에서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청자’라는 소재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미산마을로 오게 된 승수의 가족. 일자리를 잃고 도공이 되고 싶은 아빠는 미산을 선택했다.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힘든 상황에서도 아빠는 엄마가 ’그거’라 부르는 것을 팔지 않는다. 우연히 벽장 안에서 ’손대지 말  것’이라고 쓰여진 상자를 발견한다. 상자 안에는 파랗게 갠 하늘처럼 맑은 뚜껑없는 그릇이 들어있다. 달래가 부르는 소리에 감짝 놀란 승수는 그릇을 깨고 만다. 아무도 몰래 상자 안에 깨어진 그릇을 다시 넣어두는데...

너무 힘든 상황들 때문에 부모님은 그릇을 팔려한다. 어느 날 찾아온 낯선 손님들은 그 그릇이 향로이며 4억정도의 값어치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깨어진 그릇은 사금파리에 불과하다. 자신 때문에 깨어진 그릇을 팔 수 없게 된 부모님. 부모님은 그 그릇이 이사오면서 깨졌다고 생각하신다. 승수는 이런 무거운 마음을 언제쯤 내려놓을 수 있을까?

마주 볼 때는 앞에서 친한 척하고 돌아서면 흉보는 사람들 있잖습니까. 그래서 평소에 사람들에게 원망을 사고, 욕을 먹고 사는 사람이 부탁한 그릇은 이상하게도 가마 안에서부터 망가져버려 꼭 실패하고 말거든요. 사기 그릇이 사람 마음을 알고 있는 것처럼...- 본문 100쪽

정직하지 않으면 마음의 감옥에서 힘들게 살아가게 돼. 비록 ’청자 상감 팔괘 향로’가 깨진 사금파리가 됐지만 그래도 그것은 고려 시대의 흔적을 담고 있는 귀한 보물이야. - 본문 167쪽

고려의 청자를 이야기하며 지금은 갈 수 없는 개성을 가는 꿈을 꾸기도 한다. ’청자’라는 소재로 우리의 옛 모습을 그려보는 것뿐 아니라 미래의 모습도 상상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드님,진지 드세요 - 반말왕자님 좋은책어린이 창작동화 (저학년문고) 24
강민경 지음, 이영림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은 학교에서 오자마자 이야기한다.  "할머니, 배고파."
어쩌다 외출하시는 할머니께 "할머니, 어디 가는데?" 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

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이 떠올라 조금은 부끄러웠다. 아이들은 친근감의 표현이라 생각하며 할머니께 존댓말을 하지 않는다. 가끔 할머니가 기분이 안좋으시거나 분위기가 심상치 않을때를 빼고는^^ 어릴때부터 함께 지내다보니 어느샌가 아이들은 할머니께 존댓말을 쓰지 않게 되었다.

최범수.  이 친구도 부모님과 할머니에게 도통 존댓말이라고는 하지 않는 아이다.

"우리 장손 범수가 마음만큼 말도 예쁘게 하면 좋으련만! 마음은 토끼같이 여리고 귀여운 것이 어찌 말은 호랑이같이 사납게 하는가 몰러!" - 본문 6쪽

어른들의 말꼬리를 잘라 먹는 범수의 버릇을 고치기 위해 엄마와 할머니는 범수에게 존댓말을 하게 된다.
"아드님, 학교 다녀오시느라 힘드셨지요?"
"손자님! 가방은 제가 정리할게요."

범수는 처음엔 왕자가 된 것처럼 기분이 좋았다. 하지만 주위의 시선과 자신이 좋아하는 민지에게 창피한 모습을 보이고는 어른들께 존댓말을 하게 되는데..어떠한 경우에도 반말을 하지 않겠다고 엄마와 약속하였기에 친구들에게도 존댓말을 하는 우스운 상황까지 벌어진다.

높임말이란 자기보다 윗사람에게 해야 하는 것이지,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쓰는말은 아니란다.(중략) 대신 말에도 온도가 있으니까 친구 사이에도 따뜻한 말을 해야겠지. - 본문 63쪽

가까이 있는 우리 아이들부터 공손하게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이를 위한 동화이지만 어른인 내가 반성을 더 많이 하게 되는 책이다. 아이들에게 바른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는 생각과 할머니께 존댓말을 하지 않아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았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학수학 별거 아니야 - 초등수학 vs 중등수학 중학수학 별거 아니야 시리즈
강미선 지음, 문진록 그림 / 동아엠앤비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에 아이와 함께 작가님의 강연회를 먼저 들었다. 그래서일까? 책의 내용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강연회 내용을 정리하면....

* 중학 수학 별거 아니다.

  초등학교 때보다 기호와 공식이 조금 는다.
  초등학교 때보다 계산이 조금 더 복잡하다.
  초등학교 때보다  그래프가 좀 더 많이 나온다.

* 중학 수학 쉽게 잘하는 방법!

  이미 알고 있는 내용과 연결해서 이해한다.
  단원의 핵심을 한 마디로 정리한다.
  문제를 많이 풀어서 문제에 익숙해진다.
  안배웠다고 미리 두려워하지 말자!

아이들에게 제일 어려운 과목이 수학일 것이다. 중, 고등학교에 가서도 수학 때문에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다. 오랜 시간 투자하면서도 실력을 키우는 것도 힘들고 과목에 대한 두려움도 쉽게 떨쳐 버리지 못하고 있다. 무엇이 이렇게 아이들에게 수학을 싫어하고 어려운 과목으로 만든 것일까?

이 책을 보면 수학을 그리 두렵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해의 정도차이뿐. 초등학교 때의 문장 형식의 문제를 기호나 수식으로 나타낼 뿐이다. 미리 수식들을 보고 겁먹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초등학교때 기초 개념을 확실히 다져둔다면 중, 고등학교의 수학을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다.

초등학교 때 분류하기의 개념을 확실히 이해한다면 집합의 개념을 쉽게 받아들일 수있고 식 만들기를 이해한다면 방정식(일차방정식,고차방정식)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중, 고등학교의 수학은 초등학교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우리가 쉽다고 무심코 지나치는 초등 수학의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두려움을 버린다면 중학 아니 고등 수학도 별거 아닐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