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곱, 최소한의 자존심 마음이 자라는 나무 12
정연철 지음 / 푸른숲주니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았지만 돌아보면 힘들지 않은 시간들이 없었다는 생각이 든다. 학창시절에는 진로 때문에, 어른이 되어서는 내가 잘 살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고 이제 반 정도 남은 인생을 어떻게 보내야힐지 고민이다. 이렇듯 늘 고민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부정적인 의미의 고민이 아니라 좀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내일을 위해 하루하루 고민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힘겨운 학창시절을 보냈음에도 나이가 들어 잊어 버린 것인지 아니면 아이들이 의미없는 시간을 보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서인지 잔소리를 하게 된다. 관심의 목소리로 말한다고 생각하지만 아이들은 잔소리로 받아들이는 일이 많다. 이처럼 말 한마디에도 서로의 생각이 달라진 관계에 놓인 어른이 되었다.

 

 

청소년기의 아이들이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청소년문학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 시간을 보냈기에 아이들에게 조언을 해줄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어쩌면 무슨 말을 해주려는 것부터 잘못된 출발인지도 모르겠다. 같은 나이를 보냈다고 하여 모두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책속에서 만나는 친구들을 보면서 질풍노도기를 지나고 있다며 방관할수만은 없다. 공부 외에 다른 걱정은 없을것 같은 아이들이라 생각하지만 공부 외에도 다른 문제들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열일곱, 최소한의 자존심>에는 표제작을 포함하여 다섯 편의 이야기를 만날수 있다. 표지의 그림만으로도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이야기이다. 교복을 입고 학교나 학원 책상에서 공부를 하고 있을것만 같은 아이들에게는 어떤 일들이 펼쳐지고 있는 것일까. 입시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 앞에서 각자가 가진 문제들은 무엇일까. 어쩌면 입시라는 문제로 다른 고민이나 문제들을 못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책속에서 만나는 주인공들은 공부와와는 거리가 멀다. 그런 아이들은 자칫 문제아로 보일수도 있다. 공부를 포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으려는 아이들이다. 남들과는 다른 길을 찾으려고 한다. 공부라는 틀에 아이들을 가두고 바라보면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도태되고 꿈이 없다라고 간주한다. 하지만 누구보다 매력적인 친구들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우리 삶에 문제의 답은 하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아이들에게는 하나의 답을 요구하는 일이 많다. 공부를 잘하고 좋은 대학에 진학을 하고 좋은 직장을 다니기 바라는 것은 바람이기 이전에 욕심이지 않을까. 이제 꿈을 찾으려는 아이들에게 모두 같은 꿈을 꾸게 할 수 는 없다. 아직 꿈이 없다고 비난할수도 없다. 그들이 가진 문제들은 지나가는 바람이라며 가만히 보고 있을만도 없는 것이다. 안개속에서 있는 시기가 아닐까. 앞도 제대로 보이지 않는 곳에 서있는 아이들에이 손을 내밀면 함께 마음으로 걸어가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스범스 호러특급 4 - 난쟁이 도깨비의 복수 구스범스 호러특급 4
R. L. 스타인 지음, 김선희 옮김, 최은선 그림 / 고릴라박스(비룡소)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올해 초 개봉하자마자 본 영화는 <구스범스>이다. 책으로 만난 이야기들이 영화속에서는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했다.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그럼에도 책을 보는 것이 더 좋은 것은 영화에서 미처 표현하지 못한 것을 책에서는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구스범스 호러특급> 시리즈의 모든 이야기들을 영화에서는 볼수 없지만 책에서는 만날수 있고 아이들만의 상상으로 또다른 이야기도 만들어낼 수 있다.

 

 

네 번째로 만나는 이야기는 <난쟁이 도깨비의 복수>이다. 난쟁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들이다. 그들에게서는 절대 악한 모습을 발견할수 없다. 그런 우리들에게 다른 느낌의 난쟁이들이 나타난다. 표지에 보이는 모습도 친근하지는 않다. 호러 특급이라는 제목 때문인지 이 난쟁이들이 무섭게 느껴진다.

 

우리들은 아이들이 어른들의 말을 잘 듣기를 바란다. 책 속에 등장하는 열두살 제이도 말 잘 듣는 착한 아이가 되길 바란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는 짜릿한 모험을 꿈꾼다. 아이들은 이런 생각을 누구나 하지 않을까. 하지만 어른들이 그런 모습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모험을 할수 없는 현실을 만든다. 늘 호기심을 갖고 모험을 즐기라 말하지만 실제로 우리들이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건너 편 집에 살고 있는 맥클라치 아저씨의 집에 가 장난을 치려다 아빠에게 혼이 나고 저녁을 먹고 닷새 동안 방에서 꼼짝마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다고 집에만 있을 제이가 아니다. 맥클라치 아저씨네 집 근처에서 본 난쟁이 도깨비들. 그때만해도 신경을 쓰지 않고 작은 인형에 불과한 것이라 생각했다. 난쟁이 도깨비들로 인해 앞으로 어떤 일이 펼쳐질지 제이는 상상도 못할 것이다.

 

귀여운 난쟁이 캐릭터가 밤에는 다른 얼굴로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평소 선한 이미지를 가지고있기에 우리들은 더 무서워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착한 사람들이 돌변하는 것이 더 무섭듯이 말이다. 무서운 이야기이지만 무섭다는 생각보다는 제이가 펼치는 모험을 보며 아이들도 함께 그 모험에 동참한다. 

 

상상이 만들어낸 멋진 이야기이다. 한 사람의 상상으로 만들어진 이야기가 많은 어린이들이 흥미진진한 모험을 할수 있게 만들어준다. 각 시리즈마다 만나는 캐릭터들과 삽화들이 흥미를 더한다. 공포는 마주하기 싫은 장르임에도 끝까지 보게 하는 힘이 무엇일까. 무섭지만 모험이라는 이름아래 아이들은 앞으로 펼쳐질 이야기들이 궁금한 것이다. 이야기 마지막에는 난쟁이 도깨비에게서 살아남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고나면 밤에 집 밖에 나가는 것이 두렵겠지만 서바이벌 가이드를 보면 난장이 도깨비들을 만나도 무섭지않게 대처할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피가 속상하면 너무너무 속상하면]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소피가 속상하면, 너무너무 속상하면 - 소피의 감정 수업 2 작은 곰자리 29
몰리 뱅 글.그림, 박수현 옮김 / 책읽는곰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이 되면서 자신의 감정을 숨기는 일이 많다. 절제하는 부분도 있지만 솔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에 비해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다. 그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어른의 눈으로 바라보니 그런 일이 생기는 것이 아닐까. 아이들이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제목때문만은 아니다. 표지속 소피를 보면 정말 속상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소피는 무엇때문에 이렇게 속상한 표정을 하고 있을까.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소피는 숲도 좋아한다. 선생님이 내일 그릴 나무를 미리 살펴보라고 말씀하신다. 가장 좋아하는 나무의 줄기, 가지, 이파리 등을 찬찬히 살펴보라는 말씀에 집 가까운 곳에 있는 너도밤나무를 찾아간다. 화가 나거나 슬플때 나무에 오르면 기분이 풀린다는 소피. 아이들에게도 이렇게 친구같은 나무가 있을까. 아이들 뿐만아니라 우리들은 바쁘게 살아가느라 주변에 있는 나무를 살펴볼 여유를 갖지 못한다. 어쩌면 나무를 들여다볼만큼의 마음의 여유가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좋아하는 너도밤나무를 그리는 시간이 행복하다. 소피는 기쁜 마음을 자신만의 색으로 표현한다. 초록색과 갈색이 아닌 자신이 느끼는 감정 그대로 색칠을 하는 소피. 우리들은 갈색으로 줄기를 칠하고 초록색으로 이파리를 칠한다. 그것을 다른 색으로 칠하면 이상하게 바라보지 않을까. 나무 줄기를 파란색으로 칠하는 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틀렸다고 말한다. 친구들의 말에 눈물을 흘리는 소피. 행복한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색칠한 그림을 친구들이 틀렸다고 말하니 슬프고 속상하다. 이런 소피에게 구세주처럼 나타난 사람은 멀리 선생님이다.

 

소피의 마음을 헤아리는 멀리 선생님을 보면서 우리들은 왜 선생님같은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지 못할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이들의 감정 그대로를 인정해주고 서로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힘이 있는 선생님이다. 아이들은 다른 친구들의 그림을 보면서 그들의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우리들에게도 메시지를 주고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마다의 특별함을 인정해주고 하나의 모습으로 만들어가지 않으려한다. 어쩌면 아이들의 감정을 이해하기 보다는 틀 안에 가두고 같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이 더 많은 생각을 하게되는 책이다.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아이들을 이해하게 된다.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르다는 것을 알아가게 되는 것이다. 다른 친구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다.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 못했을때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게 되지만 서로를 이해하는 순간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지면 이해하는 마음을 키워나간다.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지개떡 괴물 단비어린이 그림책 18
강정연 글, 한상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 때문에 동화를 자주 접하게 된다. 한두편 읽다보면 유독 눈에 띄는 작품이나 작가를 만나게 된다. 그 중 한 사람이 강정연 작가이다. <건방진 도도군>을 통해 알게 된 작가의 작품들을 거의 만났었다. 대부분 동화로 만났는데 이번에는 그림책으로 작가의 작품을 만난다. 더욱 마음에 들었던 것은 그림은 한상언 작가가 그렸다는 것이다. 좋아하는 두 작가의 만남이라 정말 반가운 마음으로 만난 책이다.

 

 

요즘 아이들은 떡보다는 빵을 더 좋아할지도 모른다. 간식을 먹을때도 떡보다는 빵을 먼저 주게 된다. 다양한 종류의 떡이 있음에도 점점 그 맛을 잃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 책을 보면서 아이들이 무지개떡을 알고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백설기는 종종 맛보게 되는데 요즘 무지개떡은 시장에서도 그리 자주 보이지 않는다. 알록달록 예쁜색의 무지개떡 맛을 알고 있다면 이 책을 더 재미있게 읽을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아니면 아이들과 함께 이 책을 읽고나서 시장에 가 무지개떡을 사서 먹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표지를 보면 무지개떡을 들고 있는 괴물이 보인다. 무섭게 보이는 괴물이다. 하지만 네 명의 꼬마 친구들은 전혀 무서워하지 않는다. 도망가는 것이 아니라 만져보려 하는 모습을 보며 호기심이 많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꼬마 친구들과 무지개떡 괴물 사이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까.

 

호기심 많은 네 꼬마 형제들이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 세상 모든 것이 신기하고 궁금한 것이 많은 친구들이다. 이런 꼬마 형제들이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말을 그냥 지나칠리 없다. 강 건너 큰 집에 사는 괴물이 사람은 절대 해치지 않고 무지개떡만 먹는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네 꼬마 형제들은 무지개떡 괴물을 구경하기위해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 이 친구들에게는 정말 즐거운 시간이다. 괴물이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고 괴물을 만난다는 생각에 콧노래가 절로 나온다. 책을 읽는 아이들도 리듬에 맞춰 무지개떡 괴물을 구경간다면 흥얼거리게 만든다.

 

"구경 가세, 구경 가세~ 무지개떡 괴물 구경 가세~" - 본문 중에서

 

 

익살스러운 네 꼬마 형제들의 표정이 귀엽다. 호기심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야기의 재미를 더하는 것은 표정이 살아있는 이 친구들 때문이다. 앞으로 펼쳐지는 일들에서의 꼬마 친구들 표정이 변하는 것을 만나는 것도 이 책을 읽는 또 하나의 재미이다.

 

사람은 절대 해치지 않는다는 사람들의 말이 맞는 것일까. 마지막에 무지개떡 괴물이 먹은 무지개떡의 비밀은 무엇일까^^ 아이들의 입가에 웃음이 떠나지 않는 책이다. 책을 읽고나서 무엇을 느꼈느냐보다는 읽으면서 행복해하는 모습만으로도 좋지않을까. 이야기가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떠나 아이들이 유쾌하고 즐겁게 시간을 보낸 책이라는 것으로 만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랑이 심장 단비어린이 그림책 17
조대현 글.그림 / 단비어린이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동화속에서 많이 만나는 동물은 호랑이일 것이다. 호랑이는 동물들의 왕이고 조금은 무섭게 다가온다. 익살스럽게 표현한 책들도 있지만 아이들에게는 무섭고 대부분 왕의 자리에서 다른 동물들을 위협하거나 그들에게 복종을 원하는 일들이 많다. 그런 호랑이가 다른 모습으로 다가오면 아이들은 닟설게 생각하지 않고 친근하게 받아들인다. 어쩌면 겉모습만 보고 호링이를 판단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책 속에 나오는 호랑이를 통해 우리들이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표지에 보이는 호랑이는 슬퍼보인다. 호랑이가 보이지만 그림자는 사슴의 모습이다. 호랑이의 그림자가 사슴의 모습을 하고 있으니 궁금하다. 눈을 보니 슬퍼보인다. 동물들의 왕처럼 위엄이 있어 보이는 것이 아니라 어딘지 모르게 애처로워 보여 토닥여주고 싶은 호링이다.

 

깊은 숲 속에 사는 호랑이는 지혜로워서 다른 동물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다른 동물들의 목숨을 위협하며 살아가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다른 동물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인자한 표정을 하고있는 호랑이를 만날수 있다. 그런 호랑이에게 일이 생긴다. 가슴이 조여드는 듯한 느낌을 받고 부엉이를 찾아간다. 진료를 한 부엉이는 호랑이에게 심장에 문제가 생겼다며 빨리 이식을 받아야한다고 말한다. 이식할 수 있는 호랑이 심장은 단 하나뿐이다. 호랑이 왕을 키워준 스승 촌장 호랑이가 이미 예약을 해놓은 상태라 호랑이에게는 기회가 없다.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한 가지 뿐이다. 하지만 호랑이의 자존심이 때문에 쉽게 결정하지 못한다. 심장을 이식받아야만 살아남을수 있다고 하지만 호랑이의 심장이 아닌 사슴의 심장을 이식받아야 하는 것을 쉽게 받아들일수 없다.

 

호랑이가 사슴의 심장을 이식받았다고 해서 호랑이가 아닌 것은 아니지만 호랑이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힘들다. 놀라는 일도 많고 토끼를 괴롭히는 멧돼지를 보며 화를 낸다. 이제는 약자고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다. 이전과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견디기 힘든 호랑이. 호랑이가 가졌던 용맹스러움이 사라진것 같아 이제는 자신의 모습을 잃었다고 생각한다. 겉모습은 호랑이지만 사슴의 심장을 가진 자신이 이제는 호랑이가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이런 호랑이가 마지막으로 선택하게 되는 것은 무엇일까.

 

이전과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이기 힘들고 이제는 호랑이라는 것마저 부정한다. 동물들이 호랑이를 존경한 것은 단순히 겉모습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을 알지 못했던 호랑이. 이처럼 우리들은 무언가 잃게 되면 실의에 빠지고 심지어 살아갈 힘조차 잃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 오히려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호랑이도 예번에 미처 느끼지 못한 것을 알게 되고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보게 된다. 어떠한 모습을 하던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보면서 우리들도 진정한 나의 모습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