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에서 일어서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jpg

얼마전 주제 사라마구의 유명한 장편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를 읽고 그의 또다른 작품을 읽을 기회가 생겼다. 작품을 읽을 때 작품이 지어진 연대를 살피게 된다. 인생을 살면서 사람의 가치관이 변하고 습관이 자연스럽게 변해가듯 작품 역시 초기작품과 후기 작품 등 그 사람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많이 변하기 때문이다. 미술작품 역시 그러하고 모든 예술가들에게는 삶이 담기기 때문에 작품에 영향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어떤 이들은 소설을 쓰면 상상을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개인적으로 그것 못지 않게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간접 경험이 되든 직접 경험이 되든 경험하지 못한 자에게는 상상력에도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보통은 자신이 경험하고 생각한 것을 글로 표현하기 때문에 오로지 뜬구름 잡듯이 갑작스럽게 공상속에서 불쑥 탄생하는 작품은 그리 흔하지 않을 것 같다.

 

 

2.jpg

주제 사라마구의 작품을 읽으면서는 상상보다는 그가 살고 있는 사회의 현실을 생각하게 된다. 처음으로 읽었던 주제 사라마구의 <눈 먼 자들의 도시>는 정말 충격적이었다. 모든 사람이 눈이 멀게 되는 도시 그 가운데 한 사람만이 볼 수 있을 때 벌어지는 상황을 적나나하게 접하면서 인간 내면의 다양성과 현실을 묘하게 풍자한 그의 시선에 놀라게 된다. 가장 유명한 <눈 먼 자들의 도시>1995년 작품이고 <바닥에서 일어서서>는 1980년 그의 나이 58세의 작품이다. 오랜동안 공산당 활동에만 전념하다가 늦은 나이에 소설을 쓰기 시작한 주제 사라마구에게 인생의 경험이 얼마나 많았을까 생각해본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용접공을 시작하면서 사회에서 받았을 수많은 차별과 빈부의 격차를 몸으로 느꼈을 것이다. 그의 초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바닥에서 일어서서>는 그가 199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언급한 그의 할아버지에서 뿌리를 찾고 있다. 가난한 농부의 가족이 겪었던 수많은 경험을 간직한 주제 사라마구는 <바닥에서 일어서서>에 가장 자기와 가까운 이야기를 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3.jpg

포루투칼의 20세기 현대사를 담았다고 칭해지는 이 작품에는 어김없이 가진자와 그렇지 못한 자가 등장한다. 자기가 살고 있는 곳 외의 다른 나라의 역사를 알지 못해도 모든 나라에는 이러한 빈부의 격차가 존재하고 이로 인해서 고통받는 자들의 저항이 시작된다. 어떤 면에서는 나라를 불문하고 사회가 변화 발전하는 모든 단계에서 보여지는 현상인가? 혹은 인간의 욕심 때문에 돌고도는 문제인가?라는 생각을 문득 해본다.

우리나라에서 있었음직한 상황과 그리 다르지 않은 이야기가 펼쳐진다. 거대한 농토를 갖고 있는 지주와 지주의 밑에서 소작을 하면서 살아가는 노동자. 그리고 농장주인의 심복이 되어서 그의 모든 명령을 수행하는 또 다른 부류의 사람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이 세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대농장 라티품다움에서 벌어지는 마우템푸가족 3대에 걸친 이야기는 마친 우리나라의 소설 토지를 떠올리게도 되고 저항하는 이들의 모습에서는 문득 대학 초년시절에 읽었던 막심고리키의 <어머니>도 떠오른다.

 

 

4.jpg

개인적으로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을 읽으면 많이 불편해진다. <눈 먼 자들의 도시>도 그랬고 <바닥에서 일어서서>역시 그러했다. 불편함은 내가 살고 있는 안락함 너머에 이와 같이 부당하게 고통받는 이들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외면하려고 하면 내 안락한 삶 속에 숨어있을 수도 있지만 눈을 뜨고 응시하지 않으면 우리 사회에서는 너무도 감취지고 혹은 외면당하는 일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동시대를 살아도 나라마다 문화가 다르고 변화의 속도도 다르다. 어떤 나라에서는 이미 50년 전에 치뤘던 과정을 어떤 나라는 지금 거쳐가기도 한다. 주제 사라마구의 초기작품 포루투칼 역사소설 이라고 할 수 있는 <바닥에서 일어서서>를 보면서 우리역사와 겹쳐지는 부분, 그리고 시대가 달라졌어도 아직까지 남아있는 빈부의 격차와 차별, 사회의 부조리한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한 해가 가는 시점에서 나만의 세상에 갇혀 있는 나에게 조금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게 해주는 기회를 준 작품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5.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먼 자들의 도시 (100쇄 기념 에디션)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1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001.JPG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 는 이미 영화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작품이다. 영화의 여주인공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던 영화를 통해서 작가의 작품을 알게 된 사람도 있지만 영화원작소설을 만나게 되면 영화에서는 느끼지 못한 처절함을 더 생생하게 느끼지 않을까 싶다. 처음 이 작품을 만났을 때 느꼈던 충격과 공포가 세월이 지난 다음 다시 읽어도 고스란히 전해진다.

해냄에서 100쇄 기념 에디션으로 새로운 옷을 입고 나온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를 다시 한번 읽어 보았다.

 

 

002.JPG

주제 사라마구 그는 이 작품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어느날 갑자기 눈이 멀어버린 사람들, 시각장애인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암흑을 느낀다면 주제 사라마구는 그것과는 다른 백색공포를 선사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모든 것이 안개에 갇힌 듯 뿌옇다. 그러나 역시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면 우리에게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작가는 보이지 않는 공포 속에서 무정부적인 상태에서 인간이 그동안 쌓았던 문명과 사회성의 부재, 폭력성이 난무하는 지극히 동물적인 상태를 보여주고자 했다. 그가 과연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눈먼 자들의 도시>를 읽으면서 마주하게 되는 현실의 폭력성과 인간 본연의 잔인함을 마주하면서 작가는 왜 이런 세상을 그렸을까라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004.JPG

책을 읽기 전까지 많은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힘들겠지 정도만 생각했다면 작품 속에 표현된 생생하고 혐오스러운 상황에 불편함을 감당하기 힘들 수도 있다. 상상 그 이상의 가상 현실을 만나게 되니 말이다. 모든 사람이 시각을 잃어 수용된 상태에서 의사의 아내만이 유일하게 볼 수있는 사람이라는 점이 득일까 실일까? 보이지 않기 때문이 일어나는 일은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까지 간다. 무정부주의 상태라고 해야 할까? 보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결국은 힘을 가진 자가 지배하는 세상이 되고 폭력과 강간이 난무한다. 사람이 사람으로 가치를 인정 받는 것은 사회속에서 서로 존중하고 인정할 때 뿐인가?

 

005.JPG

오직 한 사람 의사의 아내만 그녀의 눈으로 모든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보지 않고 싶을 정도로 타락하고 잔인한 현실을 마주하는 그녀는 통해서 결국 독자 역시 그녀의 시선으로 인간 본연의 모습을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에 대한 문제만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극한 상황에서 폭력이 난무할 것이라는 상상은 충분히 할 수 있지만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보인다는 것과 보이지 않는다른 것을 통해서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이면을 바라보기를 원한 것 같다. 자신이 살고 있는 삶 속에서 보이는 것만을 진실이라고 믿으면서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가 보지 못하고 외면하는 고통받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기를, 인간성이 점차 사라져가는 사회의 현실을 봐주길 바랐던 것 같다. 그러한 작가의 의도는 작품 속에서 의사의 아내의 마지막 대사를 통해서 충분히 드러나고 있다.

 

 

006.JPG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생각해요. ..볼 수는 있지만 본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사회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끊임없이 이야기 하고자 하는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 내가 살고 있는 사회와 나의 관계, 사회속에서 외면하는 진실에 눈을 감은 이들을 뒤흔들기에 충분하다. 그렇기에 작품을 읽는 우리는 이 책이 주는 불편함을 외면할 수가 없는 것 같다. 얼마전에 봤던 <버드박스>라는 영화가 떠오른다. 영화 속에서도 알 수 없는 바이러스로 눈을 뜬 사람들이 이성을 상실한다는 설정이었다. 사람에게 본다는 것이 사실과 진실을 알아보는 척도가 되지만 자칫 진실을 외면할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게 하는 작품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크린 영어 리딩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스크린 영어 리딩
박민지 해설 / 길벗이지톡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회화 영어공부를 하면서 아이들에게 영어원서 읽기를 꼭 해주고 싶었어요. 큰 아이 경우는 영화를 보고 영어원서까지 읽는 걸 즐기는 편이라서 성공했구나 하고 있답니다. 공부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익히는 정도가 되면 얼마나 좋겠어요. 요즘에는 한창 불어공부를 하느라 프랑스 영화를 주로 보고 있고 이제 영어원서 읽기는 제 차지가 되었네요. 영어에 워낙 자신이 없는 저로써는 영어원서 읽기에 도전하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네요. 아이들 때문에 영화로 보고 알게 된 마블시리즈 어벤져스의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스크린 영어리딩 책으로 만나서 이번주에는 챕터 3에서 챕터4까지 읽어보았답니다. 영화를 보기는 했지만 한 번정도만 봤기 때문에 대사 하나하나를 기억하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책을 보다가 이건 무슨 말인가?싶은 것도 적지 않게 있네요. 영화로 볼 때는 전체적인 흐름만 파악하는 정도였기에 책으로 보니 문장 하나하나 읽어내려가야 하네요. 그래서 영화에서 휘리릭 흘려 들었던 내용은 처음 듣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답니다.


스크린영어리딩 이 책의 특징이라고 하면 영어원서 리딩을 하면서 내가 잘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할 때 해석본이 참 필요하다는 거죠. 이 책을 한글해석이 영문의 바로 옆 페이지에 나오기 때문에 읽으면서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좋더라구요. 그리고 또 하나 영어원서를 읽을 때는 가장 중요한게 어휘력이죠. 어떻게 나오는 단어를 다 알겠어요. 분명히 아는 단어인데 뜻이 생각나지 않는 것도  상당수 된답니다. 그럴 때는 워크북을 살펴보면 어휘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답니다. 사실 전 워크북은 거의 펴놓고 자주 보게 되네요. 그렇지만 첫페이지를 읽던 것보다는 페이지가 넘어갈 수록 익숙해지는 단어가 훨씬 많아진다는 점이 영어원서 읽기를 하면서 알게 되는 재미난 점이랍니다.


챕터3에서 집고 넘어가야 하는 문장이 워크북에 두 문장 나왔네요.

What's the word on Baron Strucker?

스크러커 남작은 어떻게 됐어?

-스트러커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캡틴 아메리카가 질문하는 장면인데 여기서 word는 단어라는 뜻이 아니라 소식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콕 집어주네요.

For the whole 'man was not meant to meddle' medly.

그 모든 '인간을 간섭하면 안 돼'하는 돌림노래 말이야.

-이 표현에서는 meddle 간섭하다 라는 뜻의 단어와 medly 여러 노래를 이어서 부르는 메들리 라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를 두 개 이어 사용했답니다. 이유인 즉 잔소리를 듣기 싫어하는 토니의 표현이라는 걸 알 수 있답니다. 이런 표현은 위트 있다고 해야 할까요? 이렇게 워크북에서 문장 표현에 대해서 조금 섬세한 설명을 들으니 문장이 더 재미있어집니다.


챕터가 끝날 때는 대부분 이런 영화의 장면이 나오는 페이지가 있는 것 같아요. 물론 나오지 않는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영화 장면 페이지가 영어원서 리딩을 할 때 쉬어가는 부분이 되는 것 같네요.


챕터4에서는 워크북에서 집어주는 문장이 5개나 되네요. 문장 체크하고 스크린영어리딩 본문에도 체크하면서 의미를 파악하면서 읽어봅니다 .워크북에 나온 단어는 단어공부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답니다. 우선 읽고 외우고 반복하는데 낮선단어는 체크하고 여러번 보기를 반복하면 훨씬 나은 거 같네요. 다음주에는 그 다음의 챕터 읽기를 도전해 봅니다. 읽을 수록 조금 더 수월하게 읽힌다는 점이 좋네요. 다음주에도 스크린영어리딩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고고~~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kAB6ewnvyI&feature=youtu.be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회화 무작정 따라하기 - 10년 넘게 실패한 영어 초보자도 100일이면 다시 태어난다! 영어 무작정 따라하기
오석태 지음 / 길벗이지톡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회화 무작정 따라하기 이번 주에는 지난 주에 이어서 행동을 유도할 때 항상 쓰는 핵심패턴의 나머지 부분을 공부해봤어요.  연말이 되면서 약속도 많아지고 이번주에는 여행도 다녀오느라 공부를 좀 게을리 했네요. 그래도 큐알코드를 이용해서 스마트폰에 예문mp3를 저장하고 저자의 음성강의를 들을 수 있으니 요즘에는 정말 공부하기 쉬워졌어요.

이번주에는 유닛 79부터 유닛 81까지 세 부분만 공부했어요. 그나마 다행이죠.연말에 시간도 없는데 범위가 작았답니다. 표현도 그리 어려운게 아니라서 늘 이 책은 여러번 방복하고 발화하는 연습을 하는데 중점을 두게 되네요.


누군가에게 일을 시켜야 한다면  그럴 때는 어떤 핵심패턴을 사용하면 될까요?

make him/her~~   그가 /그녀가 ~하도록 시켜

make가 사역동사라서 뒤에 동사원형이 온다는거 중학교 때 무척이나 배웠던 문법부분이네요.

사역동사를 사용하여 명령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make가 강제로 시킨다는 의미가 강하다고 해요.

let은 허락하다는 의미의 사역동사이고 have를 사용하면 make처럼 강제의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정도는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대화에서 흔히 have를 사역동사로 활용하는 표현이 많다고 해요.

Make him to do that. 그 일을 그가 하도록 시켜.

Let him continue. 그거 계속하도록 내버려 둬.

Have him handle it. 그가 그 일을 처리하라고 해.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면 어떤 핵심패턴을 사용할까요?

you need to~~~ 너는 꼭 ~할 필요가 있다.

need다음에 동사 원형이 나오고 선택의 여지가 없이 반드시 꼭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라고 하네요.

동사 want를 사용할 때는 need와 달리 그래도 선택의 여지가 있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바란다는 의미가 조금 더 담겨 있겠네요.

You need to learn to drive.  넌 운전을 배워야 해.

I want you to finish the job.  나는 네가 그 일을 마무리했으면 한다.


절대로 허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핵심패턴

Don't ~~ ~~하지 마.

하지말라는 것에 촛점을 둔 부탁이나 명령이에요. never을 사용하면 don't 명령보다 훨씬 강도가 강해지는 표현이라고 해요.

shouldn't를 사용하면 강력한 권유의 반대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일이라서 강하기 그러지 말라는 뜻이 된다고 하네요.

Don't do it again. 다시는 그러지 마라.

Never give up.  절대 포기하지 마라.

You shouldn't drink. 너는 술을 마시면 안 된다.



이제 딱 2주 분량만 남아있네요. 올 해 마무리 하면서 영어회화 무작정따라하기 책도 함께 마무리할 수 있을 거 같아요. 부족하지만 영어회화 조금씩 공부하면서 마무리 잘 하도록 할게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 가게에 갈까? - 헬싱키 중고 가게, 빈티지 상점, 벼룩시장에서 찾은 소비와 환경의 의미
박현선 지음 / 헤이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핀란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있다면 뭘까? 때묻지 않은 자연과 순수함 혹은 핀란드만의 독특한 디자인 이런게 떠오른다. 힐링하는 삶을 추구하고 사람들의 행복지수도 높은 곳, 핀란드. 이곳에 대해서 또 한가지 몰랐던 것을 알게 한 책이 있다.

박현선 작가의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라는 책이다. 처음에는 핀란드 사람들의 삶의 습관에 대해서 배우겠구나 했는데 책을 보면서 그보다 훨씬 깊이있는 태도를 배우게 되었다.

우선 제목에서 말하듯 핀란드 사람들은 중고가게를 찾는게 아주 익숙하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중고가게는 뭔가 장만해야 하는데 돈이 부족해서 가야하는 곳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 아름다운가게와 같은 중고재활용가게를 통해서 이미지가 많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중고물품을 쓰고자 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 그렇다면 핀란드 사람들에게 중고가게는 어떤 이미지로 다가올까?



핀란드에서 유학생활을 한 작가는 핀란드 사람들의 특별한 생활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이사를 할 때 이삿짐 센터를 부르면 커다란 박스에 싸서 쉽게 이사를 하지만 핀란드는 다르다. 이사를 하기 위해서 박스를 구하는 것부터 본인의 몫이랍니다. 편리함을 양보한 대신 핀란드에는 깨끗한 환경과 자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언제나 인간의 편리함이 환경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것인지 알면서도 우리는 쉬게 편리함을 포기하지 못한다. 그러나 핀란드 사람들에게 자신의 편리함을 버린다거나 중고가게를 찾아 제품을 재활용한다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아니 어색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왜 중고가게에 가느냐는 질문에 대해서 의아하게 생각할 정도라고 한다. 그들은 왜 중고가게에 가냐는 질문에 '우리가 어렵게 살아서요'라는 대답을 한다는데 그러한 대답은 우리에게도 그리 다를 게 없는데 삶의 태도는 참 다르다.

이 책에서는 핀란드의 역사에서 어려운 과정을 견디면서 그들이 삶을 대하는 태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엿볼 수 있다. 돈이 없어서라기 보다는 중고가게를 찾아 다시 재활용하고 환경을 보존하고 숨어있는 용품을 새롭게 찾아내는 기쁨도 찾는다. 얼마나 많은 중고가게가 있고 어떻게 그러한 가게가 만들어지고 유지가 되는지 배우게 된다. 우리가 생각하던 중고가게를 대하는 태도와 유지하는 방식이 얼마나 다른지 배우게 된다. 이 책을 결국 핀란드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환경과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배우게 되는 책이 아닌가 싶다.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이 참 많은 책이라고 생각된다. 그동안 힐링하는 방법, 핀란드 디자인에 대해서만 얼핏 알았다면 중고가게를 찾는 핀란드 사람들을 통해서 삶을 대하는 그들의 태도 , 환경을 생각하는 실천적 방법을 배우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