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만 모르고 있는 내 감정의 속사정 - 화내고 후회하는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전
미즈시마 히로코 지음, 박미정 옮김 / 생각의날개 / 2025년 6월
평점 :
서평] 나만 모르고 있는 내 감정의 속사정/ 화내고 후회하는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전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흥분하면 지는건데 라는 말은 내가 종종하는 말이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조금씩 내 감정을 다스리는 법을 터특했다고 생각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이놈의 욱하는 성격 때문에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기도 하고, 그 상황 정리를위해 온갖 고민을 하기도 한다. 화내고 후회하는 당신을위한 심리 처방전이라는 표지의 한 구절이 콱 박힌다. 꼭 나를 두고 하는 말 같아서.
일본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로 대인관계치료 전문 클리닉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미즈시마 히로코님이 [나만 모르고 있는 내 감정의 속사정]을 통해 개개인의 감정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스스로 감정 컨트롤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심리학적인 측면을 통해 전달한다.
감정은 인간에게 갖춰진 자기 방어기능이다. 감정적이라는 것은 자신의 마음을 방어하는 방식의 일종이다. 그러나 자신의 감정을 감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오히려 사태에 대해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우리는 종종 감정적인 사태에 직면한다. 이럴 경우 오히려 스스로를 힘들게 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무시나 반격의 상황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이를 어긋한 방어라고 한다. 저자는 감정적인 사람은 자존감이 낮고, 자기 감정을 인정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어떤 감정이든 스스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우리는 때로 하고 싶은 말을 참거나 애둘러 말하는 경우가 있다. 나 역시 그러하다. 그러나 저자는 [나만 모르고 있는 내 감정의 속사정]에서 하고 싶은 말을 참지 않고 말할 수 있을 때 인간관계는 성장한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어떤 것을 함께 하게될 경우 정확하게 자신의 좋고 싫음을 이야기 하지 않고 상대가 알아줄거라는 생각을 먼저 한다는 것이다. 어떤 것이 좋다 거나 나는 이러한 것들이 싫다는 정확한 전달이 중요하다. 말하지 않아도 잘 알거라는 인식을 바꿔야 한다. 어느 순간 나 역시 상대방에게 좋고 싫음에 대한 정확함을 강요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대방은 나의 기분을 알지 못한다는 전제와 상대방이 내 감정의 영역을 침범할 때 자기 감정을 소중히 여기는 것을 지적한다. 나나 상대방이 하는 말들이 상황에 따라 전혀 다른 의도로 다가갈 수 도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어떤 감정이든 그 감정에 솔직해야 한다. 특히 분노라는 감정에 있어서 그 상황에 대한 자기감정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 분노라는 감정에 대한 점검과 그 감정을 그저 참는 것이 아니라 분명하게 전달하는 것이 진짜 어른이라고 말한다.
[나만 모르고 있는 내 감정의 속사정]은 내 감정을 어떻게 다스려야 한다는 것보다는 내 감정 상태를 먼저 살피는 것, 그 감정에 솔직해 지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 감정상태를 인간관계에서 어떤 식으로 풀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도 잊지 않는다.
감정을 다스린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 각자가 가진 감정선이 따로 있다는 것이다. 스스로 감정에 솔직해 지는 것, 그것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도서내용중>
p32. 문제는 자신이 자기 나름의기준으로 주관적인평가를 하고 있다는 인식 없이 자기평가가 모두에게 적용되는 진리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p119. 자기 영역에 책임감을 갖고 자신이 느낀 감정을 제대로 전달하는 게 계속 참고 말을 안하는 것 보다 성숙한 어른의 태도다
p133. 타인이 내린 평가는 언뜻 자기 영역을 침범한 것처럼 보이지만, 어디까지나 상대방의 영역안에서 내린 평가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애초에 영역침범 자체가 일어날 수 없다는 생각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참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 참는다는 것은 피해를 당해도 모른 척 방관하는 것으로 마음속에 부정적인 에너지만 쌓일뿐이다.

p162. 책의 내용이 마음으로 납득할 수는 없지만 성공한 사람이 한 말이니 일단 새겨듣지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사이즈가맞지않는 신발을억지로 신으려는 것처럼 자신의 솔직한 기분과는아무런 접점이 없다.
p171. 공명은 영역이라는 관점으로 봐도 문제가 있다. 상대방의 기분을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상대방의 기분이 진짜 그런지는 본인 말고는 누구도 알수 없다. 상대방의 기분은 어디까지나 그사람 영역안에서의 이야기 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