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 김영민 논어 에세이
김영민 지음 / 사회평론 / 2019년 11월
평점 :
전작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를 읽으면서 김영민 님의 기지와 풍자에 탄복을 하였었다.
비록 내 부류는 아니라서 감동이 오래가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그런데 이 책은 '논어 에세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어서 택하게 되었다.
모두가 다 알지만 누구도 제대로 알기 힘든 '논어'를 가지고 어떻게 버무려내는지 궁금하였다.
읽기 시작하였을때의 긴장감을 끝부분까지 이어갈 수 있을만큼 재미있었지만,
에필로그에서 이 구절을 보는 순간,
맥이 쫌 빠지는 느낌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겠다.
1.『논어』의 주제를 소개하는 '논어 에세이'
2. 기존『논어』번역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논어 번역 비평'
3.『논어』각 구절의 의미를 자세히 탐구하는 '논어해설'(총 10권)
4. '논어 번역 비평'과 '논어 해설'에 기초하여 대안적인 논어 번역을 제시하는 '논어 새 번역'(272쪽)
나는 이 중에서 1편 논어 에세이 만을 읽었을 뿐이고.
다른건 차치하고 '논어해설'만도 총 10권에 이른다고 하니,
과연 다 읽어볼 수 있을까 싶은 마음이 들었다.
과거에 강신주가 쓴 책도 10권인가 12권을 기획했었는데, 책으로 나온 건 달랑 2권뿐이었고,
공원국의 춘추전국이야기는 11권까지인가 완간되었으나 나는 읽다가 중간에 흐지부지 되었었다.
이 책은 그중에 '논어 에세이'로 논어의 주제를 소개하고 있다고 하는데,
단순히 논어의 주제라기보다는,
저자 김영민 님이 논어를 어떤 주제와 방향으로 읽어나가고 있는지, 에 대한 맛보기 정도로 봐야 할 것 같다.
그 예로, 내가 읽었던 수많은 논어 관련 책들과는 맥락을 달리하고 있는데,
그는 이것을 자신들이 발견하고 싶은 것을 『논어』에 마음껏 투사하기때문이라고 한다.
공자를 한껏 우러를 수 있는 신의 경지에 놓는 것이 아닌,
우리와 같은 인간의 경지에 놓는다.
『논어』와 공자의 그것들을 답습할게 아니라, 콘텍스트가 담고 있는 텍스트를 읽어내라고,
그리고 텍스트를 읽음을 통해서 우리가 희망할 수 있는 것은 텍스트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 얘기한다.
그리고 삶과 세계는 텍스트라고 덧붙인다.
그동안 내가 알고 있던 '인'을 이 책에선 다르게 얘기하고 있는데,
인을 얘기하며, 공자는 결코 폭력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인한 사람은 단순히 평화를 추구하는 사람이 아니라,
필요 이상의 폭력을 행사하지 않지만, 필요하다면 전쟁마저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다.(95쪽)
이 구절만을 읽었을땐 주장이 좀 억지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요즘 고룡을 읽다보니,
그 자리에 살생을 대입시켜보니 이해가 될 듯도 하다.
암튼 이 책이 좋았던 것은,
논어를 내 인생관과 비슷하게 해석하고 있어서 였다.
그렇다. 인간은 허약하므로 무언가 부여잡고 삶을 지탱해야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혼신을 다해 사랑하고 원망할 대상을 찾는다. 죽거나, 미치거나, 타락하지 않기 위해서. 그러나 "하늘이 무엇을 말하던가?"(天何言哉.) 신이 침묵할 때 인간이 할 일은 무엇인가? 공자에 따르면, 신의 존재를 부정하려 들지도 말고, 신과 거래하려 들지도 말고, 스스로 신이 되려고 들지도 말고, 완전히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지도 말고, 신을 무시하지도 말고, 신에게 너무 가까이 다가가지도 말고, 신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간에게 허여된 일을 하다가 죽는 것이다.(147쪽)
위 상자 글 안, '공자에 따르면' 이하 글들은 天何言哉의 해석이라고 보기 어렵겠지만,
김영민 님의 논어를 읽는 방법 정도로 보면 좋을 듯 같다.
솔직히 얘기하자면,
이 책은 논어적 사고에 익숙한 나에게 경기를 일으킬 만한 책이었다.
논어를 배제한다고 하면 말이 안되겠고,
논어와 공자를 또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준,
정서적 환기를 시켜준 책이었다.
그동안 다른 사람의 논어 해설집을 읽을때면,
이 번역이 맞나 틀렸나,
이 해설이 적절한가 그렇지 않은가,
그럴듯 한가 그렇지 않은가, 를 놓고 혼자 고개를 갸우뚱해가며 벙어리 냉가슴을 앓았었다.
(왜냐 나의 사고방식은 고루하고, 나의 지식은 미미하여 판단해낼 재간이 없으므로)
그런데 이 책은 논어의 번역이나 해석을 가지고 고개를 갸우뚱할 필요가 없었다.
세상에는 이런 번역과 이렇게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고 생각하면서,
창의력과 기지에 감탄하기만 하면 되니까 말이다.
잘 읽었다.
나머지 번역 비평과 해설, 새로운 번역본이 나온다면 기꺼이 읽어볼 의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