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을 변화시키고, 할 일을 아는 것과 실제로 하는 것의 차이를 줄이느는 결국 선행지표의 ‘수치‘다. 선행지표가 없다면, 후행지표에만 매달려 안간힘을 쓰게 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내기도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행지표는 다르다. 이 지표는 결과를 예견한다. 선행지표에는 2가지 주요 특징이 있다. 첫째, 예측력‘이 있어서, 선행지표가 바뀌면 후행지표도 바뀔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둘째, 팀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그 말은 다른 팀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도 선행지표를 실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칙 2는 목표 달성으로 이어질 일간 또는 주간 지표를 정하게 한다.
그런 다음, 팀은 매일 또는 매주 그 선행지표를 움직일 가장 중요한 행위를 찾아낸다. 이런 식으로 그때그때 계획을 세워 재빨리 상황에 대처하면서 가장 중요한 목표에 꾸준히 집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행지표가 목표 달성 여부를 말해주는 반면에 선행지표는 목표 달성가능성‘을 말해준다. 후행지표는 손쓸 수 없지만 선행지표는 자신이 조절하기 나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번째 원칙은 선행지표를 움직이는 행위에 많은 힘을 쏟는 것이 후행지표를 달성하는 지렛대가 되는 원칙이다. 원칙 2는 지렛대 원칙이다. 선행지표는 목표 달성과 가장 밀접히 관련된 행동을 측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