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으로 우리는 내가 한 행동이 도덕적이라며 끊임없이 스스로를 위로한다. 회사의 직원인 사람은 자신이 팀플레이를 잘한다고 생각한다.

사장인 사람은 내가 직원들에게 잘 대해준다거나 적어도 월급을 많이 주거나지원을 잘해준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올바른 대의에 힘을 보탠다. 일반적으로우리는 내가 이기적이거나 내 것만 챙긴다고 생각하기 싫어한다. 우리는 남도나를 그렇게 봐주기를 바란다. 소셜 미디어를 보면 사람들은 자신이 좋은 목적을 지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열심히 보여준다. 자선단체에 익명으로 기부하는 사람은 극소수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름이 널리 광고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군가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고 반대되는 의견을 내놓는다는 것은 당신이 상대보다 더 잘 알고, 그 문제를 더 이성적으로 철저히 고민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누군가에게 그런 식으로 이의를 제기한다면 상대는 당연히 자신의 의견을 더 고집할 것이다. 좀 더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면 그런 일을 막을 수 있다. 마치 반대되는 생각을 그냥 한번 생각해보았는데 틀릴 수도 있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좋은 방법도 있다. 상대의 관점에 동의하는 것이다. (보통의 논쟁은 굳이 애써 이길 만한 가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대의똑똑함을 칭찬하고 나면 대개 상대의 의견을 바꿔놓거나 상대의 방어막을 낮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여지가 만들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훌륭한 팀은 매 순간 자기 팀이 이기고 있는지 아닌지를 안다. ‘반드시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경기를 이기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제대로 된 점수판은 팀에게 그들이 지금 어느 위치에 있고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팀이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을 하는 데 꼭 필요한 정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번째 원칙은 모든 사람이 언제든 점수를 알 수 있게 해서 자신이 승리하고 있는지 판단하게 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원칙 3은 참여 원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칙 3과 원칙 4는 팀이 선행지표를 움직이는 데 힘을 쏟게 하려고만들어졌다. 그러나 원칙 2에 나오는 좋은 선행지표의 장점과 진짜 효과는 팀을 가장 중요한 목표에 확실하게 연결시킨다는 점이다. 궁극적으로 리더가 추구하는 최종 성과를 내는 것은 조직의 최전선인 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