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가 너무 작다는 생각이 든다면 접근 방식이 틀린 것이다. 모든 생명체는 현미경으로 봐야만 보이는 작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듯이, 모든 큰 프로젝트도 사실은 작은 단계들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이렇게 작은 단계를 반복해서 밟아 나가야 뇌를 제어할 수 있다. 의지력이 약한 경우라면 이 작은 단계야말로 당신이 전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작은 단계를 믿고 이용해 보자. 그 결과 나타난 엄청난 변화에 당신이 먼저 놀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욕을 끌어모으려다 실패했던 나날들은 잊어라. 처참히 패배했던의지력과의 전쟁도 잊어라. 이 방법은 너무나도 쉬워서 절대 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지 않으면 이기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 잠재의식이 바뀔것이고, 거기서부터는 행동을 바꾸기가 더 쉬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하는 일을 작은 목표로 잘게 나누는 것은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을지모른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모든 훌륭한 업적은 매우 작은 단계들로이뤄져 있다. 이를 한 번에 하나씩 밟고 올라서는 것은 결코 나약한 게아니라 신중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습관을 키우는 데는 침착한 마음가짐이 최고다. 흔들림 없고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흥분될 수도 있겠지만 그 흥분을 실행의 발판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이런 식으로 감정에 의존하는 것이야말로 수많은 자기계발 계획을 망치는 지름길임을 잊지 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상 자체가 보상이라면 어떨까? 달리 말해 보상을 받을 때 보상 자제 말고도 다른 혜택이 따른다면 어떨까? 보통 보상이란 우리가 어떤좋은 일을 하는 대가로 받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보상 자체도 보상을 돌려줄 수 있다. 작은 습관을 실행하고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었을 때(음식이든, 밤 외출이든, 거울을 보고 자기를 칭찬하는) 그 보상은 작은 습관을 다시 실행하라고 격려하는 방식으로 당신에게 보상을 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