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현대적인 전략을 고무한 산업부문은 사치품 산업luxury industry 이다. 애플은 비상식적일 만큼 터무니없는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 희소성 추구를 결정했는데, 이는 기술 분야의 서툰 하드웨어 업체들이 모방하기에는 어려운 전략이다.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에 본사가 있는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을 14.5퍼센트점유했고(2016년 기준) 수익으로는 세계 스마트폰 수익의 79퍼센트를차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존 제국에 맞서 싸우는 혁신적인 소매유통업체들도 있다. 몇 개만 예를 들자면 세포라, 홈 디포, 베스트바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회사는 아마존이 급격한 변화를 도모할 때 다른 방향으로 변화를 꾀하며 사람에게 투자하고 있다. 그들은 인적자본 투자를 기술 분야 투자와 연결한다. 이제 소비자는 제품을 사러 매장에 가지 않는다. 제품은 아마존에서 보다 쉽게 살 수이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매장에 가는 이유는 사람, 즉 전문가를 만기 위해서다.
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존의 이러한 행보는 어떤 메시지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아마존은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소비자가 필요로 하기도 전에, 그것도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5억 인구에게 한 시간 안에 제공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세대 소매유통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합이 성공의 관건임을 뜻하는 ‘멀티채널 시대‘Multichannel Era 로 불릴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모든 점을 고려할 때 아마존이 이 시대를 지배하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 앞서 나는 아마존이 오프라인 매장을 열 것이라고, 그것도 아주많이 열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존의 입장에서 메이시스처럼 힘에 겨워 허덕거리는 소매유통업체나 편의점 체인같이 많은 공간과 정교하고 복잡한 체계를 확보한 업체를 인수하는 것은 당연한 행보다. 아마존은 운송에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아마존의 가장 큰 목표는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가구를 회원으로 끌어들이는 데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프라인 매장은 앞으로도 살아남는다는 말에는 타당성이 있다. 단, 여기에는 단서가 붙는다. 어떤 매장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전자상거래업계도 마찬가지다. 궁극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양자 통합 방식을 이해하는 소매유통업체가 진정한 승자가 될 것이다. 아마존의 목표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