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D는 원래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디자인에 대한 강연이었다. 그래서 TED에서는 슬라이드 사용이 영향력이 상당할 것으로 보았다.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 전통은 TED 강연이 인기를 끌게 된 중요한 이유 중 하나기도 하다.

그렇다면 강한 시각 자료의 핵심적 요소는 무엇일까?
이는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공개
· 설명의 힘
· 미학적 매력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피아 2019-10-04 14: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럼 우리 칭구~😃
 

시각 자료가 아니라 기술과 창조, 새로운 과정을 보여줘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보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어떻게 작업이 이뤄지는지 과정을 보여줘야 한다. 이번에는 시연이다. 시연은 강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성, 이야기하기, 설명하기, 설득하기. 이들 모두청중과의 유대관계 형성, 이야기하기, 설명하기, 중요한 도구다. 그러면 청중에게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가장 직접적방법은 뭘까? 아이디어를 보여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품의 예측가능성을 결정짓는 세 가지 주요 요소들이 있다. 바로 균일성, 일관성 그리고 신뢰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객이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은 주로 두 가지 기준에 달려 있다. 기대와 효과다. 이는 내가 기대 효과라고 부르는 일종의 방정식과같은 구도에서 작용한다. 즉, 품질=효과 기대이다.

상품을 구입하려면 고객의 기대는 가급적 높아야 한다. 일단 구매가 이루어지면 상품이 전달하는 이익이나 효과가 기대를 능가하는 것이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객은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 효과가 고객의 기대를 능가한다면 고객은 매우 만족하고 품질에 높은 점수를 줄 것이다. 반대로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면 고객은 상품의 질이 낮다고 평가할 것이다. 절대적 기준에서 아무리 상품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이는 전혀 상관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