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본 없이 연설할 경우에 빤히 예상 가능한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1. 핵심 개념을 설명해주는 단어를 연설 중에 금세 찾아낼 수는 없다. 해결책은 여행의 각 단계를 다양하게 준비하고, 각 단계가 분명해질 때까지 준비한 내용을 큰 소리로 읽어본다.
2. 연설 중에 중요한 내용을 빠뜨린다. 연결이 자연스럽도록 한 단계에서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 다음 단계로의 전환을 위한 구문을 연습하거나 메모하도록 하자.
3.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다. 주최 측과 이후 연설자들을 난감하게 만드는 행동이다. 청중도 피곤하다. 절대 주어진 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본이 없을 때의 장점은 다양하다. 신선하고, 생동감이 넘치며, 현실적이다. 지금 가지고 있는 생각을 입 밖으로 크게 말하는 셈이다.
자신이 잘 알고 있는 대상에 대한 연설이라면, 가장 적합한 선택일 수 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본이 있는 연설에서 또 다른 문제는 어떤 말투를 사용하느냐는 것이다. 구어체를 사용해야 할까? 문어체를 사용해야 할까? 매일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사용하는 말투는 시적이기보다는 직접적인 경우가 많다.
스피킹 코치들은 대부분 구어체를 사용하라고 조언한다. 마음에서우러난 연설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연설은 결국 글로 쓰는 게 아니라 말하는 것이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나는 오늘 여러분께 생생하고,
강력하며, 잊을 수 없는 비전을 말씀드릴 것입니다"가 아니라 "내게는 꿈이 있습니다"라고 연설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은 그대로 읽어도 괜찮을 때는 아래 2가지 경우뿐이다.

1. 멋진 이미지나 영상을 보여주면서 연설할 때다. 연설자는 시를 읊듯 이미지와 영상을 설명해야 한다. 이때 청중의 시선은 스크린에 꽂혀 있게 된다. TED 프라이즈(Prize) 수상자인 사진가 제임스 낙트웨이 (James Nachtwey)의 강연이 좋은 예이다.
2. 연설자의 대본이 너무 훌륭하며, 청중 또한 대본을 읽고 있다는 사실을 알 때다. 하지만 아무리 뛰어난 작가가 쓴 아름다운 언어라고 해도 읽는 것보다는 말할 때 훨씬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 TED에는 어떤 강연 규칙도 없다. 강연자들이 스스로 가장 효과가 있다고 느끼는 전달 방법을 찾도록 도움이 되는 조언을 할 뿐이다.
연설을 준비하면서 내려야 하는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다음 2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A. 전체 대본을 짠다. 읽거나, 암기하거나, 둘 다 하거나 상관없다.
B. 분명한 구조를 만든 다음 즉석에서 연설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