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존재
이석원 지음 / 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를 5집 발매 기념 콘서트에서 딱 한번 봤었다. 2년도 더 전의 일이다. 그리곤 질려버려서 다시는 보고 싶단 생각을 하지 않았다. '질린다'- 그게 그렇게 기다리고 바라던 사람의 노래를 듣고 난 뒤의 감상이었다. 그걸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저는요...너무도 평범한 사람이라서요...제가 만든 음악을 다른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낮게 평가한다고 생각하면...미쳐버릴거 같아요." 

그가 가진 보통의 인간의 몸은 이런 성미를 이겨내지 못해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었다. 끊어지지 않고 어떻게 어떻게 이어지는 것이 신기할 정도로 허약하였던 그의 목소리에 관객들은 숨을 죽였다. 아이돌 팬이었다면 "오빠 아니에요!!!! 오빠 노래 짱이에요!!!"이러면서 팬들이 실신 좀 해줘야 할 상황인데 이 사람이 이런 말을 하니 장내가 숙연해졌다. 재능을 가진 자의 고통을 고작 5만원 내고 즐기고 있다는 죄책감이 나를 엄습했다. 공연을 제대로 즐길 수 있을리가 없었다. 막간을 이용해 관객들에게 소개된 음반제작과정을 찍은 영상물은 마음을 더 번잡하게 만들었다. 끝까지 날카로워진 그의 신경에 눈치보는 멤버들, 수시로 삐-소리내며 짤리는 목소리들, 원하는 걸 얻지 못해 안절부절하지 못하는 그의 모습은 한층 더 깊은 불편함을 가져다 줬을 뿐. 누군가가 몸을 해치며 만든 작품을 내가 너무 쉽게 듣고 있다는 죄책감. 그의 독기에 질려 무슨 말도 할 수 없었던 나는 그 어지러운 마음으로 공연이 끝날 때까지 서 있었다. 노래가 노래인지 아닌지 제대로 들리지도 않았던 거 같다. - -----그리고 5집 음반은 그의 성미에 차지 않아 결국 5집 발매 기념 콘서트를 하고서도 반년인가 지나서 나왔던 걸로 기억한다.   

책의 시작은 이렇다. 

모든 것은 어느날, 자신이 결코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는 섬뜩한 자각을 하게 된 어떤 사건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런 사람이 스스로를 보통의 존재라고 우기면 나 같은 사람은 어쩌란 건가!! 하며 읽었는데 신기하게도 마음에 위로가 되었다. 사실 어느 누구나 다 그렇지 않을까. 조금씩은. 결코 보통의 존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살기 위해서 보통의 존재라고 스스로를 억누르고 윽박지르고 그렇게 사는거. 이 사람에 비하면 난 정말 평범하기 그지 없단 생각에 주눅들어 시작했지만 그렇게 겁먹고 읽을 책은 아니었다.  이 세상에 보통의 존재는 존재할 수 없는거고, 그래서 조금 더 재능 가진 사람이 나머지를 위로하고 그렇게 사는거라고 생각하면 몸 해치며 무언가를 창조해내는 그를 무서워할 일이 아니다. 그에게 고마워할 일이지. 글쓰기가 좋다고 그러던데 보통의 존재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보통스럽지 않은 존재들을 위한 글들 앞으로도 많이 써줬음 좋겠다. 그게 조금 덜 보통스러운 사람의 의무이다. 재능을 가진 사람의 의무말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이] 2010-02-27 1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산문집 정말 정말 사고 싶었는데... ㅋㅋ 이석원씨 홈피에서 일기 쓴거 보면 알지만 글 진짜 잘쓰조

LAYLA 2010-02-27 22:13   좋아요 0 | URL
어제 이 글 쓰고 술마시러 나갔다가 언니네 노래 들었는데 캬 역시 노래는 좋고 이런 감상문은 쓰레기 같단 생각이 들더군요. 결론은 역시 재능있는 사람이 수고해야 이 세상이 아름다워진다는...ㅋㅋㅋ

2010-02-27 22: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2-28 00: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The Guernsey Literary and Potato Peel Pie Society (Paperback, Open Market ed)
메리 앤 셰퍼.애니 배로우즈 지음 / Bloomsbury Publishing PLC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전쟁이 비참한건 어디서나 똑같을 텐데 그걸 가지고 한국에선 황석영의 한맺힌 '손님'이 탄생하고 서구권에선 이런 달달한 소설이 탄생하다니 이걸 흙 묻은 나무 뿌리까지 캐어내 먹던 독한 민족과 감자 껍질으로라도 파이를 만들어 먹던 민족 사이의 간극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소설은 거대할 것이 없다. 얼마나 거대하지 않냐면, 전쟁 중 일어난 가장 비극적 사건이 (이념으로 인한 칼부림이 아닌) 현지여성과 독일병사와의 사랑 정도라는 거. 그런 소설이다. 강제노역하는 폴란드 아이를 데려다 먹이고 입히다 강제수용소로 잡혀가는 동네 주민들 이야기는 한국전의 처절한 바닥에 익숙한 우리같은 독자들에겐 '소설쓰네'류의 감상을 불러 일으키지만 이건 진짜로 소설인걸 어찌하랴. 거기다 이건 그냥 전쟁 소설이 아니라 전쟁을 배경으로 삼은 로맨스 소설인걸!! 전쟁이란 배경속에 단 이야기를 슬쩍 집어넣는 그 사랑스러움이 진정 저 먼나라 사람들 답다. 굳이 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마시라. 우리가 18세기 결혼풍속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오만과 편견을 읽는 것이 아니니 말이다. 이 소설 역시 마찬가지이다.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지, 누가 잘못했는지는 중요치 않다. 그 어려움의 순간에 어떻게 서로가 서로를 사랑하며 보듬었는지가 중요할 뿐. 진정한 loveliness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uernsey Literary and Potato Peel Pie Society (Paperback, Open Market ed)
메리 앤 셰퍼.애니 배로우즈 지음 / Bloomsbury Publishing PLC / 2009년 5월
품절


Have you noticed that there are some people - Americans especially - who seem untouched by the war, or at least unmangled by it? I don't mean to imply that Mark was a shirker - he was in their Air Corps- but he's simply not sunk under. and when I'm with him, I feel untouched by the war, too. It's an illusion, I know it is, and truthfully I'd be ashamed of myself if the war hadn't touched me. but it's forgivable to enjoy myself a little- isn't it?-54쪽

it seems to me the less he said, the more beauty he made, Do you know what sentence of his I admire the most? It is, "The bright day is done, and we are for the dark." I wush I'd known those words on the day I watched those German troops land, planeload after planload of them- and come off ships down in the harbour! All I could think of was, Damn them, damn them, over and over again. If I could have thought the words, "the bright day is done and we are for the dark" I'd have been consiled somehow and ready to go out and contend with circumstance- instead of my heart sinking to my shoes.-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빵과자유를위한정치>를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 MB를 넘어, 김대중과 노무현을 넘어
손호철 지음 / 해피스토리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따라서 한편으로는 한나라당의 집권에 따라 예상되는 일정한 민주주의의 후퇴에 대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반신자유주의 전선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위에서 지적한 자유주의 진영과 진보 진영의 내부개혁은 미룰 수 없는 또 다른 과제이다. 더 늦기 전에 죽은 87년 체제에 대한 미련은 빠릴 던져버려야 한다.  

  이 같은 과제들을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에 따라 이명박의 집권이 일회성으로 끝날 수도 있고 아니면 길고도 긴 어둠의 시대가 지속 될 수도 있다. 이명박의 집권은 근본적으로는 정권교체가 아니라 신자유주의 정권의 연장이라는 점에서 너무 절망하거나 호들갑 떨 필요가 없다. 게다가 스타일면에서도 이명박은 노 대통령을 닮은 또 다른 노무현이라는 점에서 사고를 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2007년 12월 20일

 
   

     이 책은 자칭 진보적이라는 정치학자가(이 책을 읽기 전까지 저자를 몰랐기에 그가 진보적이다 아니다 판단을 내릴 깜냥이 되지 않는다) 쓴 정치 칼럼을 모아놓은 책이다. 그가 글을 실은 언론들이 한국에선 진보적이라 분류되는 곳들이고 글의 내용들 역시 교과서처럼 진보스럽지만 과연 그것만으로 그를 진보라 부를 수 있는가? 진보의 실천이 옳고 바른 소리를 신문에 쓰는 것으로만 완수되는 것이던가?  

저자뿐만이 아니다. 진보라 불리던 이들은 위에 인용한 부분처럼 노무현 대통령 집권 당시에는 노무현 대통령 까는 글을 참 쉽게 썼었다. 자칭 진보를 외치는 분들의 눈에 노무현이 찼을 리가 없다. 그럼 이명박에게는 더 호된 날을 세우는가?? 글쎄다. 이명박이 집권한 뒤에는 '구관이 명관이었지' 정도 툭 던져주시고 아예 대통령에 대한 언급을 그닥 하지 않는다. 언급 할 '가치'가 없다는게 그 쪽 입장이겠지만 개인적으로 헛웃음이 나오는 걸 막을 수 없었다. 노무현의 전략부재와 급한 성미를 탓하기 전에 진보라고 외치는 이들은 과연 전략적으로 행동했나 묻고 싶다. 한치의 오점이나 실수도 용납치 않겠다는 태도를 그들 스스로 '깨끗함'이자 진보의 실천이라 생각한다면 뭐 어쩌겠나 다들 자기 생각대로 사는거지. 그렇지만 그 깨끗함으로 유난떨던 모습 그 자체가 하나의 '전략부재'라는 비판 앞에선 할 말이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성미 역시 할 말이 없지 않을까. FTA 란 결과가 나오기까지 진보가 보여준 '닥달'은 후덕하고 인자하며 기다릴 줄 아는 선비의 인품과 한참 거리가 멀기에. 그래서- 한나라당한테 안되는 거라고 말하고 싶다. 정치판에서 고매함을 찾는 것이 얼마나 우스운지 잘 알고 그런 시궁창 현실에 맞추어 영리하게 실리를 챙겨내는 한나라당의 위대함이여. 많은 걸 바라지 않았다.  나는 이 두꺼운 책에서 단 한줄만이라도 진보의 자기성찰 메세지를 보고 싶었건만(노무현 잘한 거 없다. 그리고 우리도 잘한 거 없다 이런 간단한 이야기 말이다) 그런거 없따. 노무현에서 이명박으로 넘어가던 그 시기 한국에서 진보 정치학자라 불리던 이가 쓴 글들 속에서 어떤 메세지를 찾아내고 어떤 교훈을 얻는지는 독자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 MB를 넘어, 김대중과 노무현을 넘어
손호철 지음 / 해피스토리 / 2010년 2월
품절


문득 인종차별이라는 구조적 폭력을 고발해온 진보적인 흑인 레게가수 피터 토시의 노래가 떠오른다
"우리는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정의이다"-228쪽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에 따르면 현재 우리사회의 시간강사는 약 7만 명으로 이들이 현재 대학강의의 약 절반가량을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이들 7만명 중 80%는 강의로 생계를 유지하는 전업강사라는 사실이다. 게다가 시간 강의마저 얻기가 어려워 이들은 평균 주 4.2시간의 강의를 하고 한 달 평균 40만 6000원의 강의료를 받아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38쪽

중산층은 민주당의 집권기간인 1997년에서 2006년 사이에 61.1%에서 53.4로 7.7% 줄어들었다. 그리고 53.4%는 OECD평균에 비해 20% 정도 낮은 수치이다. 반면에 하류층은 34.6%에서 45.2%로 10.6%나 늘어났다.-30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