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종말시계>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석유 종말시계 - '포브스' 수석기자가 전격 공개하는 21세기 충격 리포트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0년 2월
평점 :
Tomek님 말씀대로 '소설'에 가까운 책이다. 저자는 석유가 유한자원이니 만큼 시간이 흐를수록 유가가 오를 수 밖에 없다는 걸 전제로 하여 유가가 갤런당 4달러에서 20달러에 이르기까지 2달러 간격으로 한 챕터를 구획해 각각의 단계에서 예상되는 사회적 변화를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이 인문과학서보다 소설에 가까운 이유는 저자가 유가의 상승에 예상되는 변화를 설명함에 있어 과학적 서술방식이 아닌 케이스 위주의 서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기자이다 보니 그런식으로 글을 쓴게 이해는 되지만 그런 글은 1페이지 특집기사로 족하다. 한 권 내내 객관적 전망을 가장한 주관적 열변을 읽어내기는 힘들다. 모든 것을 유가에 기반해 생각하면 어떤 극단적 생각들이 튀어나올 수 있는지 이 책을 보면 잘 알수 있다. 물론 그의 모든 예상이 터무니 없는 것은 아니다. 유가상승과 함께 미국인의 suburban dream은 차츰 붕괴할 것이라는 부분이나 화물운송차량이 전기충전방식 차량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점, 열악하기로 유명한 미국의 대중교통 시스템(철도포함)이 차츰 개선될 것이라는 점, 새어나가는 한 톨의 에너지라도 아끼기 위해 여러가지 관련산업이 발달할 것이라는 점 등은 무척이나 합리적인 예상이고 미국에서 유가상승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었기에 유용하고 재미있었다. 그치만 사람들이 석유값 때문에 차를 끌고 나가지 않으니 교통사고 사망자가 줄어들것이란 부분은 깨알같이 웃겼고(ㅋㅋㅋ) 기름값이 비싸서 앞으로 대륙간 항공편은 사라질 것이란 부분은 나를 폭발케 하였다. 그러니까 그게 바로 이 책이다. 진지하게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있는 전망을 기대하지 마시라. 이 책은 기름값이 지금처럼 계속 대책없이 올라가다간 이꼴 날 거에요-라고 일러주는 어른을 위한 동화책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단순히 석유값을 독립변수로 설정해두고 기름값이 요정도 오르면 세상이 요렇게 바뀔거야-란 이야기가 반복되는데 이는 유油물론(석유를 제1차적·근본적인 실재로 생각하고, 정치나 과학, 인간의 의지 등을 부차적·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철학설.)을 연상케한다. 유물론을 토대로 쓰인 글이란 생각하면 그럭저럭 소설처럼 읽어나갈 수 있지만 괜히 나처럼 쓸데없이 자꾸 현실을 떠올려보는 독자는 책의 후반부로 갈수록 짜증이 치밀어 오르는 경험을 하게 된다. 기름값이 비싸진다고 진짜 대륙간 항공편이 사라지게 되겠는가?(정확하게 말하자면 저자는 그 비싼값을 내고 누가 비행기를 타겠느냐며 묻고있다)석유가 세상을 움직이는 하나의 축인것은 사실이지만 석유값이 오르면 대체에너지개발 기술도 따라 발전할 것이고 뭣보다 자본주의 사회가 뒤집어지지 않는 한 한번 맛본 달콤한 문명이 퇴보하는 일은 웬만해선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자본주의 체제를 영속시키기고 정당성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제국은 무언가 수를 짜낼텐데 이 책은 가격이 모든 상황을 결정짓는 유일한 변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미국이 갤런당 20달러 유가가 현실화되도록 둘 것인가?) 사실 이건 책의 문제라기 보단 이 책의 패러다임에 딴지를 거는 나 같은 독자의 문제라고 봐도 될 듯하고. 어쨌든...유물론의 결론에 따르면 미국은 효율적 에너지 사용을 위해 교외생활을 버리고 지금은 빈민가로 여겨지는 도심부로 인구가 집중될 것이란다. 여기서 동양의 도시들(도쿄 서울 등등으로 추정됨)이 거론되며 그들의 에너지 집약적 거주 행태에 대한 찬사가 이어지는데 인구 1000만 넘는 이 도시가 초래하는 엄청난 비효율을 절절히 체화하며 살아가는 소시민1인으로서 전세계가 서울처럼 되기 전에 얼른 대체에너지를 개발해야겠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게 되었단 점이 이 책이 준 교훈이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나의 독서에 이해하기 어려운 번역문.비문.오타들이 무척이나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34p 사람들은 휘발유 가격이 얼마나 저렴한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 휘발유 가격과 1갤런에 13달러하는 버드와이저 가격 또는 1갤런에 8달러 하는 코카콜라, 혹은 1갤런에 7달러 50센트하는 에비앙 생수와 가격을 비교해보라. 낡은 유전에서 아주 저렴하게 생산하던 석유가 감소하면 여러분을 세계 곳곳으로 이동시켜주는 아주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휘발유 가격이 거의 공짜나 다름없는 수돗물과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 수입한 프랑스 생수 한 병 가격을 훨씬 웃돌게 될것이다.
57p 첫째줄 기2본 오타
176p 1990년대에 미국에서 뉴욕보다 더 폭발적으로 인구가 늘어난 도시는 없다. 뉴욕의 인구는 68만 5714명에서 800만 8278명으로 늘어나 이전보다 33만 7642명이 늘어나 두 번째로 큰 인가 증가율을 보인 피닉스보다 두 배 이상의 인구가 증가했다. (피닉스 인구가 330만 늘어났다고 말하고 싶은건가?)
209p 이런 건물을 유령 상자라고 한다. 이 명칭은 아칸소 주에 본사를 둔 월마트가 철수한 상점을(에) 안티 월마트 집단이 붙여준 별명이다.
기타 등등등
한번에 읽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이런 불평불만에도 불구하고 별4개인 것은 앞에서 언급한 상당히 괜찮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들+ 미국인 라이프 스타일과 유가상승의 연결지점에 대한 설명+ 각 케이스 별로 인용되는 다양한 자료들이라던지 실제 석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