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지 2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책 속의 또 다른 책과 인물, 진실 혹은 허구가 존재한다. 기연은 그렇게 잠시 일을 내려두고 홀연히 독일로 떠나며, 자신이 취재하게 된 사건의 역사적 내용과 상상을 바탕으로 또 다른 추리와 이야기에 빠져든다.
은밀하게 한글 창제를 준비하는 조선의 왕 세종과 신미 대사. 한글 창제의 과정을 익히 아는 독자로써 이러한 역사적 내용보다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한글 창제에 가려진 보이지 않는 이면들.
-이미 나랏말싸미가 선 수를 쳤지만- 한글 창제를 위해 도움을 주었던 보이지 않는 기술자 양승락과 글과 언어에 천재적이었던 딸 은수가 익힌 주조술이 어떠한 경로로 먼 유럽까지 전해져 글자화되었는지 그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단서들이 천천히 드러난다. 물론 그 안에는 또 다른 주인공이자 기자인 기연이 밝혀야 하는 전형우 교수 죽음의 가해자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한글 창제를 방해하는 세력에 의해 무참히 죽음을 당한 아버지 양승락 대신 명나라까지 보쌈이 되어 납치 되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며 먼 유럽(로마)까지의 여정을 이어가던 파란만장했던 여인 은수. 이렇게 어린 여인 은수는 자신이 보유한 글자 주조 기술을 로마의 바티칸 교황에게까지 선보이며, 세종이 꿈꾸던 만인의 백성들이 글을 읽고, 로마의 많은 시민들이 성경을 읽어 하나님을 알아갈 수 있다는 기대를 품게 된다. 그 이후 교황의 뜻에 따라 서적 출간의 본거지이자 필사가들이 즐비한 마인츠로 파견된다. 하지만 교황청의 계락에 의해 또다시 죽음 직전까지 다가서게 되지만 당시 교황과 주적 관계이자 라이벌이라 할 수 있었던, 당시의 실세 쿠자누스 대사의 도움으로 다시 한 번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런 인연으로 그녀는 쿠자누스로 하여금 ‘카레나‘라는 이름을 선사받고, 아비뇽에 있는 수도원에서 수녀라는 또 다른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 이후 쿠자누스는 바티칸 교황과 대립각을 세우던 중 자신의 절친했던 동료 쿠덴베르크에게 아비뇽에 은둔해 있던 ‘카레나‘를 만나 주조 기술을 배워 세상을 크게 변혁시키라는 임무를 전한다. 당차고 화통했던 거부 집안의 쿠덴베르크에게 그 도전은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이었으며, 쿠자누스 또한 그 일을 할 수 있는 인물은 자신의 친구인 쿠덴베르크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게 10여 년의 노고 끝에 180부에 가까운 성경이 완성되고, 당시 로마와 교황청을 놀랍게 하는 상황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그는 결국 동업자의 기묘한 술수에 모든 수익을 잃게 되지만 이름만은 인쇄술의 혁명가라는 칭호를 받게 된다.
어찌 되었든, 당시의 인쇄술이란 기술력, 그것은 유럽의 발명가 혼자만의 능력과 재능이 아니었다. 먼 나라, 중국보다 작은 반도 국가 조선의 수녀 ‘카레나‘와 그녀가 함께 꿈을 이루려 했던 주조 기술자인 아버지 양승락, 그녀를 귀히 여기며 함께 한글 창제를 도모했던 대왕 세종의 힘이 함께 한 것이다.
이런 추측과 쿠덴베르크의 인쇄술, 그리고 직지의 위업, 한글의 창제를 비롯해, 21세기의 주조술인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의 궤를 함께 이뤄가게 된 것이다.
기연은 결국 그녀가 책을 통해 인연이 된 ‘살인의 역사‘ 저자인 펨플턴과 전형우 교수 죽음에 얽힌 진실의 끝에까지 이르게 된다. 진실을 세상에 밝힐 수 없는 상황을 감수하고, 죽은 전형우 교수 부인의 부탁이었던 죽음의 원인까지 이끌어낸 것이다, 책 속의 진실은 독자만의 몫으로 남겨 두는 저자의 의도. 결론에 이르는 판단과 사고의 행위는 독자의 몫이라는 해답을 던져보며 파란만장했던 과거와 현재의 두 인물, 그녀들의 여정을 마무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