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문제를 먼저 풀어 보실까요?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아래 한자 중 잘못 쓴 것을 고르면?        

 

                           

 

 

    ①              ②              ③             ④    

 

 

  정답은 ④번 입니다.그러면 어떻게 고쳐 써야 할까요? 그렇죠, 味        

로 고쳐 써야 하죠. 오미자의 '오미'는 다섯가지 맛이니, 한자로         

  다· 맛미, '五味'로 표기 해야 하죠. 未는 '아닐미'에요.'五未'       

 라고 표기하면 '다섯가지 맛 (절대) 아님'이란 의미가 되요.  본래       

  의미와는 정반대의 뜻이 되는 거죠. ^ ^                                        

 

 

 

 感이 '느낄감' 이란 건 아시죠? ^ ^                                             

 

  아내가 경북 문경에 갔다가 오미자 원액을 사왔는데, 포장지의 한        

 자가 재미있게(?) 써있어 자료로 삼아 봤어요. 한자 잘못 쓴 것을        

 비웃으려고 자료로 삼은 것은 아니에요. 그보다는 안타까운 생각        

   이 들어서 자료로 삼은 거에요. 농사를 지어도 판로를 찾지 못하면        

   말짱 도로묵이죠. 하여 판로를 뚫으려고 안간힘을 쓰는데, 그 안간        

    힘운데 하나가 포장 아닌가 싶어요. 포장이 그럴듯하면 왠지 제         

    품에 신뢰가 가잖아요? 그런데 힘든 농촌에서 멋진 디자인의 우수          

    한 포장을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에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죠.        

그러다보니 어쩔수 없이, 본의 아니게, 조악한 포장을 많이 하게         

 되요. 이 오미자 포장도 그런 경우라고 생각해요.                            

 

   우수한 디자인의 멋진 포장은 제품의 가치를 한층 상승시키죠. 옷이       

    날개라고 하잖아요? 정부에서 농촌에 여러가지 지원을 하고 있는데,       

     이쪽 방면으로도 -- 디자인과 포장 -- 지원을 좀 해주면 어떨까 싶          

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未만 알아보면 되겠네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未는 본래 屮(싹날철)의 중첩자와 (나무목)이 합쳐진 모양으로,

                          오래된 나무에 잎새가 무성하다란 의미였어요. 지금은 본래 의미와는

                          다르게 '아니다'란 뜻으로 사용하고 있죠. 음가가 동일하여 글자를

                          차용해 표기하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낸다고, 본래의 의미는 상실

                          되고 추가된 의미가 본 의미처럼 사용된 것 아닌가 싶어요.

 

                          未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未完成(미완성), 未嘗不(미상불,

                          아니라고 부정할 수 없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未와 비슷한 한자에

                         이 있죠. 자세히 보면 모양이 좀 다르죠? ^ ^ 末은 木에 一을 추

                          가한 것으로, 一은 '나무 끝 부분'이란 의미를 나타낸 거에요. '끝말'이

                          라고 읽어요. 終末(종말)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청양(靑陽)에서 부여(扶餘)로 가다 보면 은산(恩山)이라는 곳을 지나게 되는데, 이곳은 별신제(別神祭)로 유명한 곳이에요. 이곳의 별신당(別神堂)을 몇 번인가 찾아가 보고 싶었는데, 매번 기회를 놓쳤어요. 하여 지난 번 광한루원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작심하고(?) 들렸어요. 촌노 몇 분이 주변 나무 그늘에서 한담을 나누시다 뜨악아게 쳐다 보시더군요.(왠지 부끄) 은산 별신제의 유래 안내판을 읽고, 별신당에 올라가 보았어요. 아쉽게도 문이 잠겨 있어 내부는 볼 수 없었어요. 싱겁게 별신당 사진 두어 장만 찍고 발길을 돌렸네요. ㅠ ㅠ

 

안내판에 소개된 은산 별신제의 유래는 이래요.

 

옛날 은산 마을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어 갔습니다. 어느날 마을의 한 노인이 낮잠을 자는데 꿈 속에서 흰 말을 탄 장군이 나타나 많은 부하와 함께 억울하게 죽어간 백골을 거두어 장사를 지내주면 병을 없애 주겠다 하고 홀연히 사라졌습니다. 잠에서 깨어난 노인이 마을 사람들을 불러 꿈에 가르켜 준 곳을 파보니 과연 수많은 백골이 있는지라 이를 거두어 장사를 지내고 위령제를 지냈더니 전염병이 사라지고 마을은 다시 평화를 찾았다고 합니다. 이 뒤로 해마다 봄에 길일(吉日)을 택하여 당산에 모여 제사를 올리게 되었는데 이것이 은산 별신제의 시초입니다. 꿈에 나타난 장군은 백제 광복운동을 하던 복신(福信)장군 또는 도침(道琛, 일명 토진)대사라고 전하며, 현재 사당에는 산신(山神)과 복신 장군 토진(土進, 일명 도침)대사의 영정(影幀)이 모셔져 있으며 사당 뒤에 백제 광복군이 항쟁했던 곳으로 보이는 이중산성(二重山城)이 있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별신제 행사의 내용은 조라술 행사 집굿 행사 진대[陳木] 베기 꽃받기 본제(本祭) 상당(上堂)굿 하당(下堂)굿 독산제(獨山祭) 장승제가 있고 대, 소제(大, 小祭)를 격년제로 구분 시행하고 있으며 1966년 2월 15일에 중요 무형문화재 제 9호로 지정되었고 1989년에는 전수회관을 지어 귀중한 문화유산으로써 보존 계승하고 있습니다.

 

은산 별신제가 타 별신제와 구별되는 특징은 군대 의식이 가미되었다는 거에요. 아마도 초기에는 타 별신제와 비슷한 형태였을텐데, 후에 복신(도침) 위령제가 더해지면서 그런 의식이 보태진 것 같아요.

 

그러면 별신제란 어떤 제례일까요? 국어 사전을 보면 "마을 수호신에게 지내는 제사"라고 나와요. 별신당은 "마을 수호신인 별신을 모시고 굿을 하기 위해 마련된 당집"이라고 나오고요. 그런데 두 설명 모두 '별신'에 대한 어원적 설명은 하고 있지 않아요. 그저 마을 수호신이라고만 설명하고 있지요. 한자로 別神은 구별할(특별할)별, 귀신신으로 '특별한 신' 정도의 의미에요. 뭔가 좀 의미가 불충분하죠. 인터넷을 찾아보니, 김성수(울산학춤보존회 고문)란 분이 울산신문(2012.7.18)에 '별신'의 명칭 유래에 대해 언급한 것이 있더군요.

 

이분은 먼저 기존의 연구(김성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를 네가지로 정리 소개하고 있어요.

 

① 신을 특별히 모신다는 의미이다.

② '별'이란 평야나 들을 의미하는 '벌'이 변한 것으로, 들신인 벌신을 의미한다.

③ 뱃신, 선신(船神)을 의미한다.

④ 벨, 벌, 별의 어원은 '밝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별신은 광명의 신이란 의미이다.

 

이 소개뒤에 김성수씨는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고 있더군요. "별신은 용신의 다른 이름인 별신(鼈神, 자라별, 귀신신)이 와음(訛音)된 것이다."

 

무엇이 맞을까요? ①은 別神이란 한자의 의미를 푼 것인데, 앞서도 말했지만, 뭔가 좀 의미가 부족한 것 같아요. 단순히 특별하다고만 하고 있지 구체적인 의미가 들어있지 않거든요. ②는 별신제가 어촌에서도 행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보편성을 갖지 못하는 설명 같아요. ③은 별신제가 평야 지대에서도 행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역시 보편성을 갖지 못하는 설명 같아요. 김성수씨의 의견 역시 어촌 지역만을 염두에 둔 설명이기에 보편성을 갖지 못하는 것 같아요. 이렇게 보면 최종적으로 남는 것이 ④인데, 이것이 가장 보편적인 내용을 담는 설명같아요. 별신제가 마을 수호신에게 지내는 제사라면, 마을의 수호신이 하는 일이란 무엇일까요? 그것은 어둠[질병, 고난 등]을 몰아내고 밝음[무병, 행복]을 가져오는 것 아닐까요? 이렇게 보면 별신이란 밝음을 가져오는 신이란 의미가 될거에요. 따라서 別神이란 한자 표기는 밝음을 가져오는 신, 즉 '밝신'을 단순 음차한 것이 아닐까 싶어요.

 

이제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보실까요? 은 전에 다뤄서 만 다루면 되겠네요.^ ^

 

은 示와 神의 합자에요. 示는 본래 지신(地神, 땅을 주재하는 신)을 의미해요. 二는 땅의 의미를 小는 땅에서 나온 만물을 표현한 것이에요. 땅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재하는 신이란 의미를 표현한 것이지요. 여기서는 그냥 신이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申은 電(번개전)과 같은 의미에요. 申에는, 번개의 이미지에서 따온, 예측하기 어려운 막강한 존재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종합하면, 만물을 주재하는 신묘불측(神妙不測, 신령스러워 헤아리기 어려움)한 존재라는 의미가 되겠네요. 흔히 '귀신신'이라고 읽는데, 엄밀하게는, 천신(하느님)이라는 의미에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神聖(신성), 神秘(신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정리 문제를 아니내겠습니다. 대신에 은산 별신제를 소개한 동영상을 보도록 하시죠. 좀 길어요~ ^ ^

 

내일 뵙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광한루원 현판 기행 마지막 입니다. 어디를 가보실까요? 남원의 젖줄인 요천강(蓼川江)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정자에 한 번 가보시죠. 자, 도착했습니다. 금수정(錦水亭)입니다. 오른쪽으로 요천강이 한 눈에 들어오죠? 보기만 해도 가슴이 탁 트이는 것 같지 않으신가요? 그런데, 좀 이상한 것 같다구요? 광한루원은 고지대에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전경(全景)을 보기가 쉽지 않은데, 어찌된 것이냐구요? 어이쿠, 들켰구요. 맞습니다. 금수정은 광한루원 안에 있는 정자가 아니라 광한루원 밖에 있는 정자에요. 요천강을 건너 광한루원의 반대편에 있지요. 금암봉(金巖峯) 정상 부근에 있어요. 부끄러운 얘기지만, 전 처음에 이곳이 광한루가 아닌가 생각했어요. 누각도 멋있지만 무엇보다 조망(眺望)이 좋은 곳에 위치해 있거든요. 광한루라면 당연히 저런 곳에 있겠거니 생각한 것이지요. ^ ^;;

 

금수정은 일제 강점기에 세원진 누각이라고 해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금수정이 있는 금암봉 정상에 일제가 신사(神社)를 지어 놓고 참배를 강요하자 이현순(李炫純) 등이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자 의도적으로 이곳에 금수정을 지었다고 나와 있더군요. 신사 참배를 하는 척 하면서 이곳에 눙치고 앉아 시문을 지으며 답답한 심사를 해소했다는 것이죠. 글쎄요? 전 좀 의아스럽더군요. 일제강점기 이만한 건물을 이만한 장소에 지으려면 관계 당국(일제)의 협조가 있어야 가능했을텐데 과연 이 건물을 지은 분들이 그런 항일 의식을 갖고 있었을까요? 또 눙치고 앉아 시문을 지으며 신사 참배를 거부하면, 관계 당국(일제)이 좌시했을까요? 제가 보기엔, 별 신빙성없는 견해가 아닌가 싶어요. (순전히 제 억측일 뿐입니다.^ ^)

 

금수정에 올라보니 시문이 있더군요. 한 컷 찍었어요. 풍경을 그린 것이 아니고 건축과 관련된 것이라 좀 아쉽더군요. 아쉬운대로 같이 한 번 읽어 보실까요? ^ ^

 

  이 정자 짓기 위해 땅 고르느라 몇 해를 보냈던가             

 

  요천강 흐르는 중심에 신묘한 터전 있으니                      

 

  지리산 일맥(一脈)의 정기가 모인 곳                             

  

  하늘이 오래 전부터 간직해온 굴지의 정지(汀地)라네       

 

  모임을 시작한 우리는 이미 머리가 허여세고                   

 

  자리를 이은 후배들은 눈빛이 새로워라                          

 

  단청한 누각 날듯한 모습으로 있으니                             

                                                                           

  구경하는 행인들 넋놓고 바라보네.     

 

이 시를 봐도 앞에서 제가 짐작했던 항일 의식 운운의 비신빙성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錦 한 글자만 알아 보면 되겠네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金(쇠금)과 帛(비단백)의 합자에요. 황금(黃金)처럼 대단히 값나가고 고귀한 비단이란 뜻이에요. 본래 이 직물은 한나라 시대 하남성 양읍에서 생산되던 직물을 가리키던 것이었어요. 후에 보편명사화 되었지요. 錦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錦繡江山(금수강산), 錦水(금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금수(錦水)는 우리가 위에서 살펴 본 정자의 이름이지요. 비단 물결이란 뜻이에요. 요천강의 별칭인 듯 싶어요.

 

 

오늘은 한 글자만 했지만, 그래도 정리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비단금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繡江山, (    )

 

3. 다음 시를 읽고 감상을 말해 보시오.

 

     낡은 결혼 시계가

     멈추어 선

     토요일 오후

     아내와 함께 백화점에 갔다가

     헛헛한 빈 손으로

     돌아오는 길

     요천수 고수부지에 들었어라

     수면에 뜨는 저녁

     노을은 턱없이 곱고

     괜스레 가슴 먹먹할 때

     토끼풀꽃 둘러 핀 풀밭에

     나는 눕고 차라리

     아내는 앉았어라

     빈 손 허전하여

     토끼풀꽃 엮어 만든 꽃시계

     손목에 묶어주면

     내 낡은 결혼 시계는

     영원히 그 시간에 멈추어서 좋아라

     토끼풀꽃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은

     아 그러나

     아직은 사랑,

     가난하여 넉넉한 먼 그리움도 있느니

     초저녁 별빛이 고웁다.

 

     (복효근, '토끼풀꽃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

 

3번 읽어 보셨는지요? 금수정에서 바라 본 요천강의 풍경도 좋지만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요천강이 맺어주는 아름다운 인정(人情)인 것 같아 인용해 보았어요. 마음에 드셨기를...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혹 인공위성에서 찍은 지구 사진 보신 적 있으신지요?  전 그 사진을 보며 '내가 사는 별

이 이토록 아름답단 말인가!'하는 감탄이 절로 나오더군요. 객관적인 시각은 확실히 대 

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만드는 것 같아요.                                                       

 

대상을 객관적으로 보고 싶은 욕구는 옛분들도 마찬가지 였던 것 같아요. 지상에 구현

한 월세계(月世界)를 객관적으로 보고 싶어 광한루원에 완월정(玩月亭)이란 정자를 지

 었어요. 완월정은 즐길완(玩), 달월(月), 정자정(亭), 월세계를 감상하는 정자라는 의미

에요. 완월정에서 바라보는 광한루와 그 주변의 풍광은 어땠을까요? 제가 지구 사진을

보며 느꼈던 느낌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완월정을 바라보며 사진을 한 장 찍었네요. 완월정에서 바라보는 광한루와 그 주변의  

   풍광에 대한 느낌이 어땠을까, 조금은 짐작할 수 있을 듯. ^ ^                                   

                           

 

옛분들이 이곳에 올라 읊은 시가 있어 하나 찍었네요.                                        

                                       

비 개인 뒤 구름 한점 없는 하늘에 달빛이 가득/ 오작교 옆에 날듯한 누각 우뚝 서있네

 / 은하수가에 북두칠성 기우는데 사람 자취 없어라/ (중략) / 이 자리 신선들의 모임 

 인양 담박하기 그지없네/ (중략) / 저 아득한 태고의 순수한 인연을 길이 이어갔으면   

 

실력이 부족해 군데군데 펑크를 냈네요. ㅠ ㅠ  그래도 대강 요지는 잡히시지요? ^ ^;; 

 속기(俗氣)를 떨친 청량한 느낌을 받았고 고상한 시회(詩會)의 인연을 이어가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네요.달밝은 밤에 완월정에서 시회를 열며 지은 시로 보여요. 광한루도 그

렀지만 완월정도 역시 밤에 와야 제 멋과 맛을 느낄 것 같습니다.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月과 亭은 전에 다뤄서 빼갰어요. ^ ^                     

 

은 王(玉의 변형, 구슬옥)과 元(翫, 가지고놀완)의 합자에요. 말 그대로 구슬을 가

지고 논다는 뜻이지요. 즐기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죠. 玩이 들어간 예는 무엇

이 있을까요? 玩具(완구, 장난감), 완상(玩賞, 감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정리 문제를 아니내도 될 듯 싶군요. ^ ^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엊그제가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난다는 칠석이었죠. 오늘은 그 판타지의 세계

에 구현한 장소를 보시죠. 바로 '오작교(烏鵲橋)'에요. 烏는 까마귀오, 鵲은 

까치작, 橋는 다리교에요. 까마귀와 까치가 놓은 다리라는 뜻이죠. 그 전설은 너무  

명해서 굳이 말씀드릴 필요가 없을 듯 싶군요. ^ ^                                        

 

이 다리는 송강 정철 선생이 광한루를 손보면서 놓았다고 해요. 다리 밑을 흐르는   

물은 은하수를 상징한 것이지요. 광한루에 은하수와 오작교를 보탬으로써 아름다운

밤하늘의 세계를 오롯이 지상에 구현한 것이지요.                                          

 

 남다른 문학적 감수성을 갖고 있었던 정철 선생이었기에 이런 낭만적 구조물을 만   

들지 않았나 싶어요. 광한루에 오작교와 은하수가 있지 않았다면 광한루는 조금 밋 

 밋했을 것 같아요. 이런 점에서 문학적 감수성 나아가 예술적 감각이란 고명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음식위에 얹는 고명은 음식을 돋보이게 하는 구실을 하죠. 하지만   

그게 없다고 음식이 안되는 건 아니죠. 그런데 그게 빠지면 왠지 2% 부족한 느낌이 

들죠. 문학적 감수성 혹은 예술적 감각이란 사물과 삶의 완성을 위한 마지막 2%의  

  고명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까마귀를 그린 거에요. 鳥(새조)에서 눈에 해당하는 一 이 생략된 모양으로

 표현됐죠. 온통 검은색이기에 몸의 색깔과 눈의 색깔이 구분이 안돼 이렇게 표현했

  어요. 烏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烏合之卒(오합지졸), 烏飛梨落(오비이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까마귀는 흉조로 인식하지만 사실은 反哺之孝(반포지효)가 말

주는 것처럼 갸륵한 새죠.^ ^                                                                

은 昔(唶의 약자, 새소리책)과 鳥의 합자에요. 昔昔(책책, 까치소리를 표현한

   의성어)하고 우는, 까마귀 닮은 새라는 뜻이에요. 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요? 鵲報(작보, 기쁜 소식이란 뜻), 鵲巢鳩居(작소구거, 까치집에 비둘기가 산다는

 뜻으로 남의 지위를 빼앗다란 의미로 사용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까치는 길조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작물에 해를 많이 끼치고 물건도 잘 훔치는 새죠. ^ ^         

 橋는 木(나무목)과 喬(높을교)의 합자에요. 물 위를 걸어 다닐 수 있도록 물 위   

높게 설치한 목재 구조물이란 의미에요. 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鐵橋(철교), 橋梁(교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까마귀오, 까치작, 다리교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報, (   )合之卒

 

3. 다음 노래를 따라 부르시오.

 

 

 

     '직녀에게'는 견우와 직녀를 빗대 남북한의 만남과 통일을 기원한 문병란 시인의 시    

         에 곡을 붙인 것이지요. 언제 우리는 슬픔과 이별을 딛고 하나로 만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