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제게 고향이 어디냐고 물어보면 본적도 아니고 태어난 곳도 아니지만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다니며 어린시절의 추억이 있는 강릉을 고향이라고 대답합니다.
고향은 추억이 있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눈에 선하고 오랜만에 찾아가도 반겨줄 친구들이 있는 곳 입니다.
장강명 작가는 마포구 일대의 장소들을 조합해서 현수동이라는 가상의 동네를 만들고 그곳에 대한 애정을 책에 담았습니다. 내가 사랑하는 동네를 책으로써서 소개한다는 것 참 멋진 일이라 생각됩니다.


인간을 얄팍하게 이해한 크고 강압적인 사회공학 실험들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와 같은 고문 도구가 되고야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념을 지키고 나의 정치적 지향을 지키는 것이 본인은 물론이고 주변인들에게 피해가 되는 삶 그리고 피해가 되도록 만들어진 제도가 있는 사회에서 살아간 아버지와 가족의 이야기 입니다. 고단한 삶을 산 아버지의 죽음을 통해 돌아본 가족사가 우리의 현대사를 잘 그려낸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가 읽은 이기호 작가의 세번째 책입니다.
이기호 작가의 책은 작가의 의도인지 모르겠으나 조금은 낯설고 불편한 느낌이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홍택님의 ‘90년생이 온다‘를 읽어 보셨다면, 이 책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우리나라의 90년대 생과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오랜 민주주의 역사를 가진 나라이지만 동시대를 지나고 있는 사람들의 사회, 직업, 가정, 세대, 성별 등의 문제나 갈등은 비슷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 역시 유사해 보입니다.

이렇듯 만연한 번아웃은2019년 5월 "성공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만성적인 직장 스트레스에서 기인한 직업적 현상"으로 세계보건기구로부터 공식 인정받았다. - P21

밀레니얼 세대의 번아웃에 관한 글이 공개된 후 내 메일 수신함에는 이런 비판의 말들이 쏟아졌다. 이런 정서를 표출한건 주로 베이비붐 세대(부머‘라고도 부른다)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은 대공황도 제2차 세계대전도 겪지 않았다. - P37

중산층의 독특한 점은, 중산층이라는 속성이 매 세대에 재생산되어야 다시 쟁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P49

직업 훈련의 대부분은 노동자의 몫이다. 그렇다고 해서 일자리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 P53

다시 말해 사육사에게든 교사에게든 목사에게든 "소명"은자신을 착취당하게 놔두라는 권유가 되기 쉽다. - P151

부머들은 우리에게 노력하면 얻을 수 있다고 약속한 것을, 우리가 직접 우리 손으로 얻기 힘들게 만들어 버렸다. - P165

임시직은 오늘날 노동 시스템의 본보기가되었다. 이 체계에서 시간강사, 독립 계약직, 프리랜서, 임시 직원, 다른 모든 유형의 파견직 노동자들은 계속 확장되는 새로운사회적 계급을 만든다. 그 계급은 바로 프레카리아트precariat (불안정을 뜻하는 ‘precarious‘와 노동자를 뜻하는 ‘proletariat‘의 합성어로,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놓인 노동자를 말한다.-옮긴이)다. - P170

이들이인기를 얻자 아예 각종 일상적 업무의 개념을 바꾸는 가내공업서비스 업계 전체가 태어났다. 로버 Rover 는 반려동물 케어 업계를 파괴했다. 에어비앤비 Airbnb는 숙박업을 파괴했다. 핸디는 심부름 업계를 파괴했다. 포스트메이트 Postmate와 심리스 seamless 와도어대시는 테이크아웃을 파괴했다. - P231

긱 경제는 전통 경제의 대체제가 아니다. 사람들에게 전통 경제가 망가지지 않았다고 설득하면서 전통 경제를 받쳐주는 존재다. - P233

나는 내가 끊임없이 일하고 있다는 증거를 만들기 위해 아주 열심히 일했다. 그러니까, 실제로 일하는 대신에. - P274

이 태도의 문제는 온종일 일하는 것이 온종일 생산한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의 자기만족적 서사를 창조한다는 것이다. - P291

아버지들은 가사 노동의 공평한 분담에 근접한 적조차 없다. - P326

모든 가정에똑같은 문제가 있다면? 그건 사회적 문제다. - P337

구조적 문제는 돈이 없고, 도움받을곳이 없고, 근무 유연성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에게 더 가혹하게 작용한다. - P349

내가 번아웃을 줄일 방법에 대해 들은 가장 좋은 조언이있다. 자신의 번아웃을 줄일 생각만 하지 말고, 당신의 행동이어떻게 남의 번아웃을 부추기는지 생각해 보라는 말이었다. - P36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3-01-19 13: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저 이 책 앞부분만 읽고 안 읽었는데 다시 읽어 봐야겠어요!!

Conan 2023-01-20 00:14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사놓고 안읽다가 이번에 읽었습니다. 요즘 시대를 잘 분석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