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셜록 : 시즌4 (2disc)
폴 맥기건 감독, 마틴 프리먼 외 출연 / KBS 미디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제 – Sherlock, 2017

  원작 – 코난 도일

  제작 마크 거티스스티븐 모팻

  출연 베네딕트 컴버배치마틴 프리먼아만다 애빙턴마크 거티스우나 스텁스앤드류 스콧

 

 

 

 

  이 감상문에는 어쩌면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이 들어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이미 이 드라마가 방영된 지 일 년이 지났으니……역시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고각 편의 방영 시간은 약 한 시간 30분 정도이다그러니까 영화 한 편과 시간이 거의 맞먹는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에피소드인 여섯 개의 대처상 The six Thatchers’은 제목에서부터 단편인 여섯 개의 나폴레옹 흉상 The Six Napoleons, 1900을 노리고 있다원작에서는 나폴레옹 흉상을 만들 때 안에 넣은 보석을 찾고 있지만여기서는 21세기에 걸맞게 USB를 찾는 사람이 나온다여기서 왓슨의 부인인 메리의 정체가 확실히 드러난다그리고 그녀의 과거가 다시 발목을 잡고어쩔 수 없이 메리는 왓슨을 떠나게 된다원작을 읽어보면왓슨은 결혼을 두 번 한다고 나온다그래서 당연히 메리와 헤어진다고 예상은 했었는데 으아……제작진의 멱살을 부여잡고 싶은 결말이었다그나저나 왓슨실망이다아내가 육아로 바쁜데 그 와중에 다른 여자에게 설레어 연락처를 주고받다니……너무하다.

 

  ‘병상의 탐정 The lying detective’ 역시 제목을 보자마자 단편 빈사의 탐정 The Dying Detective, 1887』 이 떠오른다원작에서는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고 조카를 살해해 재산을 차지한 교활한 과학자가 등장하는데여기서는 신약을 만드는 거대 기업의 회장이 악당이다. 1편 이후 왓슨은 메리의 환상을 보면서 대화를 나누는 상태였고, ‘셜록은 메리가 남긴 말을 지키기 위해 혼자 사건에 뛰어든다있을 때 잘하라는 말이 떠오르는 전반부였다그리고 왓슨은 셜록의 형인 마이크로프트의 말실수를 통해그들에게 동생이 하나 더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사건이 마무리된 후놀라운 반전이 하나 기다리고 있다.

 

  세 번째 에피소드는 마지막 문제 The Final Problem’라는 제목으로 단편 머즈그레이브 전례문 The Musgrave Ritual, 1879와 세 명의 게리뎁 The Three Garridebs, 1902을 적절히 섞었다사실 세 명의 게리뎁은 너무도 순식간에 지나가이름을 기억하지 못했다면 알아차리지도 못했을 것이다.

 

  이번에 등장하는 악당은첫 번째 에피소드부터 셜록과 왓슨의 주위를 맴돌았던두 번째 에피소드에서 처음으로 이름이 등장한 유로스였다원작에서는 등장하지 않은드라마에서 독창적으로 만들어낸 캐릭터이다홈즈 집안의 막내딸이자두 오빠를 훨씬 능가하는 천재하지만 남들과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 달랐기에 타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지 않았던그 때문에 섬에 격리되어 갇혀 살아야 했던 소녀아니 여인다른 가족들에게는 죽은 것으로 처리하고마이크로프트만이 그녀가 갇힌 곳을 찾아가 근황을 지켜보기만 했었다그런데 뭐랄까마이크로프트의 일 처리가 그리 뛰어난 것 같지는 않았다왜냐하면그녀는 그곳을 빠져나와 영국 런던을 활보하고 다녔으니까그래서 다른 사람 행세를 하면서 셜록과 왓슨을 만나고 다녔다아니면 영국 정부를 움직이는 오빠를 속이고 자신을 감시하는 사람을 손안에 쥐고 흔들 정도로 유로스의 능력이 뛰어난 것일 수도 있다그런데 그런 그녀가 원하는 것이 너무 소박한 거 아닌가나 같으면 그 능력으로 세계 정복을 하겠구먼그녀가 원하는 것은 둘째 오빠인 셜록과 노는 게 다였다둘째 오빠는 동생이 있었는지 기억도 못 하는데뭐랄까사건의 규모는 엄청나게 확장되었는데흐름과 결말은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를 보는 기분이었다.

 

  뭔가 많이 실망스러운 4시즌이었다셜록이 3시즌부터 그냥 수다스러운 똑똑이로 변하는 것 같더니이번 시즌에서는 진짜 그렇게 되었다게다가 얼마나 예의가 없는지……아무리 사건 해결도 좋지만왓슨의 아이 세례식에서까지 트윗질을 하는 건 좀 너무하다는 생각이 들었다사건 해결에 집중하고 뛰어나다기보다는그냥 관종에 무례한 사람으로 비췄다적어도 원작의 셜록은 잘난 척하고 남을 무시하기는 했지만신사였다고다음 시즌도 제작될지 아닐지 모르겠지만예전처럼 애타게 기다리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레리안 : 천 개 행성의 도시 - 아웃케이스 없음
뤽 베송 감독, 카라 델러베인 외 출연 / 노바미디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Valerian and the City of a Thousand Planets, 2017

  감독 - 뤽 베송

  출연 - 데인 드한, 카라 델러비인, 리한나, 클리브 오웬






  지구인은 ‘알파’라는 우주 정거장을 쏘아 올렸다. 알파는 세계 각국뿐만이 아니라 다른 행성의 외계인들까지 방문하는 교류의 장이 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28세기, 알파는 수천 개의 행성 대표들이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공생하는 거대한 우주 기지, 그 이상의 존재가 되었다. 그 어마어마한 무게 때문에 지구에 위협이 되어 다른 자리로 옮겨야 했지만, 여전히 지구와 연락을 하며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런 알파의 중심부에 위험한 물질이 있다는 첩보가 입수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전 우주 회의를 열던 중, 정체불명의 외계종족이 침입해 사령관을 납치해간다. ‘발레리안’과 ‘로렐라인’은 사령관을 구하기 위해 뒤를 쫓는다. 그들은 이번 사건이 30년 전에 흔적도 없이 사라진 ‘뮐’행성과 관련이 있음을 알아차리는데…….



  영화감독들은 각자 다른 개성을 갖고 있는데, 그 중에는 영상이 화려하기로 유명한 사람도 있고, 이야기를 잘 풀어가는 사람도 있다. 이 영화를 만든 뤽 베송 감독은 아마도 화려한 영상을 만드는 부류에 들어갈 것이다. 그의 전작인 ‘제 5원소 The Fifth Element, Le Cinquième élément, 1997’이라든지 ‘루시 Lucy, 2014’ 또는 ‘아더와 미니모이 Arthur and the Minimoys, 2016’는 내용은 몰라도 영상은 멋졌으니 말이다. 이 작품 ‘발레리안 : 천 개의 행성 Valerian and the City of a Thousand Planets, 2017’은 그런 그의 전작들보다 훨씬 더 아름답고 환상적인 영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처음 오프닝부터 끝날 때까지, 영상은 진짜 ‘와-!’하는 탄성이 절로 나왔다. 한시도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색과 정보가 마치 쏟아져 내리듯이 스크린에 펼쳐졌다.



  오프닝에 데이빗 보위의 노래 ‘Space Oddity’가 흐르면서, 우주 정거장이 처음 만들어지고 세계 각국의 우주선들이 도착하며 외계 종족들까지 만나는데 감동적이었다. 악수라는 행위의 기원은, 숨긴 무기가 없다는 걸 보여주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악수가 뭔지 모르는 외계 종족들과 악수를 나누는 장면에서는 어쩐지 좀 뭉클했다.



  이 영화는 프랑스 코믹북인 ‘발레리안과 로렐라인 Valérian and Laureline’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1967년부터 연재가 되었다니, 꽤 많은 에피소드들이 있는 건 당연할 것이다. 그래서일까? 너무 많은 이야기를 보여주려다 보니, 어딘지 모르게 구성이 중구난방이라는 느낌이었다. 중심이 되는 사건이 하나 있는데, 그걸 해결하려는 두 주인공의 행보가 마치 자꾸만 곁가지로 가는 느낌이었다. 마치 미국 애니메이션 ‘가제트’를 보는 기분이었다. 거기서 보면 사건 해결은 다른 사람이 다 하고, 가제트는 자꾸 샛길로 빠지지만 결국 어떻게 사건을 해결하는 그런 구성? 상영 시간이 거의 두 시간 이십 분에 가까웠는데, 중간에 에피소드 한두 개를 생략하면 어땠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음, 그러면 ‘리한나’의 멋진 폴댄스를 볼 수가 없으려나?



  작품을 보기 전에는 왜 하필 주인공이 ‘데인 드한’인지 의아했다. 나에게 그는 선천적 환자인데, 과연 그런 그가 우주를 넘나들며 외계인은 물론 로봇내지는 인간과 맞서 싸우는 군인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궁금했다. 그런데 영화를 다 보고 나서는 이해가 갔다. 이 작품은 거의 하루 만에 모든 사건이 일어나고 해결된다. 그는 진짜 쉴 틈 없이 우주로, 알파 내부로, 왔다 갔다 하면서 이리저리 부딪히고 추락하고 달린다. 어떻게 보면 과로사하기 딱 좋은 업무 환경이었다. 일만 마치고 나면, 눈 밑에 다크 서클이 생기는 건 당연하다. 음, 그래서 그에게 주 인공을 맡긴 걸까? 하지만 그와 동시에 발레리안은 바람기가 많은 캐릭터인데, 어쩐지 어울리지 않았다.



  그런데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아무리 복고를 좋아한다지만, 28세기에 과연 1970년대 디스코 음악을 즐기는 게 가능할까? 지금으로 따지면, 클럽에 가서 14세기 노래를 듣는 거잖아……. 14세기면 고려 시대 말이나 르네상스 시대인가? 으음, 내 기준에서는 아무리 생각해도 잘 모르겠다.



  주인공의 바람둥이 역할이 어쩐지 어울리지 않았고, 담긴 이야기가 너무 많았던 것만 빼면 괜찮은 영화였다. 아, 영상적인 면에서는 그냥 괜찮은 게 아니라 너무너무 멋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녀유혼3 - 道道道 (天女幽魂 3)
정소동 감독, 양가휘 외 출연 / SRE (새롬 엔터테인먼트) / 2000년 6월
평점 :
품절


  영제 - A Chinese Ghost Story III, 1991

  원제 - 倩女幽魂 III 道道道

  감독 - 정소동

  출연 - 양조위, 왕조현, 장학우, 이지






  1편에서 도사인 ‘연적하’가 나무요괴를 봉인하면서, 100년이 지나면 다시 풀려날 것이라 얘기한다. 그리고 100년이 지나, 서역으로 금불상을 운반하는 노승과 그의 제자 ‘십방’이 등장한다. 우연히 난약사에서 머물게 된 둘의 앞에, 귀신 ‘소탁’이 나타난다. 그녀의 역할은 1편에서 ‘소천’이 맡았던, 남자들을 홀려 나무요괴에게 갖다 바치는 것이었다. 하지만 순수하게 자신을 걱정해주는 십방에게 마음이 끌리고, 급기야 그를 바치라는 나무요괴의 말을 거역하게 된다. 스승이 위기에 처하자, 십방은 마을에서 만났던 ‘연적하’라는 젊은 도사에게 도움을 청하는데…….



  왕조현은 다른 이름이지만 역할은 1편과 비슷한 귀신으로, 1편에서의 나무요괴는 같은 역할로, 2편에서의 장학우는 전편과 비슷하지만 다른 도사로 등장했다. 게다가 처음에 장학우가 연적하라는 이름으로 나오자, 1편의 앞선 이야기인가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위에서 말했지만, 100년 뒤의 이야기였다. 후손 중에 그를 너무 존경하는 누군가가 아들에게 같은 이름을 붙였을 것이라 여기기로 했다.



  영화를 보고 나서, 순수한 것과 눈치 없음의 경계는 무엇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십방의 행동이나 말은 어떻게 보면 순수하다 여길 수도 있는데, 또 어떤 장면에서는 눈치가 없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십방은 스승과 함께 금불상을 운반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그런데 소탁을 만나고부터 달라졌다. 꾀병을 부려 스승을 혼자 마을로 보내거나, 소탁을 도망치게 하려고 스승이 쳐놓은 결계를 깨트리는 행동들을 보면서 그냥 한숨이 나왔다. 그 때문에 자신은 물론이거니와 스승까지 위험하게 만들었다. 하긴 그가 임무에 충실한 캐릭터였으면 이야기 전개가 안 되겠지. 어쩌면 절에서 여자, 그것도 화려하게 치장을 하고 대놓고 유혹하는 여자를 본 적이 없어서 넘어간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그녀가 악귀 밑에서 일한다는 귀신이라는 걸 알면서도 밀어내지 못했던 걸까? 그리고 왕조현 같은 미모의 여인이 들이대는데 안 넘어갈 사람이 몇이나 될지 의문이기도 하고 말이다.



  노승이 대인배라는 생각이 들었다. 제자의 그런 행동을 다 받아주고, 제자가 덤벙대다 실수해도 넘어가고……. 급기야 제자의 실수 때문에 위기에 처하지만, 그는 웃어넘긴다. 하아, 나 같으면 주먹이 올라가도 몇 번은 올라갔을 텐데. 그런데 문득 의문이 또 들었다. 노승은 도대체 십방의 어디가 마음에 들어서 그 먼 길을 데리고 떠나기로 한 걸까? 밖에서 새는 바가지, 분명히 안에서도 샜을 텐데?



  나무요괴 밑에서 일하는 여자 귀신들이 무척이나 예뻤고, 화려한 의상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다. 그 때문에 귀신들이 나와서 날아다닐 때는 영상이 무척이나 환상적으로 보였다. 다만 귀신에게 돈을 꾸려한다거나 예쁘면 귀신도 좋다고 들이대는 남자 캐릭터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다. 1편과 같은 애절한 사랑보다는, 2편과 비슷하게 액션에 코믹한 설정이 더 추가된 3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Hollow Child (할로우 차일드)(지역코드1)(한글무자막)(DVD)
Lions Gate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원제 - The Hollow Child , 2017

  감독 - 제레미 루터

  출연 - 제시카 맥레오드, 한나 체라미, 존 에멧 트레이시, 재나 미출라




  


  십대 후반인 ‘사만다’는 ‘리즈’와 ‘개럿’ 부부에게 입양되었지만, 어쩐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개럿은 그녀에게 규칙을 지키라고 강요하고, 부부의 열 살 된 딸 ‘올리비아’는 껌딱지처럼 그녀를 따라다닌다. 올리비아와 등하교를 같이 해야 하는 바람에, 사만다는 방과 후 친구들과 놀러가거나 파티에 참가할 수가 없었다. 그러던 중, 사만다는 친구와 놀기 위해 올리비아를 혼자 보낸다. 반 정도 왔으니 별 일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막상 집에 와보니 올리비아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올리비아의 실종에 개럿은 사만다를 비난하고, 리즈 역시 어찌할 바를 몰라 한다. 다행히 올리비아는 집으로 돌아왔지만, 사만다는 어쩐지 이상했다. 지금 집에 있는 올리비아는 예전의 그 올리비아가 아닌 것 같았다. 사만다는 집으로 오는 길에 있는 숲에 얽힌 이상한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영화는 보는 내내 불편했다. 왜 리즈와 개럿은 사만다를 입양했을까? 그리고 이왕 입양했으면 잘 지내야 할 텐데, 개럿은 첫 등장부터 사만다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는 걸 명백히 드러냈다. 영화 시작부터 끝까지 그가 사만다에게 다정한 표정을 짓는 걸 본 적이 없다. 만약에 그들이 조금만 더 주의 깊게 사만다를 봤다면, 그녀의 한쪽 팔에 수많은 자해의 흔적이 남아있다는 걸 알았을 것이다. 그걸 알고도 그녀를 그렇게 대했다면, 개럿 진짜 쓰레기…….



  아무리 봐도 자기네 친딸인 올리비아를 돌보라고 입양한 것 같았다. 열 살짜리가 혼자 등하교를 못하는 거리라면, 이사를 한다거나 스쿨버스가 있는 학교로 전학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봐야 하는 거 아닌가? 어떻게 학교 가는 길에 숲이 있는데, 거길 지나다니도록 하는 걸까? 게다가 등하교만 같이 있어야 하는 것도 모자라 집에서도 사만다는 올리비아를 봐야 한다. 한창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은 나이의 아이에게 집에서 어린 동생을 돌보라고 하다니! 심지어 할로윈 파티때 올리비아는 사만다가 친구들과 약속이 있는 걸 뻔히 알면서도 자기와 같이 놀아야 한다고 떼를 쓴다. 거기다 새 아빠라는 사람은 눈만 마주치면 인상을 쓰고, 온갖 규칙을 만들어놓고 지키라고 강요하고……. 차라리 베이비시터로 일을 시키고 알바비를 주던가! 이건 완전 무급 노동을 시키려고 입양했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었다. 그래서 사만다가 겉돌았던 건가! 하여간 이후 돌아온 올리비아가 보여주는 이상한 행동도 보는 내내 짜증이 났다. 사만다에게 교묘하게 누명을 씌우는 행동들을 하는데, 하아…….



  영화를 보면서, 작년에 본 한국 영화 ‘장산범, 2017’이 떠올랐다. 아마 후반부 때문이 아닐까 싶다. 포스터를 보면 뭔가 오싹할 거 같은 영화였는데, 막상 보고 나니 가족이란 것에 대해 얘기하는 잔잔한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Southbound (사우스바운드)(지역코드1)(한글무자막)(DVD)
Sony Pictures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원제 - Southbound , 2015

  감독 - 라디오 사일런스, 록산 벤자민, 데이비드 브룩크너, 패트릭 호바스

  출연 - 채드 빌렐라, 맷 베티넬리-올핀, 케이트 비핸, 한나 막스





  5편의 짧은 이야기들로 이루어진 영화이다. 각각의 독립된 이야기 같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우선 첫 번째 에피소드를 보자. 피칠갑을 하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두 남자가 있다. 그런데 이상하다. 아무리 차를 몰아도, 똑같은 휴게소에 도달한다. 거기다 그들을 쫓는 것은 인간이 아닌 기괴한 생명체였다. 겨우 어느 모텔로 도망친 한 명에게 이상한 일이 일어나는데…….



  두 번째 이야기는 앞의 남자가 도망쳤던 모텔의 그 방에 투숙했던 3인조 밴드에게 벌어진 일이다. 고속도로 한복판에서 차가 고장 나는 바람에, 그들은 어쩔 줄 몰라 한다. 마침 지나가던 노부부가 그들을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가는데, 어쩐지 이상하다.



  세 번째 이야기는 3인조 밴드 멤버 중의 한 명이 도망치다 차에 치이면서 시작한다. 그녀를 친 남자 ‘루카스’는 911에 신고하고, 구급요원이 지시대로 인근 병원으로 향한다. 하지만 이상하게 병원에는 아무도 없고, 그는 결국 전화에서 시키는 대로 응급처치를 시작하는데…….



  네 번째 이야기는 앞에서 루카스에게 전화를 걸던 여자가 어느 술집으로 들어가면서 시작한다. 갑자기 그곳에 한 남자가 들어와 총을 겨눈다. 그는 손에 어떤 문신을 한 남자에게 자신의 동생 ‘제시’를 내놓으라 말한다. 그런데 문신남과 그 일당들, 어딘지 이상한 분위기를 풍기는데…….



  마지막 이야기는 제시가 식당에서 마주친 한 가족의 이야기다. 아빠와 엄마 그리고 딸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새로운 집으로 돌아온 그들에게 가면을 쓴 세 사람이 찾아온다. 아빠가 과거에 안 좋은 일을 했고, 그 보복으로 습격당한 것 같다. 세 침입자는 가족을 처참히 죽이지만, 그들이 몰랐던 것은…….



  처음에는 각각 색다른 맛이 있는 이야기들의 모음이라는 생각이었다. 각 이야기들마다 교묘하게 연결시켜서 나름 연결 고리를 만든 것도 괜찮은 아이디어 같았다. 그런데 마지막 이야기의 후반부를 보면서 ‘어?’하면서 놀라고 말았다. 아니 이게 어떻게 그런 식으로 연결되지? 마치 ‘형이 왜 거기서 나와?’하는 놀라움과 반가움 그리고 신선함이었다.



  그리고 그제야 포스터가 이해되었다. 이 영화의 여러 포스터 중에는 손을 떼지 않고 한 번에 그릴 수 있는, 다섯 개의 꼭짓점을 가진 별모양의 도로가 그려진 포스터가 있다. 아마 영화의 결말과 전반적인 분위기를 그것보다 더 잘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각 에피소드들이 ‘왜?’라는 질문을 남긴 채 마무리를 지었기에, 이게 뭔가 싶을 수도 있다. 하지만 포스터를 잘 생각해보면, 결국 인간의 삶이란 끝없는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인상을 준다. 아니면 결국 그들이 헤매는 그곳이 바로 지옥일 수도 있고 말이다.



  마지막 이야기의 결말이 영화를 살린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